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
세부내용
제 목 | 2022년 글로벌 스타트업 생태계 보고서 | ||
---|---|---|---|
번역제목 | Global Startup Ecosystem Ranking 2022 | ||
저 자 | Startup Genome | 발행기관 | Startup Genome |
원문면수 | 192 | 주 제 |
Entrepreneurship > 창업 |
원문파일 | |||
[개요]
□ ‘22년 톱30 글로벌 스타트업 랭킹에서는 중국의 생태계가 소폭 퇴조세를 보인 가운데, 서울, 샌디에고, 델리 등이 부상
□ COVID-19 팬데믹은 하위부문별 스타트업 투자에도 영향을 행사 중 o 글로벌 공급망 교란 등에 대응하여 AI/빅데이터와 첨단 제조업에 대한 투자가 크게 증가 - 다양한 업종에서 AI/빅데이터를 활용 중이며, 데이터에 기반한 의사결정과 알고리듬 프로세스가 일상화되는 추세 o 금융 분야 중심으로 블록체인 스타트업 투자가 활성화
[주요 내용]
□ ‘22년 톱30 글로벌 스타트업 랭킹에서는 중국의 생태계가 소폭 퇴조세를 보인 가운데, 서울, 샌디에고, 델리 등이 부상 o ‘20년과 ’21년과 마찬가지로 탑5 스타트업 생태계 구성은 변함이 없지만, 순위 면에서는 베이징이 1단계 하락하고, 보스톤이 4위로 상승 - 1위 실리콘 밸리, 2위 뉴욕, 런던 4위 보스톤 5위 베이징 o 서울이 글로벌 탑10에 처음으로 진입 - 서울의 생태계 순위: (‘20) 20위 → (’21) 16위 → (‘22) 10위 o 인도의 스타트업 생태계 중 델리가 ‘21년 대비 11단계 상승한 26위를 차지하면서 처음으로 톱30 진입 - 벵갈루루는 전년 대비 22위로 1단계 상승 o 중국의 생태계가 초기 펀딩이 상대적으로 줄어들면서 랭킹 상에서 소폭 하락했지만, 인도, 한국 등의 부상으로 아시아태평양 지역은 전년과 동일한 비중 □ ‘21년 이후 시리즈A 펀딩 건수의 증가율은 전반적으로 둔화됐으나, 엑시트 밸류의 크기는 점점 더 커지는 추세 o 데이터 해킹이 늘어나면서 스타트업 투자에서 사이버 보안에 대한 관심 고조 - 원격근무, 디지털 전환의 가속 역시 이 같은 추세를 가속화 o 세부 업종 전반적으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나, 특히 AI/빅데이터, 블록체인, 핀테크 및 첨단 제조업 분야에서 높은 성장세를 시현 - 원격근무, 디지털 전환 등의 가속화 추세도 이 같은 성장세를 증폭 - AI/빅데이터 분야의 급성장이 두드러지고 있는 바, 시리즈A 펀딩 건수는 지난 5년간 53% 증가했으며, 같은 기간 엑시트 건수 역시 102%증 o 첨단 제조업 분야 스타트업에 대한 시리즈A 펀딩 건수는 5년간 70% 증가 - 이는 자동화, 모니터링, 실패 예측 등을 통한 효율성/생산성 향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최근 글로벌 공급망 이슈가 크게 부각됐기 때문
□ COVID-19 팬데믹은 하위부문별 스타트업 투자에도 영향을 행사 중 o 글로벌 공급망 교란에 봉착한 제조업, 물류업 및 유통업 기업들은 업종 내 프로세스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제고하기 위한 노력을 경주 중 - 이를 반영하여 AI/빅데이터와 첨단 제조업에 대한 투자가 크게 증가 - 자율배달차량을 개발 중인 실리콘밸리 스타트업 Nuro사는 ‘21년 후기 펀딩으로 6억 달러를 모집 - 다양한 업종에서 AI/빅데이터를 활용 중이며, 데이터에 기반한 의사결정과 알고리듬 프로세스가 일상화되는 추세 o 원격근무 및 수입이 일상화되면서 에듀테크 분야에 대한 투자 급증 - 투자 금액 면에서는 미국, 중국, 인도의 순이지만 인도는 시드 단계 투자 금액 면에서는 미국 바로 다음인 2위를 차지 - 중국은 ‘21년 7월 교육기업의 IPO 및 외국자본 유치 금지, 비영리단체 요건을 설정했기 때문에 향후 에듀테크 포함 관련 부문의 성장이 둔화될 것으로 전망 o 블록체인 분야는 지난 5년간 초기투자 펀딩 관련 91%, 전년 대비 12% 증가 - 동 분야 기술은 주로 은행과 금융 서비스 업종에서 활용되는 중 - 그러나 블록체인 기술은 회복성있는 공급망 구축, 안전한 보건 데이터 교환 등에도 활용 여지가 크기 때문에 향후 활발한 투자가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 o 광고기술을 활용한 애드테크 분야와 디지털 미디어에 대한 투자건수는 지난 5년간 감소 추세를 기록 |
|||
같은저자의 최근자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