기타

home > 기타

세부내용

트위터 페이스북
내용
제   목 공급망 중소기업, 거래처의 ESG 요구수준 강화되고 있지만 평가기준 정보와 지원은 부족
저   자 중소기업중앙회 발행기관 중소기업중앙회
원문면수 2 주   제

기타 > 기타

원문파일

 중소기업중앙회(회장 김기문)6.3() ESG 경영에 직접 영향을 받는 공급망(대기업 협력사 및 수출 중소기업) 내 중소기업 621개를 대상으로 실시한 ESG 대응현황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설문에 응답한 기업의 20.0%‘ESG 평가 요구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고, 요구한 거래처로는 대기업이 80.6%, 해외거래처가 28.2%로 조사됐다(복수응답).

특히, 50.8%는 요구받는 ESG 정보량 및 평가기준이 점차 강화되고 있다고 응답해 공급망 내 중소기업에 대한 ESG 경영 요구가 늘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거래처의 ESG 경영 요구기준에 대해서는 대략적인 가이드만을 제공하고 있다는 응답이 전체에 66.1%에 달하고, ‘명확하게 공개하고 있다는 경우는 26.6%에 그쳐 중소기업들이 달성해야 할 ESG 경영 수준에 대해 정확한 정보를 제공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래처의 ESG 요구수준에 미달할 경우 조치결과에 대해서는 컨설팅 및 교육 등을 통한 개선 유도’(20.2%), ‘미개선 시 거래정지·거래량 감소’(18.5%) 순으로 나타나 ESG 평가 결과가 거래관계에 일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ESG 평가를 요구하는 거래처의 지원은 전혀 없음’(64.5%), ‘약간 지원하나 거의 도움 안 됨’(16.9%) 순으로 조사되어 현실적으로 ESG 경영요구에 대한 부담은 중소기업이 감당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중소기업이 가장 필요한 ESG 경영 지원 사항으로 ‘ESG 경영 시설(예시 : 신재생에너지 설비·안전장비·폐수처리시설 등) 개보수 비용 지원28.8%로 꼽아 실질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조사됐다.

 

 조사에 응답한 국내 대기업 거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추가 인터뷰를 실시한 결과, “현재 거래하고 있는 대기업에서 자가진단 설문을 실시하며 향후 구매정책에 활용할 것을 예고하고 있음”, “설문 결과에 대한 피드백이 없어 부담됨”, “지원 사항은 교육 자료나 시중은행 ESG 우대상품 등을 안내하는 정도라며 애로를 호소했다.

같은저자의 최근자료
컴퓨터아이콘이미지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