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자료 세부내용

home> 연구자료 세부내용

세부내용

트위터 페이스북
내용
제   목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노동력 부족이 초래하는 인플레 가능성 주목
번역제목 少子高齢化に伴う労働力不足がもたらすインフレの可能性~恒常的な物価高が及ぼす企業経営への影響
저   자 三井物産戦略研究所 발행기관 三井物産戦略研究所
원문면수 6 주   제

인력/고용 > 기타

기타 > 기타

원문파일

[개요]

 

저출산·고령화는 세계적인 흐름으로 이러한 인구동학이 노동력 부족과 함께 생산은 하지 않고 소비만 하는 고령자의 의료비 지출을 통해 물가상승 압력이 될 것이라는 견해를 일부 경제학자들이 제기

o 미국은 임금상승을 상회하는 물가상승 경향이 나타나면서 아마존, 스타벅스처럼 노조를 결성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는데, 이러한 현상 역시 노동력 부족이 초래

o 기업경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이러한 흐름에 기업들도 인재를 단순한 비용이 아닌 자본의 일부로 보고 전략적이고 포괄적인 자본정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

 

[주요 내용]

 

1. 저츨산·고령화가 초래하는 항상적(恒常的)인 인플레 압력

 

유엔이 ’227월 공표한 인구추계에 따르면, 세계인구 증가율은 ’20년 최초로 1%를 밑돌았고 ’22년에는 0.82%까지 하락할 전망

o 특히 중국은 ’32년부터 인구감소가 시작될 것으로 예상했으나 이번 추계에서 10년이나 앞당겨진 ’22년 전년대비 6,000명 감소로 돌아설 것으로 전망

- 중국 인구는 ’50131,200만 명에서 2100년에는 76,600만 명까지 감소할 전망으로 이는 앞선 추계와 비교해 각각 9,000만 명, 3억 명 감소한 것

 

저출산·고령화 동향은 세계적인 인플레 압력이 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으로, 이는 디스인플레적인 작용을 하는 노동자에 비해 생산활동 없이 소비활동만 하는 재화·서비스 순()소비자인 피부양자가 상대적으로 증가함을 의미

o 특히 고령층은 소비는 한정적이지만 거액의 의료·간병 관련 비용을 지출

- 대부분 공적부문이 부담하지만 실질적으로 고령층 소비이기 때문에 고령층 비율 상승은 인플레 압력이 된다고 찰스 굿하트(Charles Goodhart)가 주장

o 지금까지는 그 압력을 노동자의 생산활동에 따른 물가억제 작용으로 상쇄했고 특히 중국의 노동력 대량공급이 호황기에도 세계물가 상승압력을 억제

- 그러나 중국이 저출산·고령화로 노동력이 감소하고 물가 상승요인으로 바뀌면서 세계의 물가기조가 디플레에서 인플레가 되는 상황

o 이와 관련된 견해는 국제결제은행의 보고서에서도 잘 드러나는데, 동 보고서는 주요 선진국의 인플레율과 인구연령구성 관계를 포괄적으로 분석

- ‘70~’10년 기간 동안의 인구 구성은 약 3%의 물가 하락압력으로 작용했지만, 저출산·고령화가 현저해진 ‘10~’50년은 약 3%의 상승압력으로 바뀔 것이라고 전망

 

2.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인플레전망에 대한 회의론과 일부의 견해

 

저출산·고령화가 인플레 압력이 된다면 일본은 이전부터 인플레 상황이어야 하지만 실제로는 장기적인 디플레가 지속

o 이에 대해 굿하트 등의 학자는 중국이 세계에 노동력을 공급했던 영향이 제조업을 중심으로 일본에도 미치면서 물가억제 압력이 됐다고 지적

- 또한 경직적인 종신고용제도, ’90년 이후 기업의 대차대조표 조정 등은 일본 고유의 상황이기 때문에 일본이 경험한 물가동향은 향후 일본과 동일한 인구동학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는 다른 나라에 대한 시사점을 주기는 어려울 것으로 판단

 

노동력 감소 대책으로 생각할 수 있는 AI나 자동화는 노동의 보완수단이지 대체수단은 아니며, 제조업의 경우는 일정 효과가 인정되지만 서비스화 된 경제에서는 수행할 수 있는 역할에는 한계가 있다는 견해

o AI나 자동화가 효과를 발휘하는 것은 제조업이 경제의 중심인 신흥국이지만 신흥국 대부분은 저출산·고령화 문제는 없어 AI나 자동화 수요가 크지 않기 때문에 세계 전체로 보면 노동력 부족을 커버하는 효과는 제한적

o 인도는 ’23년 중국을 제치고 중국을 대신하는 노동력의 공급거점이 될 전망

- 그러나 인도는 행정자본이 취약하고 정당 간, ()정부와 연방정부간 협조적인 정치운영이 곤란하기 때문에 하나의 목표를 향해 매진하는 중국형 경제발전 실현은 어려울 것으로 판단

o 인도 인구가 ’63년 약 17억 명으로 정점을 맞은 이후에도 아프리카는 인구가 증가하겠지만 각국 경제가 소규모이고 투자효율이 나쁘기 때문에 자본의 축적이 늦어 산업육성이나 고용확대가 진행되기 어려울 전망

- 때문에 아프리카 국가는 인구증가에 따른 인건비 억제효과가 한정적

 

3. 저출산·고령화가 초래할 인플레 압력이 기업에게 주는 의미

 

(노동자측 : 노동조합 결성) 일반적으로 노동력 부족은 임금상승을 초래하지만 현재 임금은 물가의 상승폭에 비해 억제되는 측면이 있음.

o 예를 들어 미국은 이미 1년 이상 실질임금 신장률이 마이너스인 상황이 지속

- 원인은 급격한 물가상승에 있지만 세계 전체로 보면 노동력이 윤택하게 공급됐기 때문에 자본가에 대한 노동자의 교섭력이 약화된 것도 관계가 있음.

- 그것은 대부분의 국가에서 노동조합 밀도가 점진적으로 감소경향을 보인다는 점에서도 잘 드러남.

o 그러나 특히 서비스 섹터는 노동력 부족과 함께 노동자의 교섭력이 강해지면서 노조가 결성되는 경우도 등장

- 대표적인 사례가 아마존과 스타벅스로, 이러한 사례는 아직 노동력 이동에 제약이 있는 서비스 섹터가 중심이지만 노동력 감소와 더불어 향후 많은 섹터에서 노조가 결성되면 물가의 상승압력을 한층 높이는 요인이 될 것으로 예상

- 이러한 움직임은 자본가와 노동자의 힘의 관계 전환이라는 점에서도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짐.

 

(경영자측 : 인적자본 경영에 주력) 이러한 상황에서 기업은 인재를 단순히 비용으로 생각하지 말고 자본의 일부로 파악해야 하며 과거 이상으로 전략적인 인사채용, 인재배치가 필요

o 향후 인재를 모두 내부에서 충당하기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되며 외부에 의존할 필요성도 커진다는 점에서 포괄적인 자본정책이 불가피

o 일본은 인적자본경영 실현을 위한 검토회’225월 공표한 보고서는 그 실천 사례로 아사히()화성을 소개

- 동사는 경영전략 실현에 필요한 인재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기 위해, 채용해야 할 인재의 질과 양을 사업축()과 기능축()으로 구분해 매년 정리

- 또한 채용과 육성으로 확보하지 못하는 인재는 M&A를 통한 인재획득, 코퍼레이트 벤처 캐피털이나 소액투자를 통한 기업과의 커넥션 강화로 대응

 

(경영자측 : 최적의 자본구성에 관해 자본가와의 이해 심화) 인적자본 경영이 중시되고 있다고 해도 기업의 소유자가 주주라는 사실에는 변함이 없음.

o 상대적으로 중요도가 낮아진다고 해도 현재의 자본주의 하에서는 경영지표로 자기자본이익률(ROE) 등을 중시한다는 사실도 변하지 않을 것

- 그런 가운데 자본과 노동의 관계가 변화하고 기업수익 환원 비중이 투자자에서 노동자로 이동하는 것은 이익률 악화로 인한 ROE의 저하요인이 됨.

- 인플레와 더불어 금리까지 상승하면 채무가 있는 기업의 금리부담도 커짐.

o 기업으로서는 이러한 비용증가를 상회하는 매출액 확대에 전력을 다해야 하지만 향후 인구동태가 경제성장의 감속을 동반한다면, 사회 전체로 봤을 때 이를 기대하기는 어려워짐.

o 때문에 이익률 이외의 ROE 구성요소인 자산회전율과 자본구성에 관한 검토가 지금 이상으로 중요해질 전망

- 특히 최적자본 구성은 큰 변화가 필요할 수 있으며 투자자와 대화를 거듭하며 상호이해를 강화하는 노력과 과거 보다 훨씬 설득력 있는 대화가 필요

 

4. 결론

 

인구동태 예측의 오차가 비교적 적은 것은 인구가 급변하지 않고 증가에서 감소라는 트렌드의 대전환은 일단 시작되면 다시 전환되기 어렵기 때문

o 결국 고령화로 인플레 압력이 높아진다면 서서히 또한 장기간에 걸쳐 일어날 것이고 기업경영에 미치는 영향도 최근의 급속한 인플레 때와는 다를 것으로 판단

o ‘21세기 자본의 저자인 프랑스 경제학자 토마 피케티는 18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간 자료를 바탕으로 자본수익률은 연 5% 정도였던 반면 경제성장률은 연 12% 정도에 불과했다고 지적

- 이는 기존의 자본가와 노동자의 관계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부분으로, 자본으로 얻은 부()가 노동으로 얻을 부보다 크다는 것을 의미

o 저출산·고령화가 인플레 압력이 될 것이라는 일부 경제학자의 주장은 아직 경제학의 주류는 아니지만 대규모 인플레가 간단하게 일어날 수 있음을 목격한 지금, 인구동학이 물가에 미치는 영향과 그로 인해 일어날 자본가와 노동자의 관계성의 변화에 기업이 대비하는 것의 의의는 커지고 있음.

같은저자의 최근자료
컴퓨터아이콘이미지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