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부내용
제 목 | OECD 중소기업 및 스타트업을 위한 지식혁신 네트워크 | ||
---|---|---|---|
번역제목 | Knowledge and innovation networks for SMEs and start-ups | ||
저 자 | 발행기관 | OECD | |
원문면수 | 484 | 주 제 |
중소기업 일반 |
관련사이트 | https://www.oecd-ilibrary.org/industry-and-services/oecd-sme-and-entre...(이하생략) | ||
원문파일 | |||
<개요> □ OECD 중소기업 및 기업가정신 전망은 중소기업 및 스타트업을 위한 지식 및 혁신네트워크 통합 강화에 대한 정책 방향을 강조 o 중소기업은 도약을 위해 글로벌 및 로컬 지식 혁신 네트워크에의 참여와 외부파트너와의 협업이 중요해짐
□ 이 보고서의 제5장에서는 중소기업 혁신 네트워크의 변화하는 패러다임을 조명하고, 전략적 파트너쉽과 클러스터를 포함하여 중소기업 네트워크 지원정책을 검토 o OECD 회원국의 중소기업에 대한 혁신 네트워크 확장을 지원하는 601개 국가 정책과 150개 기관의 매핑을 기반해 제시
<주요내용>
가. 변화하는 중소기업 혁신 네트워크
□ 클러스터 내에서 중소기업과 다른 참여주체간 연결이 증가하고 혁신활동의 국제화 추세 강화 o 클러스터 관리 조직은 산업부문 및 관련 활동에서 중소기업의 그룹을 구축하고 스타트업과 중소기업, 대기업 및 연구기관 간의 네트워킹를 촉진하는데 중요한 역할 - EU 클러스터 협업 플랫폼(European Union Cluster Collaboration Platform, ECCP)에 참여하는 공식 클러스터 조직의 수는 2010-22년 기간 동안 유럽 전역에서 거의 두 배 증가하여 총 541개의 클러스터 조직이 있음 o 클러스터의 참여 구성원간에 글로벌 혁신 파트너와의 연결을 강화하는 추세 - 2015년 유럽연합과 미국은 두 지역의 클러스터 간 연결을 촉진하고 중소기업이 전략적 파트너를 찾을 수 있도록 돕기 위한 협력협정을 체결 - 최근 유럽연합은 22개 회원국의 170개 이상의 유럽 클러스터 조직과 14개 EU 산업 생태계를 모두 포함하는 30개의 공동 클러스터 이니셔티브(Euroclusters)를 추진. ClusterXchange 파일럿 프로그램은 EU 산업 클러스터 참여자 간의 초국가적 협력, 네트워킹 및 혁신 활용을 촉진하고 연결을 강화(ECCP, 2023)
□ 혁신 중소기업의 벤처케피탈 시장 참여 활성화 o 고성장(high-performing) 중소기업의 벤처캐피탈(VC) 시장 참여는 중소기업의 혁신과 자금조달을 위한 많은 새로운 네트워킹 기회를 제공 o 중소기업의 R&D 지출은 2013년 이후 가속화되었으며, 최근 몇 년간 대기업과 비슷한 수준으로 성장(그림 1)
o 중소기업 및 스타트업은 대기업에 비해 R&D 투자에 상대적으로 더 많은 비용을 지출하며, R&D 지출의 가장 큰 부분을 기초 및 응용 연구에 투자 - 실제로 소프트웨어, 나노기술, 생명공학, 청정기술 등 전략적 부문의 성장은 주로 신생기업과 소규모 기업에 의해 주도되었음(OECD, 2019)
□ 중소기업의 개방형 혁신 참여 및 디지털 플랫폼 활용의 증가 o 개방형 혁신과 파트너쉽의 확산 관련해 중소기업은 R&D 필요 자원(기술 및 장비 등)을 조달하고, 지식 및 기술 접근을 위해 외부 파트너 및 공급자와 협력관계를 유지 - 대학과 공공연구기관(PRI)은 기술이전의 핵심적인 파트너로서, 중소기업은 국제화되고 협력적인 성격을 띠는 지식 및 혁신 네트워크에 더욱 참여. 미국 특허상표청(USPTO)에 출원된 전체 특허 중 미국 외에서 발명된 특허의 비율이 2001년 11.3%에서 2019년 18.6%로 크게 증가(OECD, 2019). 유럽 특허청(EPO)에서도 비슷한 추세가 관찰 - 지식집약적 서비스제공업체(knowledge-intensive business services, 이하 KIBS)중소기업의 두번째 주요 파트너로 EU 지역사회 혁신조사(CIS)에 따르면 2020년 소규모 혁신기업의 컨설턴트 및 민간 R&D 기관과 협력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남(Eurostat, 2022) o 코로나19 위기는 재택근무, 화상회의, 온라인 판매, 디지털 플랫폼을 포함한 스마트 업무 솔루션이 폭발적 성장으로 중소기업의 디지털화와 디지털 혁신을 크게 촉진 - 클라우드 컴퓨팅 및 플랫폼 기술 활용의 가속화는 기술개선 뿐만 아니라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및 비즈니스 모델로의 전환 및 자원의 효율성을 추구하는데 있어 기업 데이타베이스 가치의 증가를 반영(OECD, 2022; Gartner, 2023) 나. 중소기업 역량 확장에 대한 압박과 연계망 구축의 위협요소
□ 최근 진전에도 불구하고, 중소기업의 지식 및 혁신 네트워크 통합은 여전히 불균등하고 취약 o R&D를 수행하지 않거나, 주식금융에 접근하지 않거나, 플랫폼기술을 사용하지 않는 ‘전통’ 중소기업에 대한 배제 위험이 커지고 있음 o 중소기업의 디지털 도입은 기본적인 비즈니스 기능으로 제한되며, 기술이 더욱 정교해짐에 따라 디지털 격차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음(OECD, 2021) - 특히 증가하는 사이버 공격 위험에 대응할 수 있는 역량과 관련하여 디지털 격차가 큼. 중소기업은 디지털 보안 위험에 대응을 위한 전용 리소스를 갖추지 않았거나, 이에 대한 인식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남(OECD, 2021). - 2021년 OECD 지역 전체에서 소기업 17.6%, 중기업 27.4%, 대기업의 36.9%가 사이보보안 문제를 경험했으며 이는 3년 전(2018년)보다 6~13%p 늘어난 수치
□ 사이버보안 위험의 증가로 위험 관리 역량이 파트너쉽 결정을 위한 핵심 요소 o 데이터 유출에 대응하기 위한 중소기업의 준비 상태는 여전히 낮은 수준이며, 지식집약적 서비스제공업체(KIBS)의 디지털 사고도 증가 - IT부문은 사이버보안 침해가 가장 큰 부문이고, 전문, 과학기술, 상거래를 포함하여 고도로 디지털화되고 지식집약적 서비스에 보안 위협이 집중(그림 3) - 중소기업은 소프트웨어에서 인프라, 플랫폼, 네트워크에 이르기까지 외부서비스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지식집약적 서비스제공업체(KIBS)의 보안문제는 상당히 부정적 결과를 초래할 것으로 지적(ENISA, 2021) □ 첨단 혁신 네트워크의 분열 및 산업간, 지역간 불평등 징후의 증가 o 글로벌 R&D시스템은 더욱 전문화되고 지역화되고 블록으로 집중되어 중소기업이 다양한 네트워크를 통해 발전하거나 차별화될 가능성을 축소시킴 - 특히 첨단혁신은 몇몇 분야에 고도로 집중되어 있으며 벤처캐피탈 시장은 ICT와 생명공학, 제약분야 투자에 치중. 반면 중소기업의 총R&D지출에서 정보통신분야는 약 절반을 차지하고, 제약 및 운송 장비 분야에 대한 투자는 약 10%에 불과 o 전반적으로 혁신 활동, 투자 및 이해관계가 산업부문별, 지리적으로 집중되어 있어 기술이전을 가능하게 하는 효율적인 확산 채널이 마련되지 않으면 영토 및 산업 불평등이 커질 위험이 높아짐
다. 중소기업 지식 및 혁신 네트워크 강화를 위한 정책사례
□ OECD 정부들은 중소기업 네트워크 확대를 지원하는 정책으로 1) R&D 및 혁신 네트워크의 연계, 2) 클러스터로의 통합, 3) 전략적 파트너쉽 구축 세가지 측면의 정책을 제공 (표 5.1) o 정책의 약 1/3은 중소기업을 지식 및 혁신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다른 두 유형의 네트워크 연계를 위한 보완적 역할 (그림 4) o 중소기업 전략적 파트너쉽 구축, 클러스터 통합을 위한 국가 정책은 덜 눈에 띄는 특징을 갖고 있으며 전용 조치는 각각 12%와 3%에 불과 o 혁신네트워크 지원정책은 강력한 국제적 지향성을 띄고 있으며, 정책의 약 절반은 중소기업과 국제적 혁신 파트너와 연결강화를 목표로 함
라. 시사점
□ 정부는 중소기업의 지식 및 혁신 네트워크 통합을 강화하기 위해 디지털 플랫폼을 더욱 활용할 필요 o 국가별로 상당한 차이가 있지만 OECD 회원국의 정책 중 15% 미만이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하여 중소기업 혁신 네트워크를 확장하고 있음
□ 공공정책은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의 표적화를 보여주지만 특정 기업 집단은 레이더에서 벗어날 수 있음 o 전반적으로, 관련 공공정책은 고도로 표적화되어 있으며, 대부분의 표적화 대상(86%)은 특정 기업 집단이나 기타 조직을 포함 - 중소기업이 가장 중요한 대상 그룹(정책대상의 42%)이지만, 대학 및 공공연구소, 투자자, 스타트업, 혁신/고성장 기업과 같은 특정 그룹이 상당부분을 차지 o 그러나 잠재적으로 유망한 기업 집단에 대한 관련 혁신 파트너 및 인프라와의 연결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
□ 중소기업에 대한 지식 및 혁신 네트워크는 중소기업이 네트워크 존재와 이점을 인식하고, 내부 관행 및 혁신 프로세스에서 외부 지식을 조정 및 통합하는 데 필요한 기술 적응 및 관리 역량을 갖추도록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
|
|||
같은저자의 최근자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