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부내용
제 목 | 경영력 재구축 동반 지원 가이드라인 | ||||||||||||||||||||||||||
---|---|---|---|---|---|---|---|---|---|---|---|---|---|---|---|---|---|---|---|---|---|---|---|---|---|---|---|
번역제목 | 経営力再構築伴走支援ガイドライン | ||||||||||||||||||||||||||
저 자 | 발행기관 | 中小企業庁 | |||||||||||||||||||||||||
원문면수 | 94 | 주 제 |
중소기업 일반 |
||||||||||||||||||||||||
관련사이트 | https://www.chusho.meti.go.jp/koukai/kenkyukai/keiei_bansou/guideline....(이하생략) | ||||||||||||||||||||||||||
원문파일 | |||||||||||||||||||||||||||
[개요]
□ 중소기업청은 경영자가 진정한 경영 과제가 무엇인가를 깨닫고 자기변혁을 꾀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해 2021년부터 <경영력 재구축 동반 지원> 사업을 시작. 본 자료는 더 많은 지원 기관이 <경영력 재구축 동반 지원>사업을 도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미 실천한 지원 기관이 축적한 경험과 유의점을 정리하여 소개한 가이드 라인 o <경영력 재구축 동반 지원>은 경영자 등과의 '대화와 경청'을 통해서 사업자의 '본질적 과제'에 대한 경영자의 '인식·납득'을 촉진함으로써 '내발적 동기부여'를 행하고, 사업자의 '능동적 행동·잠재력'을 이끌어 내어 사업자의 '자기변혁·자립화'를 목표로 하는 지원사업
[주요 내용]
1. <경영력 재구축 동반 지원> 사업의 등장배경
□ <경영력 재구축 동반 지원>은 중소기업·소규모 사업자가 환경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해 자사를 변혁시켜 가는 「자기 변혁력」을 높이는 것을 지원하는 사업 o 기업을 둘러싼 환경은 최근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의 확대나 국제 정세의 변동에 따른 서플라이 체인의 변화, 물가나 에너지 가격의 급등에 더한 일손 부족, 수요 축소, 나아가 DX(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나 탄소중립 등의 격렬한 변화로 매우 어려운 상황 o 그러나 경영자 단독으로는 의식이나 행동을 바꾸어, 「자기 변혁」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만큼 신뢰할 수 있는 제삼자에 의한 동반 지원이 필요 - 중소기업은 경영자원이 한정되어 있고 일상업무로 바빠 자사 내에서 잠재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문제나 성장을 위한 사업활동의 병목현상이 되고 있는 요인을 알지 못하거나 알게 되어도 개선노력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적지 않음 o 중소기업청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검토회를 거쳐 2021년 3월 <경영력 재구축 동반 지원> 모델을 제시 - <경영력 재구축 동반 지원>은 경영자와의 철저한 대화와 경청을 통해서, 기업의 과제 설정이나 과제 해결을 향한 여러가지 장벽과 시책을 함께 생각함으로써 내발적인 동기부여에 의해 사업자의 잠재력을 발휘시켜 과제 해결에 이르도록 측면적으로 지원하는 것 - 전문지식을 보유한 지원자가 해결책을 제시하는 과제해결형 지원방법에 대해 <경영력 재구축 동반 지원>은 과제설정형 지원방법이라고 할 수 있음
2. <경영력 재구축 동반 지원> 사업의 개요
□ <경영력 재구축 동반 지원>은 중소기업 경영자가 자기변혁을 방해하는 5개의 벽을 넘어 기업이 자립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상태로 만들어 가는 것을 목표로 함 o ①보이지 않는 벽 : 기업 내부의 가시화가 되어 있지 않아 본질적인 과제를 판별하기 위한 전제 조건이 갖추어져 있지 않음 o ②마주하지 않는 벽 : 경영자가 현실을 직시하지 않고 우선 과제의 적절한 설정과 과제 해결을 위한 시책의 구체화가 되어 있지 않음 o ③실행할 수 없는 벽 : 조직 내외의 장애물이나 경영자의 심리적 장벽 등이 포착되지 않아 과제 해결책이 실행되지 않음 o ④따라오지 않는 벽 : 현장 참여가 불충분하여 현장 수준에 입각한 대응이 되지 않고 아무도 당사자 의식을 가지고 과제 해결에 노력하지 않음 o ⑤지혜나 경험 부족의 벽 : 과제가 명확해지고 자원 확보와 의욕의 확보는 되었지만 과제 해결을 위한 지혜나 경험이 부족
□ <경영력 재구축 동반 지원> 사업의 세 가지 요소 o 대화와 경청을 통한 신뢰관계 구축 o 문제인식을 촉진하는 과제 설정형 컨설팅 o 경영자의 자립화를 위한 내발적 동기부여와 잠재력 도출
□ <경영력 재구축 동반 지원> 사업의 지원흐름 o <경영력 재구축 동반 지원> 사업은 대화와 경청을 통해 다양한 전문적 지식과 경험을 조합하면서 사업자에게 문제인식을 촉진하고, 사업자가 자신의 생각과 의지를 가지고 자기변혁할 수 있는 힘을 끌어내는 것을 목표로 지원자가 지원의 각 단계에서 사업자와 상호작용을 하는 흐름으로 되어 있음
<그림 1> <경영력 재구축 동반 지원> 사업의 지원흐름
□ <경영력 재구축 동반 지원> 사업의 실시주체 o 성장 지향적이고 비교적 규모가 커서 중소기업 졸업을 목표로 하는 사업자는 경제산업국, 한층 더 사업 확대, 성장을 목표로 하는 중규모 사업자는 중소기업 기반 정비기구나 전천후 지원 거점의 지원대상 o 지역에서 안정·착실한 성장을 목표로 하는 지속형 경영 소상공인은 상공회의소, 상공회, 중소기업단체중앙회의 지원 대상 o 금융기관이나 각종 사업 등은 모든 고객이 대상이 될 수 있으므로 규모, 국면에 국한되지 않고 전역에 걸친 사업자가 지원 대상 o 경영상태의 악화가 우려되어 경영개선이나 재생지원 등이 필요한 사업자의 경우에는 전문성이 높은 과제해결 지원이 조기에 필요하므로 '중소기업활성화협의회' 등 전문적인 지원기관이 대응 o 경영자의 대부분이 문제로서 안고 있을 가능성이 높은 사업승계·인수인계 지원에 대해서는, ‘사업승계·인수지원센터’와 제휴 o 지원 인재의 관점에서는 수도권이나 대도시권에 편재하고 있는 대기업 OB나 컨설턴트, 중소기업 진단사 등이 지방 중소기업 동반 지원의 중요한 담당자 o 2021년 5월 중소기업청 및 독립행정법인 중소기업기반정비기구, 상공단체, 사업단체, 금융기관 등의 지원기관이 참여하여 '경영력 재구축 동반지원추진협의회'가 설립되어 지원 사례나 지원 노하우를 공유함과 동시에, 전국 각지에서 제휴해 보급에 노력하고 있음
3. 경제산업국의 <경영력 재구축 동반 지원> 사업의 지원내용과 성과목표(KPI)
□ 경제산업국 민관합동팀에 의한 <경영력 재구축 동반 지원>은 사업자의 구체적인 변화나 성장을 3개의 국면으로 나누어 각각의 국면에 성과지표를 설정해 효과를 검증 o 제1단계 : 사업자의 자기 변혁·행동 변형을 통한 조직적 변화가 목표 - 과제 설정으로부터 과제 해결까지의 프로세스에서 성공 체험을 쌓는 것에 의해, 경영자나 종업원에게 의식 변혁이 싹트고 행동변화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목표로 함 - 사내에서 발생하고 있는 문제를 과제로서 파악해 종업원등에 의한 해결을 향한 활동이 자발적으로 일어나는 상태로 사업자의 자립적이고 계속적인 변혁의 기반이 됨 - 또 PDCA 사이클을 구축함으로써 지원 종료 후에도 과제 해결 등의 노하우가 사업자 내에 축적되어 활동이 계속되는 구조가 뿌리내리고 있는 상태 o 제2단계 : 사업자의 성장·과제 해결이 목표 - 사업자의 자립화에 의한 성과로서 구체적인 실적으로 나타나는 수치 목표의 달성이나 사업자가 목표로 설정한 DX나 GX, 해외 전개라고 하는 구체적인 과제 해결의 실현을 목표로 함 - 목표는 KPI로 지표화되어 PDCA 사이클 안에서 관리되는데, KPI는 매출증가율과 부가가치액증가율, 노동생산성증가율, 임금증가율, 종업원수증가율 등 사업자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 o 제3단계 : 사업자의 규모 확대 및 지역으로의 파급이 목표 - 지역으로의 파급이란 지역 경제 사회의 발전에 기여하는 것으로, 개개의 사업자의 성장은 지역에서의 고용 창출이나 지역 자원의 활용, 지역 커뮤니티의 유지·강화로 연결 - 대상 사업자뿐만 아니라 지원기관도 지방공공단체를 비롯한 행정기관이나 다른 지원기관인 상공단체나 금융기관, 사업단체 등과 연계하는 것도 제3단계에서의 목표로 이를 통해 단독 지원기관으로는 대응할 수 없는 사업자 지원을 가능하게 해 지원 효과를 지역 전체로 확대
<표 1> 경제산업국의 지원내용과 성과목표(KPI)
|
|||||||||||||||||||||||||||
같은저자의 최근자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