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

home > Entrepreneurship > 창업

세부내용

트위터 페이스북
내용
제   목 국가 경제의 미래를 이끌 초격차 초기창업기업(스타트업) 1,000개 육성
저   자 중소벤처기업부 발행기관 중소벤처기업부
원문면수 7 주   제

Entrepreneurship > 창업

기술/정보화 > 기타

원문파일

 중소벤처기업부는 독보적인 기술을 보유한 신산업 유망 창업기업(스타트업) 1,000개 이상을 발굴, 민관 공동으로 5년간 2조원 이상을 투입하여 국가경제의 미래를 이끌 초격차 창업기업(스타트업)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중소벤처기업부(장관 이영)113() 10,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첨단 미래산업 창업기업(스타트업) 육성전략 발표 간담회를 개최하였다.

이번 간담회는 1027() 11차 비상경제민생회의 후속조치로 이영 장관은 첨단 미래산업 창업기업(스타트업) 육성전략 : 초격차창업기업(스타트업) 1,000+ 계획(프로젝트)(이하 초격차 창업기업(스타트업) 1,000+ 계획(프로젝트))’를 발표하고 현장의 의견을 청취하였다.

 

 초격차 창업기업(스타트업)이란 세계(글로벌) 시장으로 진출할 만한 독보적인 기술력을 가지고 있는 신산업 창업기업(스타트업)이다.

 

 우리나라는 초격차 창업기업(스타트업)이 탄생할 잠재력이 충분하다.

주요 신산업 분야에서 우수한 기술력을 가지고 있고 국가의 기술경쟁력이나 기술개발에 대한 투자도 높은 수준이다.

하지만, 창업·벤처 생태계의 중요한 지표인 거대신생기업(유니콘 기업)의 수를 살펴보면 2022년 상반기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거대신생기업(유니콘기업)23개로 이중 기술기반 기업은 3개에 불과하다.

 

 이에 정부는 기술과 환경의 전환기에 대응하여 국가의 미래성장동력을 확보하고 세계(글로벌) 신시장 선점의 기회를 마련하기 위해 초격차창업기업(스타트업) 1,000+ 계획(프로젝트)’를 마련하였다.

먼저, 그간의 창업지원 정책이 특정 기술이나 분야에 구분 없이 업력에 따라 보편적으로 지원해온 것과 달리, 국가 경쟁력 확보에 반드시 필요한 10대 첨단 미래산업 창업기업(스타트업)에 핵심 지원수단을 과감하게 투입함으로써 빠르게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또한, 그간 창업 지원 정책의 대상은 업력 7년 미만의 기업이었으나, 2022년 개정시행된 중소기업창업 지원법을 근거로 업력 10년까지 지원대상에 포함한다는 점도 기존 정책과 차별되는 부분이다.

같은저자의 최근자료
컴퓨터아이콘이미지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