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자료 세부내용

home> 연구자료 세부내용

세부내용

트위터 페이스북
내용
제   목 세계 주요 국가와 일본의 ESG투자 동향
번역제목 世界と日本のESG投資動向~GX推進を契機にESG投資の拡大へ
저   자 三菱総合研究所 발행기관 三菱総合研究所
원문면수 1 주   제

금융/조세 > 기타

원문파일

[개요]

 

코로나 사태 이후 실시된 세계적인 금융완화로 ESG시장이 급격하게 확대되고 있으며 일본에서도 ESG투자가 늘어나고는 있지만 GDP 등 경제규모를 생각했을 때 다른 나라와 비교하면 액수가 적은 편

o 이는 일본이 ESG에 투자할 여지가 많다는 의미로도 해석 가능하며 세계적인 추세를 봤을 때 ESG투자를 늘리려면 에너지, 건설, 수송 분야에 대한 투자와 함께 정부 차원에서 GX추진 등을 계기로 ESG투자를 촉진할 필요가 있음.

 

[주요 내용]

 

ESG투자가 계속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15년 말 기준 662억 달러였던 세계 전체 투자액은 ’21년 말에는 9,281억 달러까지 확대

o 국제 NGOClimate Bonds Initiative가 공개한 자료는 ESG투자를 Green, Social, Sustainability 3가지로 구분

- 여기서 말하는 그린(Green)은 환경문제 해결, 소셜(Social)은 사회과제 해결로 특화한 투자를 말하며,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은 환경문제와 사회문제 두 가지를 해결하는 것이 목적인 투자를 지칭

o 이들 3가지 구분별로 본 세계 전체 ESG투자동향은 글로벌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는 ’15년 이후 항상 그린투자가 ESG투자 전체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ESG투자 전체액과 그린투자액 추이를 중심으로 동향을 분석

 

현재 세계의 ESG는 유럽이 견인하고 있으며 코로나 사태 이후 실시된 금융완화로 ESG투자는 급격하게 확대

o 지역별로 보면 전체적으로는 유럽이 가장 많고 다음이 아시아태평양, 북미 순이며, 그린투자는 특히 유럽이 2위인 아시아태평양의 2배 이상으로 금액규모에서는 다른 지역을 압도

o 소셜 투자도 유럽이 가장 많다는 사실은 변함이 없으며 특히 ’19년 이후 급격하게 확대

o 지속가능 투자는 각 지역에서 매년 증가하고 있지만 다국간(多国間) 투자가 가장 많고 ’20년 이후 급속도로 규모가 확대

 

아시아태평양의 ESG투자액을 국가별로 보면 1위 중국의 투자규모는 2위인 일본의 약 3배에 이름.

o 중국의 명목GDP는 일본의 약 3배이면서 그린투자액은 일본의 5배 규모

o 한편 명목GDP가 일본의 약 3분의 1정도인 호주는 일본의 절반 정도의 ESG투자액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일본이 경제규모에 비해 투자가 제대로 진행되지 못하는 상황임을 의미

o 일본의 ESG투자 가운데 가장 규모가 큰 그린투자의 업태별 내역을 보면, 제조업이 가장 크고 에너지가 그 다음 순서를 차지

세계 지역별 그린 투자의 투자액을 업태별로 보면 지역별 특징이 확인

o 일단 아시아태평양 지역은 다른 지역에 비해 압도적으로 대출 비율이 높고, 정부로부터의 갹출도 세계 평균을 상회하는데, 이러한 특징은 아시아태평양에서 가장 투자액이 큰 중국의 영향으로 판단 가능

o 한편 북미지역은 자산유동화증권(ABS)과 정부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럽은 국채, 국제개발금융기관의 비율이 높아 정책적 의도를 포함한 갹출이 많은 것으로 해석

 

세계 전체의 업태별 그린투자액 추이를 보면 특히 ’21년에 금융기관·비금융기관·국채를 통한 투자가 현저하게 확대

o 이 배경에는 ’20년 이후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각국의 금융완화 영향이 있다고 판단

o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추이를 보면, 세계 전체와 마찬가지로 ’21년 금융기관·비금융기관의 투자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 역시 세계적인 금융완화의 영향이 있을 것으로 판단

- 업태별 내역에서는 정부계 기관의 투자규모가 크고, 금융기관의 투자는 ’18년 이후 미국의 금리인상으로 일시적으로 급감했지만 ’20년 이후 금융완화로 인해 다시 증가세로 전환

- 결과적으로 최근에는 세계적인 투자경향과 비슷한 비율을 보이고 있으며 세계수준과 비교하면 국채를 통한 투자가 적은 것이 특징

 

통화별 투자규모를 보면 유로화가 가장 많이 이용되고 뒤를 미국 달러, 중국 위안화가 잇고 있음.

o 달러는 미국 국내 및 미국기업의 해외투자에 이용되는데다 기축통화로 제3국에서 사용되는 경우도 많기 때문

o 중국 위안화는 주로 중국이 주도하는 투자 때문으로 보이지만 코로나 사태와 궤를 같이하며 단숨에 규모가 확대

 

국가별 그린투자 규모에서는 미국이 최대 규모를 자랑하며 중국의 투자도 늘어나는 추세

o 그린 투자액은 미국이 세계 1위 다음은 중국, 프랑스, 독일 순

o 온실가스(GHG) 배출량은 중국이 미국을 상회하지만 경제규모로 보면 중국의 투자가 적은 것은 아니며 일본은 세계 11위로 경제규모에 비해서는 매우 적은 편

지역별로 산업구조의 차이는 있지만 세계 전체로 보면 ’21년 그린투자의 투자처는 에너지, 건물, 수송이 80%를 차지

o 아시아태평양 지역은 에너지가 37.6%(213억 달러), 건물은 23.1%(131억 달러), 수송은 23.4%(133.7억 달러)’20년까지는 수송에 대한 투자규모가 건물을 상회했지만 ’21년에는 건물이 역전

- 일본의 공개 데이터는 ’20년이 최신자료인데, 에너지는 28%(29.7억 달러), 건물은 35%(37.1억 달러), 수송은 29%(30.7억 달러)로 건물과 수송의 비율이 높아 아시아태평양 전체의 경향과는 큰 차이를 보임.

 

’20년 이후 코로나19가 확산되고 각국 중앙은행이 실시한 금융완화를 배경으로 세계적인 규모로 ESG투자가 대폭 확대

o 그러나 일본의 ESG투자규모는 미국, 유럽, 중국과 비교하면 저조한 수준으로 세계적으로 봤을 때, ESG투자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그린투자도 주요 국가에 비해 저조한 편

- 일본의 GDP순위는 세계 3위지만 ESG투자액은 10위권에 들어가지 못하는 상황으로 이러한 점에서 보면 일본은 ESG투자 여지가 많다고 할 수 있음.

o 다른 나라의 데이터를 보면 ESG투자는 에너지, 건설, 수송 3개 분야의 기여도가 크다는 점에서 일본이 ESG투자액을 늘리려면 이들 분야에 대한 투자를 늘리는 것이 중요

o 이들 3개 분야의 중요성은 국제에너지기구(IEA) 등 국제기구가 섹터별 투자규모 전망(예를 들면 Net Zero 2050 Figure2.22)을 통해서도 제시한 바 있음.

- 일본은 이들 분야에 대한 투자촉진과 더불어 국가 차원의 GX추진 등을 계기로 ESG투자를 더욱 진전시킬 필요가 있음.

같은저자의 최근자료
컴퓨터아이콘이미지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