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자료 세부내용

home> 연구자료 세부내용

세부내용

트위터 페이스북
내용
제   목 2022/2023 에너지 위기에 대한 중소기업 정책 대응
번역제목 SME policy responses to the 2022/2023 energy crisis
저   자 발행기관 OECD
원문면수 39 주   제

중소기업 일반 > 주요국정책비교

관련사이트 https://www.oecd-ilibrary.org/economics/sme-policy-responses-to-the-20...(이하생략)
원문파일

[개요]

 

이 보고서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략전쟁으로 촉발된 에너지 위기에 대한 OECD 국가들 중소기업(SME) 차원의 정책 대응을 검토

o "중소기업 정책 대응은 에너지 위기 동안 중소기업의 전기 및 천연 가스 가격 부담 완화조치 및/또는 다른 방식으로 영향을 미친 국가 정책들을 포함

o 이 보고서에서는 OECD 국가들의 중소기업 에너지 위기 대응정책을 크게 세가지 범주(가격지원조치, 소득지원조치, 녹색전환을 위한 보완조치)로 분류하고 이를 검토

 

[주요내용]

 

1. 에너지 위기에 대한 중소기업 활동 영향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으로 촉발된 에너지 위기는 인플레이션 압력을 가중

o 전기 가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천연가스 도매가격은 2022년 여름 정점(340유로/MWh)을 찍은 이후, 크게 하락하여 20234월에는 전쟁 이전 수준(40-50유로/MWh)에 근접

o 최근 발표된 OECD 경제전망은 식품 및 에너지 제품을 제외한 근원 인플레이션이 확연히 높고 이러한 추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통화 정책이 제한적일 필요가 있음을 시사

 

증가된 에너지 비용은 중소기업의 활동에 부담요인으로 작용

o OECD 중소기업 탄소 배출 및 에너지 소비 평가는 중소기업 매출액에서 전기료 및 천연가스 비용 비중을 측정한 지표에서 2018-2022년 동안 중소기업의 에너지 가격 부담이 EU 평균 4~6.4%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

o 중소기업 에너지 집약도(부가가치에 대한 에너지 소비)가 상대적으로 높은 국가의 에너지 위기 대응 관련 예산 증가

- 유럽국 전체에서 중소기업 에너지 집약도가 부가가치당 0.7MWh(덴마크)에서 2MWh(라트비아)에 분포하고, EU 평균 1.27MWh(OECD, 2023)

 

이 보고서에서는 OECD 국가들의 중소기업 에너지 위기 대응정책을 크게 세가지 범주로 분류하고 이를 검토 <1>

o 첫째, 가격지원조치(price-support measures): 가스/전기 가격상한선 및 에너지 부과금에 대한 환급 또는 감면

o 둘째, 소득지원조치(income-support measures): 에너지 관련 세금 공제, 이전소득(transfers), 보조금 대출 및 신용 보증

o 셋째, 금전적, 비금전적 인센티브를 포함한 비즈니스 부문의 녹색 전환을 지원하는 보완 조치(complementary measures)

- 대부분 정부들은 에너지 위기를 계기로 제조기업들의 녹색전환의 가속화 기회로 삼고자, 에너지 효율성, 재생에너지 지원

- 일부 국가에서는 에너지 절약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한 비즈니스 부문과 사회 전체에 캠페인을 도입

구분

유형

가격 지원조치

가격 상한선(완전 또는 부분)

에너지 부담금 감면(부가세(VAT), 소비세, 환경부담금)

소득 지원 조치

에너지 관련 세금 공제 tax credits

이전(Transfers)

보조금 대출 및 신용 보증

녹색전환을 위한 보완 조치

녹색 전환 지원(에너지 효율성, 재생에너지)

인식제고 캠페인(에너지 절약)

출처: SME policy responses to the 2022/2023 energy crisis, p.9

 

 2. 중소기업 에너지 위기 대응 정책

 

전쟁 초기 국가지원조치는 에너지집약 산업부문에 집중되었지만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로 지원조치의 규모와 범위를 확대하여 중소기업을 포함

o "중소기업 정책 대응"은 에너지 위기 동안 중소기업의 전기 및 천연 가스 가격 부담 완화조치 및/또는 다른 방식으로 영향을 미친 국가 정책들을 포함

o 국가들은 초기 단기간을 설정하고 글로벌 에너지 가격의 추이에 따라 조치 기간 및 범위를 조정

 

OECD 국가들의 에너지 위기 대응 양상의 차이 존재

o 러시아 가스에 의존도가 높았던 유럽국가들은 에너지 가격 상승에 대한 가격지원 및 자금 유동성 지원 등 대규모 지원이 이루어짐

o 에너지 수출국(캐나다와 미국)재생에너지원 활용이 높은 에너지 믹스 국가는 유럽국가만큼 타격을 입지 않았고, 에너지 시장에 대한 가격 개입을 취하지 않았음

o 일부 국가(한국과 스위스)는 에너지 수입국이지만 에너지 시장에 대한 직접 개입을 하지 않았음

 

1) 가격지원조치

 

전반적으로 지원대상을 특정하지 않은 가격지원기제(에너지 가격 상한선)는 대다수 OECD 국가에서 공통적 대응 방식

o 가격 상한선 에너지 집약적이고 무역업에 더욱 우호적인 경향

o 일부 국가 조치는 중소기업(프랑스의 전력가격 충격 흡수 조치) 및 초소형 기업(헝가리)을 포함

o 반면 고용 또는 에너지 소비량 측면에서 가격상한선이 기업 규모에 따라 달라지지만, 몇몇 국가(독일 및 영국)는 비즈니스 부문 전체로 적용

 

에너지 위기 동안 기업지원을 위한 정부 정책에 대규모 예산이 할당

o 가격 지원 조치, 특히 가격 상한제는 위기 동안 정부에서 시행한 중요하고 비용이 많이 드는 정책으로, 유럽 ​​국가 GDP2~4% 달함

o 가격상한선 조치는 초기에는 증가한 에너지 비용을 완전히 충당하는 완전가격상한선에서 증가한 에너지 비용의 일부를 충당하는 부분적 조치로 이행

o Bruegel Think Tank 추정치에 따르면, 20219~20232월 기간동안, EU 국가들은 증가하는 에너지 비용에 대해 가정 및 기업을 보호하기 위해 7,680억 유로 투입

o 이 조치는 초기 6-12개월 짧은 기간으로 계획되었지만, 20234월 기준 대부분 여전히 ​​시행되고 있고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의 장기화로 적어도 연말까지 지속될 전망. 긴급조치를 폐지하는데 어려움이 있음

 

거시경제 전망에 의하면, 에너지 가격 상한선 조치는 산업생산 하락을 피할 수 있는 주요 도구이지만 포괄적인 조치로서 일련의 단점 존재

o 첫째, 소매 에너지 가격을 인위적으로 낮게 유지함으로써, 에너지 수요를 자극할 수 있음

o 둘째, 화석 연료를 저렴하게 만들어 기업의 녹색 전환 투자를 저해할 수 있음. 에너지원에 관계없이 에너지 수요를 지원하면서 재생 에너지에 대한 투자를 약화시킬 수 있음

o 셋째, 가격지원조치는 지원대상이 명확치 않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들고 일부 유럽 국가의 예산 부담이 가중

o 넷째, 에너지 소비량이 많은 주체에 재정적 보상이 주어지는 경향이 있어서 종종 퇴행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음.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경쟁 영역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OECD, 2021)

 

2) 소득지원조치

 

에너지 위기에 대처하기 위해 소득 지원 조치는 가격 지원 조치보다 덜 사용

o 예외적으로 이탈리아는 에너지관련 세금공제 조치를 주로 사용하였으며, 오스트리아와 아일랜드는 다른 국가보다 이전소득(transfers)을 정책적으로 더욱 활용

o 소득지원조치에는 에너지관련 세금공제, 이전소득, 보조금 대출 및 신용 보증 프로그램 포함. 신용 보증은 가격지원조치 및 직접이전 보다 덜 비용이 들지만, Covid-19 위기시 각국 정부들이 대규모 유동성 프로그램 도입으로 높은 수준의 중소기업 부채가 발생

대상이 명확한 소득지원 조치가 에너지 집약 산업 부문과 무역 부문 같은 일부 비즈니스를 지원하는 데 효과적

o 대상을 특정하지 않는 가격지원조치는 천연가스 가격이 20234월 전쟁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었음을 감안할 때 가능한 빨리 종료될 필요

o 그러나 소득지원조치는 여전히 ​​녹색 전환에 대한 기업투자 의지를 좌절시킬 수 있으므로 이 조치는 궁극적으로 해제되어야 함

 

3) 녹색전환을 위한 보완조치

 

많은 국가들은 중소기업을 에너지 효율성을 제고하고 비즈니스 부문의 녹색 전환 가속화 지원을 위한 신규 프로그램을 도입 및 기존 프로그램을 강화

o 대부분의 프로그램이 세제 인센티브, 보조금, 우대대출, 에너지 효율성 및 재생 에너지 투자 기업을 돕기 위해 사업자문 및 교육을 제공

o 이러한 일련의 조치들은 탄소배출감축(net zero emissions) 목표 달성을 위한 주요 역할을 하는데 반해 에너지 위기 맥락에서는 보완조치로 봄

 

 

3. 결론 및 시사점

 

향후 에너지 정책은 중소기업 에너지 효율을 개선하는 방향으로 정책초점이 조정될 필요

o 일부 국가에서는 에너지 요금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환경부담금(green levies) 폐지를 하였으나, 녹색 전환의 약화를 피하기 위해 환경부담금을 가능한 한 빨리 복원하는 것이 중요

o 가격지원조치는 기업 유동성 지원을 위해 에너지 제품의 소매 가격을 낮추는 정책으로 산업보호를 위해 사용되었다고 볼 수 있으나, 가격지원조치는 녹색전환을 지연시키고, 국가적 비용부담이 크므로 가능한 빨리 종료될 필요

o 소득지원조치가 여전히 높은 소매 에너지 가격으로 인해 추가 도움이 필요할 수 있는 산업부문 및 기업을 타겟팅하여 일시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

 

장기적으로 에너지 정책은 중소기업 산업구조의 개선하고, 지속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 및 관행으로 전환하는데 속도를 높이도록 방향 설정이 시급 

같은저자의 최근자료
컴퓨터아이콘이미지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