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부내용
제 목 | 중기중앙회, 중소식품제조업 213개사 대상 실태조사 결과 | ||
---|---|---|---|
저 자 | 중소기업중앙회 | 발행기관 | 중소기업중앙회 |
원문면수 | 3 | 주 제 |
기타 > 기타 |
원문파일 | |||
□ 중소기업중앙회(회장 김기문)는 지난 5.12~23일까지 213개 식품제조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수입농산물가 급등에 따른 식품제조 중소기업 실태조사」 결과를 6.7(화) 발표했다.
□ 조사 결과, 식품제조 중소기업의 82.6%가 최근 국제 곡물가 급등으로 경영환경이 악화(매우악화 37.6% + 다소악화 45.1%)되었다고 응답했으며, ◦ 이로 인해 응답기업의 73.7%(20%이상 감소 26.3% + 20%미만 10%이상 감소 23.9% + 10%미만 감소 23.5%)가 전년대비 영업이익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다. ◦ 특히 4곳 중 1곳(26.3%)은 영업이익이 20%이상 감소할 것이라 응답했다.
□ 또한, 원재료가격은 전년대비 ‘10%이상 20%미만’ 증가할 것이란 응답이 36.2%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4곳 중 1곳 이상이 30%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 금년 수입곡물 수급전망에 대해서는 71.4%가 원활하지 않다고 응답했으나, 국산곡물로 교체할 계획이 있는 기업은 13.6%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 국산 곡물로 교체계획이 없는 가장 큰 이유로 ‘국산 원재료 가격이 높아 교체가 어려움(58.7%)’이 꼽혔다.
□ 현재 가장 필요한 정부 정책(복수응답)으로는 전체의 49.8%가 △식품원료구매자금 지원확대를 꼽았으며, 이어 △조기공매 등 비축물량 방출 통한 시장안정(47.9%), △TRQ물량 확대 등 고정운용 및 비축량 확대(40.4%), △농산물 의제매입세액 공제율 상향조정 필요(16.9%) 순으로 응답했다. |
|||
같은저자의 최근자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