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home > 기타

세부내용

트위터 페이스북
내용
제   목 순환경제를 통한 비즈니스 활용 방향
번역제목 サーキュラー・エコノミーが拓くビジネスの可能性:インパクト評価の萌芽
저   자 日本経済研究所 발행기관 日本経済研究所
원문면수 6 주   제

기타 > 기타

원문파일

[개요]

 

오늘날 기업 활동에서 탄소중립 생물다양성 순환경제가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특히 순환경제로의 전환과 비즈니스 활용에 대해 고찰

o 향후 지속가능성을 기업 활동의 중심으로 도입하지 않으면 기업 생존을 보장할 수 없게 됨에 따라, 유럽은 탄소중립과 순환경제를 통해 시장경쟁 방향을 선도적으로 변화시켜 나가는 중

- 순환경제를 기존의 단순 폐기물 처리, 3R(Reduce, Reuse, Recycling)과 같은 선상에 놓고 이해하는 것은 위험

o 본질은 탄소중립이든 순환경제든 지구의 유한자원 소비와 풍요로움·경제·시장경쟁력과의 탈동조화(decoupling)

 

[주요 내용]

 

지속가능성에 대한 인식이 최근에는 이전과 달리 기업 활동의 중심으로 변하면서 기업은 이를 도입하지 않으면 생존할 수 없게 될 정도로 변화

o ’15년 이후 지구의 한계량을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게 되고, 구체적인 숫자로 나타내면서 ‘absolute sustainability’를 견인

o 물건에서 경험으로’*라는 소비 흐름, 즉 자본주의가 물질적인 것에서 비물질적인 것으로 중점이 이행되면서 지속가능성을 중시

* (モノからコトへ) 물건 소유를 중시하는 소비가 아닌, 체험에서 만족감을 얻는 소비가 증가

 

기업 활동에서 위와 같은 지속가능성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순환경제(Circular Economy)’가 반드시 필요하며, 유럽은 순환경제로의 전환을 선도

o 순환경제는 물건의 생산·폐기를 줄이고, 세상의 물건 흐름을 줄이고 에너지의 재생가능화를 통해 탄소중립 사회를 실현시키는 것

o 현재의 유럽 순환경제 현황을 살펴보면, ’15년에 발표된 유럽의 순환경제 패키지(Circular Economy Package)’에서 본질적으로 자원순환이 전제인 사회 구축을 표방하고 있으며, 순환경제의 2가지 핵심사항을 제시

- 첫째, 플라스틱으로 대표되는 재활용을 사회적으로 정착시키고, 둘째, 대량생산·판매 비즈니스를 중단해 자원 소비와 풍요의 탈동조화를 추진하는 것

- 기존 자본주의 경제하에서 어떻게든 순환을 성립시키려는 것이 아니라, 환경문제의 테두리 내에 머무르지 않고, 비즈니스 시스템 자체를 전환하려는 생각이며, 예를 들면, 공유(sharing), 구독(subscription) 서비스가 해당

o 특히, 유럽의 제조업에서는 지속가능성 혁명과 디지털 혁명의 맥락에서 순환경제가 환경 대책의 틀을 벗어나 경영 전략으로 자리매김

- 순환경제 정책은 유럽에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고 있지만, 전형적인 것은 제품 설계로 ’223월에 발표한 친환경 디자인 규칙()’에 따라 기존 전기전자제품에서 모든 상품을 대상으로 적용

- 일본 기업은 기존 환경 대책의 연장선상에서의 규제 추종형인 순환형 사회 지향인데 반해, 유럽 기업은 경영 의사결정에도 적극 적용해, 사업 전반에 반영하는 순환경제를 지향

 

순환형 사회와 순환경제의 차이는 순환형 사회가 폐기물에 관한 사회적 책임인 반면, 순환경제는 유한한 자원하에서 어떻게 경제를 구축할 것인가라는 생각의 차이

o 순환형 사회는 쓰레기라는 물건에 주목한 반면, 순환경제는 자원 소비와 경제의 탈동조화라는 사고방식에 근거한 경제 활동이며, 비즈니스 시스템도 변화

o 순환경제에서는 물질적 순환, 즉 재활용 관점만을 지나치게 고집해서는 안되는데, 이에 따라 유럽은 순환경제에서의 재활용 비중이 날로 저하

 

따라서 일본이 현재의 순환형 사회에서 순환경제로 나아가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VMS(Vision-Meso-Seeds) 모델로 설명

o VMS 모델은 미시적 수준의 유망 시즈와 거시적 수준의 사회 비전을 매칭 설계해 정량적 목표와 함께 비전 달성을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모델로, 이행관리* 분야의 매크로(macro)·메조(mezzo)·마이크로(micro)’ 모델을 유용한 것

* (Transition Management) 비전화, 학습, 실험의 참여형 프로세스를 통해 지속가능성의 이행을 촉진 및 가속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거버넌스 접근법

o 비전(Vision)과 시즈(Seeds) 사이에는 중간 Meso’(메조(mezzo) 영역(사회))가 있는데, 여기에는 산업, 생활, 농업, 사회 제도, 경제 등이 포함

o 기술 개발을 하는 시즈 영역에서 새로운 기술이 개발되었다고 해도 그것이 사회에 제대로 활용될 지 알 수 없고, 사회에 활용된다고 해도 효과가 나타날지 모르기 때문에 메조 영역 설계가 매우 중요

- (기존 설계) 가성비가 높은 제품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만드느냐가 중시되었고, 또한 기존 친환경 디자인은 분해성, 재활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품 설계에 약간의 개량을 하는 정도

- (현재의 라이프사이클 설계) 현실세계의 다양한 외부 요인(법규제, 고객 요구, 시장)을 분석하면서, 제품 콘셉트 비즈니스 옵션 라이프사이클 옵션 등 3가지를 조합한 후 설계를 시작

- 좁은 의미의 고전적인 친환경 디자인은 제품 설계만 하고 가치사슬과 연결되지 않아 문제가 있었는데, 라이프사이클 설계를 하면 안정적인 순환 가능

일본이 현상황에서 순환경제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유럽과 같이 VMS 모델의 Meso 수준에서 순환경제를 설계·구축하고, 이를 비즈니스로 연결 필요

o 유럽은 탈대량생산·판매 사회 구축을 목표로, 위 모델에서 말하는 비전과 시드를 매칭해 Meso 수준에서 순환경제를 설계하고, 순환 시스템을 구축

o 또한 이를 비즈니스로 연결하기 위한 순환 프로바이더의 역할이 중요한데, 이를 통해 기업의 순환 서비스를 구축

- 유럽에는 순환 프로바이더로 메가 재활용 사업자가 있어 원활한 순환경제가 가능한데, 일본은 그 규모가 작아서 제조사와 재활용 사업자 간 전략적 제휴를 통해 구축하는 것이 필요

같은저자의 최근자료
컴퓨터아이콘이미지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