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자료 세부내용

home> 연구자료 세부내용

세부내용

트위터 페이스북
내용
제   목 아시아태평양지역 고용 및 사회 전망: 인간 중심적 노동을 위한 부문 전략 재검토
번역제목 Asia-Pacific Employment and Social Outlook 2022: Rethinking sectoral strategies for human-centred future of work
저   자 ILO 발행기관 ILO
원문면수 95 주   제

인력/고용 > 기타

기타 > 기타

원문파일

[개요]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노동시장은 글로벌 트렌드와 수준에 비해 낙후

o 외견상, 고용 트렌드는 긍정적으로 보이지만, 보다 자세히 들여다보면 지역의 노동시장이 위기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지 못했다는 징후가 다수

- 특히 동 지역에서 ‘19년까지 비공식부문 노동자의 수가 지속적인 감소 추세를 보였으나, 팬데믹 이후 이 같은 추세가 역전

o 단기적으로는 인간중심적 회복, 중장기적으로는 포용적 성장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정부가 노동자와 사용자 단체와 협력하여 노동시장 제도(근로기준, 사회보장, 고용 서비스, 기업 지원 및 사회적 대화 등)를 강화 필요

 

[주요 내용]

 

지난 몇 년간 아시아태평양 지역은 팬데믹과 이로 인한 경제적 침체를 경험했으며, 일부 국가는 정치·사회·환경 상의 위기에 직면

o 인플레이션 현상이 발생한 가운데 사회·경제적 불확실성으로 인해 지역 내 수백만 명의 생계가 위태로운 실정

- 이로 인해 ‘21ILO가 주창한 포용적이고, 지속가능하며 회복성 강한 인간중심적 회복으로 나아가는 데 있어서 곤란에 봉착

o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노동시장은 글로벌 트렌드와 수준에 비해 낙후

- 일자리 수는 ‘203.1% 하락 이후 ’21년과 ‘22년 늘어났으며, ’19년 팬데믹 이전 대비 2.0% 상승

- 외견상으로는 고용 트렌드는 긍정적으로 보이지만, 보다 자세히 들여다보면 지역의 노동시장이 위기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지 못했다는 징후가 다수

 

고용은 증가하고 있지만 ‘22년 인구 대비 고용 비율은 위기 이전 시기보다 낮은 상태: (‘19) 56.9% (’22) 56.2%

o 만약 COVID-19가 발발하지 않았을 경우를 상정할 경우, ‘22년 아시아태평양 지역 일자리 수는 2,200 만개가 더 많았을 것(1.1%)으로 추산

o 지역 내 총 노동시간 역시 위기 이전 수준으로 회복하지 못한 상태

- ‘194분기 대비 ’221~3분기 노동시간 손실은 1.5%로 추산(남성 1.9%, 여성 0.5%)

o ‘22년 지역내 실업자수는 약 1.05억명으로 ’19년 대비 12% 증가했으며, ’22년 실업률 역시 ‘19년 대비 0.5%p 상승

- 노동력에 포함되지 않은 인구수 역시 남녀, 청년·노장년, 지역을 불문하고 위기 이전 수준을 상회

o ‘19년까지 비공식부문 노동자의 수가 지속적인 감소 추세를 보였으나, 팬데믹 이후 이 같은 추세가 역전

 

지역 내 고용의 부문별 분포는 전통적 부문의 지속적인 강세 추세를 시현

o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고용 면에서 비중이 높은 3대 산업은 농··어업, 제조업 및 도소매업

- 이들 3대 업종은 ‘21년 총 11억명을 고용하여 지역 내 전체 노동력 19억명 중 60%를 차지

o 이들 업종에서 노동 소득의 상당 부분이 발생하나, 이들 부문은 노동생산성과 임금 수준이 낮고, 작업 여건이 열악하거나 고용이 불안정

- 이들 부문의 일자리는 사회보장 시스템의 보호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다수

- 지난 30년간 비공식 부문 노동이 줄어들면서 노동빈곤율이 낮아진 지역에서도 코로나바이러스 팬데믹으로 인해 이 같은 추세가 역전

 

가장 많은 일자리를 제공하는 부문과 가장 빠르게 일자리가 늘어난 부문 간의 갭은 이 지역의 고질적인 노동시장의 이중성을 시사

o IT, 비즈니스 서비스 등 높은 스킬 수준의 근로자를 흡수하는 근대적업종은 지난 수십년 간 빠르게 고용을 확대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이들 업종의 고용 비중은 여전히 낮은 상태

- 예컨대 아시아태평양지역의 IT 및 여타 정보서비스 부문의 고용은 ‘91년부터 ’21년까지 연평균 7.2%씩 성장했으나, ’21년 현재 총 근로자수는 940만명에 불과

- 이는 아시아태평양지역 전체 근로자 중 0.5%에 해당하며 대부분의 일자리(800만개)도 남성이 차지

- 이에 반해 도소매 업종의 근로자는 ‘91~’21년간 1.66억명이 늘어나, ‘21년 현재 총 2.77억명을 고용

 

성별 면에서 양질의 일자리는 주로 남성이 차지하는 경향

o IT 부문 등을 비롯, 아시아태평양지역에서 빠르게 고용규모가 늘어나는 업종은 여성보다는 남성 근로자들을 고용하는 추세

- 고용 규모가 빠르게 성장한 10대 산업 중 남성보다 여성을 선호한 산업은 단 하나, 즉 숙박요식업 부문으로 ‘91~’21년간 추가된 일자리의 55%를 여성으로 충원

o ‘91~’21년간 남성보다 여성을 더 많이 고용한 업종은 5개에 불과

- 이로 인해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의 남녀간 임금격차는 축소되지 않은 상태

o 성별 간 임금격차를 줄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분야에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

- 모든 분야 기업 수준에서 임금 형평 촉진, 여성의 고소득 직종 진출 권장, 고소득 기술 관련 여성교육 확대, 고용시 남녀차별 철폐 등

 

아시아태평양 지역은 양질의 노동 목표 달성에도 지체

o 코로나바이러스 위기 이전 수십 년간 아시아 경제가 성장했지만, 노동 소득 비중은 줄어들고 양질의 일자리 증가도 제한적

- 특히 과거 경제성장이 비공식부문 근로자를 공식부문 노동자로 전환하는 데에까지 연계되지 않았던 것이 사실

o 앞으로 아시아태평양지역 정부의 주된 과제는 모든 분야에서 양질의 일자리가 형성될 수 있도록 노동시장 제도에 대한 꾸준한 투자의 지속

 

노동시장 회복과 견고한 제도화를 위해서는 지속적 재정 지원이 필요

o 코로나바이러스 팬데믹은 사회보장 시스템, 기업 지원 및 사업 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한 근로자의 보건 등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제고

- 인플레이션과 경기 침체 등으로 인해 쉽지는 않겠지만, 이 같은 정책 영역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지속하는 것이 필요

o 타겟형 경기 부양책과 재정 지원 등을 지속하는 것도 중요

- 정부 지출 확대를 통해서 경기를 부양할 수 없을 때에는 사회적 대화 등을 통한 진보적 임금 정책을 추진함으로써 소비 수준을 유지 가능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포용적 성장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주요 부문을 중심으로 노동시장 제도를 정비하고 노동자와 사용자 그룹에 권한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

o 남녀 임금 격차, 높은 비공식 부문 노동 참여율, 취약한 노사관계는 아시아태평양 지역 개도국의 경제개발 궤적을 왜곡시키는 효과를 창출

o 10억 이상의 노동자가 농업, 제조업 및 도소매업에 참여하고 있는 바, 이 부문에서 근로 여건을 개선하는 것만으로도 생활수준과 구매력을 크게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노동시장 제도를 효과적으로 구축하는 것은 현행 글로벌 경제 여건, 투자 필요 금액 등을 고려할 경우 다수 개발도상국에게 쉽지 않은 난제

o 단기적으로는 인간중심적 회복, 중장기적으로는 포용적 성장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정부가 노동자와 사용자 단체와 협력하여 노동시장 제도(근로기준, 사회보장, 고용 서비스, 기업 지원 및 사회적 대화 등)를 강화하는 것이 필요

o 이를 위해 ILO에서는 다음과 같은 권고안을 제시

- 근로 기준의 디자인과 시행을 통해서 사회적 업그레이드 지원

- 효과적인 사회적 대화 지원

- 비공식부문의 공식화 전환

- 기업가정신을 진작하고 보텀업 성장을 위한 기업지원 제공

- 노동자 이동 관련 거버넌스 구조 확립

- 노동 공급과 수요 일치를 위한 시책 추진

- 모든 부문에서 여성에게 평등한 기회를 제공하고 여성집약적 산업을 지원

- 부문 내 디지털화 지원

같은저자의 최근자료
컴퓨터아이콘이미지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