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부내용
제 목 | 유니콘이 적은 일본 – 스타트업 해외전개 필요 | |||||||||||||||||||||||
---|---|---|---|---|---|---|---|---|---|---|---|---|---|---|---|---|---|---|---|---|---|---|---|---|
번역제목 | ユニコーンが少ない日本-スタートアップに海外展開のすすめ | |||||||||||||||||||||||
저 자 | 발행기관 | 経済産業省 | ||||||||||||||||||||||
원문면수 | web | 주 제 |
판로/유통 > 수출/해외시장 |
|||||||||||||||||||||
관련사이트 | https://journal.meti.go.jp/p/27097 | |||||||||||||||||||||||
원문파일 | ||||||||||||||||||||||||
[개요]
□ 일본 스타트업은 인구 감소와 고령화와 함께 국내 시장을 주력으로 하고 있어 성장 여지가 제한적인 만큼 메가 스타트업을 목표로 하기 위해서는 일찍부터 글로벌 시장에서 승부하는 것이 필요 o 일본에서 다양한 스타트업이 등장하고 있지만 해외와 비교하면 유니콘이라고 불리는 기업은 적어 경제를 리드하는 존재에 이르지 못한 것이 현실 o 본 자료는 이런 문제의식에서 경제산업성과 경단련이 개최한 <스타트업의 해외 진출을 위한 민관협력 컨퍼런스>에서 해외시장 공략에 주력하는 스타트업과 스타트업 연계를 추진하는 대기업, 정책지원 행정기관 관계자들이 모여 각자의 전략과 과제를 설명한 자료
[주요 내용]
1. 유니콘이 적은 일본현실과 컨퍼런스의 문제의식
□ 일본에서도 다양한 스타트업이 활약하게 되었지만 해외와 비교하면 유니콘이라고 불리는 기업은 적어 경제를 리드하는 존재에 이르지 못한 것이 현실 o 여기서 유니콘은 평가액이 1400억엔(약 10억달러)를 넘어 설립 10년 미만 비상장기업을 지칭 - 친숙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타트업을 보면, 일본에서 가장 성공했다고 할 수 있는 메르카리(Mercari)의 시가총액은 약 4400억엔 - 이에 비해 미국의 우버 테크놀로지스는 약 770억달러(약 10.7조엔), 에어비앤비는 약 680억달러(약 9.5조엔) o 글로벌하게 어디까지 이용자에게 침투했는지 여부가 이 월등한 규모 차이의 핵심 요인 - 일본 스타트업은 인구 감소와 고령화와 함께 국내 시장을 주력으로 하고 있어 성장 여지가 제한적인 만큼 메가 스타트업을 목표로 하기 위해서는 일찍부터 글로벌 시장에서 승부하는 것이 필요
□ 이런 문제의식에서 경제산업성과 경단련은 2023년 4월 <스타트업의 해외 진출을 위한 민관협력 컨퍼런스>라는 제목의 행사를 개최 o 컨퍼런스에서는 해외 진출을 추진하는 스타트업 약 50사와 협업 파트너가 될 수 있는 경제계 및 해외 진출을 지원하는 행정기관 담당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연계를 위한 논의가 이루어졌고 교류를 심화시킴 - 컨퍼런스 제1부에서는 스타트업과 경제계의 제휴 촉진을 테마로 해외 전개를 진행시키는 스타트업, J-startup 제4차 선정 기업, 경단련 기업에 의한 프레젠테이션 외에 행정기관에 의한 지원책과 관련된 프레젠테이션을 실시 - 제2부에서는 니시무라 경제산업대신으로부터 해외 전개, 오픈 이노베이션을 향한 각 기관에 의한 제휴에의 기대가 논의된 후, 자유 환담 형식으로 각 기관이 네트워킹을 실행
2. 컨퍼런스에서의 각 주체별 발표자료 주요 내용
□ 경제산업성 발표 자료 o 일본발 글로벌 스타트업의 도약을 위해 최근 반년간 장관 출장과 함께 태국, 사우디아라비아, 미국, UAE 스타트업 미션을 실시 - 향후 세계에 자랑할 수 있는 일본 스타트업이 빅뱅처럼 글로벌하게 도약하고 성장해나가기 위해 ① 大臣 미션, ② 해외전개 지원책 ③ 네트워크 구축의 정책 패키지로 지원
※글로벌 사우스(Global South) : 남반구나 북반구의 저위도에 위치한 아시아, 아프리카, 남아메리카의 개발도상국가를 통칭하는 용어
□ 2020년에 설립된 미국 스탠퍼드대발 무선給電 스타트업 '에이터링크'의 岩佐凌代 CEO 발표자료 o 에이터링크가 사업 확대에서 중시하고 있는 것은 룰 만들기에의 관여 - 글로벌 시장을 겨냥하기 위해서는 국제표준을 잡는 것이 전략의 핵심으로 岩佐凌代는 무선給電에 관한 국제학회에 참가하는 등, 전문가등과의 관계 구축에 진력 - 창업한 시점에서는 국내 규제가 심해 실용화할 수 없는 기술이었지만 전파를 소관하는 총무성과 교섭을 거듭해 省令의 개정을 실현 - 현재는 세계 각지에서 필요한 인증 취득을 추진해 일본을 포함해 30개국·지역에서 제품을 판매할 예정
□ 테슬라나 아이폰 같은 혁신을 주택에 도입한 스마트하우스를 다루는 'HOMMA Group' 本間毅 CEO의 발표자료 o 2016년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설립된 이 회사는 집중적으로 지원해야 할 유망 스타트업으로 경제산업성이 인정하는 'J-Startup'에 2023년 새롭게 합류한 기업 o 미국 주택시장은 과거 중고주택 유통이 대부분을 차지했지만 최근 신축 비중이 상승하여 신규 주택 착공 수가 일본보다 많아 비즈니스 기회가 충분 o 本間毅 CEO는 「미국에서 탄생한 우리는 born global로 미국으로부터 시작하여 일본을 포함한 전세계로 전개해 간다」고 선언
□ 스타트업에 전 세계의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도쿄해상홀딩스 生田目 상무의 발표자료 o 기술뿐만 아니라 경제나 사회도 큰 변혁기를 맞이하고 있는 현재, 대기업 사이에서는 자사에 없는 아이디어를 가진 스타트업과의 제휴가 기업가치 향상에 있어서 불가결하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는데, 경단련에서 참가한 5개사는 모두 스타트업 협업 확대에 의욕을 보였음 o 生田目 상무는 전 세계 7곳에 디지털 전략을 추진하는 기반이 되는 랩을 설치해 전문 인력이 최신 정보를 수집하고 세계 유수의 벤처 캐피털에도 출자하여 지금까지 세계 각지에서 길러 온 스타트업에 관한 지견이나 인맥의 축적을 강조하면서 이런 네트워크를 꼭 활용해 달라고 당부 □ 지원행정기관 NEDO(신에너지·산업기술 종합개발기구)의 斎藤保 이사장의 발표자료 o 정부가 사회에 미치는 임팩트는 크지만 사업화까지 오랜 시간을 필요로 하는 딥테크에 도전하는 스타트업 육성을 경제정책의 중심에 두면서 행정기관들도 관련 시책을 잇따라 강화하고 있음 o NEDO는 스타트업 사업을 실용화 연구개발 전기·후기, 양산화 실증 3단계로 나눠 최대 총 30억엔을 보조 - 특히 해외시장을 대상으로 한 제품 개발에서는 규제에 관한 조사나 현지 실험 등 비용이 확대될 수 있기 때문에 실용화의 전기·후기에 대해서는 해외에서의 기술 실증을 실시하는 경우는 상한액을 끌어올려 대응 |
||||||||||||||||||||||||
같은저자의 최근자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