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home > 기술/정보화 > 기타

세부내용

트위터 페이스북
내용
제   목 EU 집행위의 인공지능 법적 책임에 대한 영향 평가를 지원하기 위한 연구
번역제목 Study to Support the Commission’s Impact Assessment on Liability for Artificial Intelligence
저   자 EC 발행기관 EC
원문면수 301 주   제

기술/정보화 > 기타

원문파일

[개요]

 

EU 집행위는 AI로 인한 경제적 편익과 더불어 향후 과제와 리스크도 인지

o 본 조사는 집행위가 1)향후 AI가 국가 민사책임 법제도에 던질 과제 2)EU 차원에서 도입 가능한 제도의 영향 파악 등을 지원하기 위해 작성

- AI는 향후 법적 책임소재를 밝히는 데 있어서 더 많은 비용과 시간을 초래할 것으로 전망

- 현재 EUAI 관련 책임법을 적용하는 데 있어서 법적 불확실성과 파편화에 직면해 있으며 이 같은 상황은 AI 기술의 보급과 확산에 작용 우려

o 향후 EU 차원은 물론 개별 회원국 입장에서도 이와 관련된 법과 제도를 정비하고 조화를 이룰 필요성 제기

 

[주요 내용]

 

AIEU를 비롯하여 세계 경제와 사회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킬 잠재력을 보유

o EU 집행위는 AIEU 경제에 대해 보유한 잠재력을 일찍부터 인식하고 EU가 디지털 시대에 걸맞게 변화할 수 있도록 노력

- EU 집행위 우르술라 폰 데어 레이옌 대통령은 ‘19AI의 인간적, 윤리적, 경제적 함의에 기반하여 위와 같은 목표를 천명*

* Political Guidelines for the next European Commission 2019-2024 (2019)

o 그러나 EU 집행위는 경제적 편익과 더불어 AI로 인한 과제와 리스크도 인지

- 이 같은 맥락에서 AI가 향후 EU내에서 광범위하게 보급되었을 때, 현재의 법적 프레임워크의 적절성에 대한 평가를 추진

o AI는 오작동, 부주의 등으로 인명 및 재산상의 손실을 일으킬 가능성을 보유

- 예컨대 인간이 개입하지 않고 AI 자체적으로 자율적, 불투명, 복잡한 방식으로 의사결정을 내려서 손실이 발생한 경우 책임소재의 문제가 발생

o EU 집행위가 결성한 책임 및 신기술 전문가 그룹’(Expert Group on Liability and New Technologies)1차적으로 이를 조사하여 권고안을 마련*

* Liability for Artificial Intelligence and other Emerging Digital Technologies (2019)

o 본 조사는 집행위가 1) 향후 AI가 국가 민사책임 법제도에 던질 과제 2) EU 차원에서 도입 가능한 제도의 영향 등 파악을 지원하기 위해 작성

 

분석을 위해 미래에 AI가 민사적 손실을 끼칠 수 있는 경우를 다음과 같은 일곱 가지 시나리오로 특정

o 자율주행차

o 드론(배송용)

ㅇ 교통관제 시스템

ㅇ 산업용 로봇

ㅇ 의료기기

ㅇ 제초기

ㅇ 스마트홈(화재 감지 시스템)

상기 가상적 사례를 중심으로 각 회원국별로 AI가 민사적 책임과 쟁송과정에 끼치는 영향을 분석

AI는 다음과 같은 특징으로 인해 피해자에 불리하게 작용 가능

- (자율성) 사전적으로 계획되지 않은 기능을 수행함에 따라 책임소재 불분명

- (불투명성) AI가 특정 의사결정을 내린 이유를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 다수

- (복잡성) 시스템 간의 연계 등 고도로 복잡한 방식의 연산 방식으로 피해의 연원을 추적하기 어려운 구조

ㅇ 상기 가상적 사례를 중심으로 AI로 인한 쟁송에 투입되는 시간과 비용(애로 사항의 대리변수)은 회원국 대부분에서 늘어나는 것으로 분석

- (변호사) 복수의 관련 기술 전문가를 채용해야 하고, 피해 관련 인과관계와 귀책사유를 밝히는 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비용과 시간도 상승

- (기술 전문가) 고도의 전문성과 지식이 필요, 기술 평가에 상당한 시간 소요

ㅇ 이 같은 결과는 책임 및 신기술 전문가 그룹이 내린 결론과도 일맥 상통

 

AI 활용 기업들은 법적 불확실성과 제도적 파편화의 위협에 직면한 상황

AI는 위와 같은 특성으로 인해 책임소재를 파악하고 귀책을 추진하는 전통적인 방식에 대한 심대한 도전으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

- 특히 책임법(liability law)은 법적 확실성의 중요 요소

AI 관련 민사적 책임 법규가 EU 회원국 간에 서로 다른 것도 문제

- 기업의 입장에서는 파편화된 법제도는 준수비용을 높이기 때문에, 상호간에 조화를 이룬 법제도를 선호

ㅇ 이 같은 상황은 AI 기술의 확산과 보급에도 악영향으로 작용 우려

o 향후 EU 차원은 물론 개별 회원국 입장에서도 이와 관련된 법과 제도를 정비하고 조화를 이룰 필요성 제기

같은저자의 최근자료
컴퓨터아이콘이미지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