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부내용
제 목 | 캐나다 수출기업 지원 프로그램 | ||||||||||
---|---|---|---|---|---|---|---|---|---|---|---|
번역제목 | Funding and support programs for doing international business | ||||||||||
저 자 | 발행기관 | Government of Canada | |||||||||
원문면수 | web | 주 제 |
판로/유통 > 수출/해외시장 |
||||||||
관련사이트 | https://www.tradecommissioner.gc.ca/funding_support_programs-programme...(이하생략) | ||||||||||
원문파일 | |||||||||||
[개요]
□ 캐나다의 수출 다변화 전략은 캐나다 기업의 신규 시장 진출을 지원하고 2025년까지 캐나다의 해외 수출을 50% 증가시키는 것이 목표 o 이를 위해서는 전체 수출의 2%도 되지 않는 중소기업의 수출이 획기적으로 증가하지 않는 한 달성이 어렵다는 인식
□ 캐나다 기업의 해외활동을 위한 지원은 CanExport 프로그램의 자금지원, 특정 대상 지원 프로그램, 기업 파트너들에 의한 지원 등으로 구분 o 해외 비즈니스를 위한 자금 및 지원 프로그램은 잠재적인 외국 파트너와 연결하고, 해외에서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추구하거나, 캐나다 커뮤니티에 외국인 투자를 유치하기 위한 재정적 지원과 개인화된 조언 등이 주요 내용들 - 본문에서는 대표적 지원인 CanExport 프로그램 및 하위 프로그램들에 초점을 맞추어 기술
[주요 내용]
1. 캐나다 중소기업 해외 비즈니스 지원
□ 캐나다가 무역국가라고 하지만, 중소기업 부문의 해외 비즈니스 활동은 사실상 다른 면모 o 다른 대부분의 국가와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기업이 중소기업이고 상당부분의 일자리 창출을 담당하고 있지만 수출의 이에 크게 미흡한 상황 o 미국 중소기업의 33%, 독일 중소기업의 20%, 중국 중소기업의 60%와 비교해보면 캐나다 기업들이 수출에서 얻을 수 있는 기회를 제대로 잡지 못하고 있음이 분명하다는 인식
□ 캐나다 기업의 국제 활동이 매우 미흡한 원인에 대해 많은 논의와 논란이 제기 o 위험 감수에 대한 도전 의식, 비용에 대한 우려, 자격을 갖춘 국제 무역 전문가와 관리자의 부족, 그리고 전반적인 시장 지식의 부족에 이르기까지 많은 문제점을 지적 o 캐나다 기업들은 진정한 기회와 고객이 어디에 있는지 더 많이 알아야 하며, 중남미, 동서유럽, 그리고 싱가포르, 한국, 대만 등 아시아의 소규모 강자 시장을 육성할 필요가 있다는 인식 확산
□ 캐나다 정부는 2018년 가을에 캐나다 수출 다변화 전략(Canada’s Export Diversification Strategy)을 발표 o 수출 다변화 전략은 캐나다 기업의 신규 시장 진출을 지원하고 2025년까지 캐나다의 해외 수출을 50% 증가시키는 것을 목표로 6년간 11억 CAD 투자 - 기업의 수출 계획 실행을 위한 자원 제공, 무역 서비스 강화에 중점
□ 이 전략의 일환으로 정부는 수출 잠재력이 높은 기업이 새로운 국제적 기회를 실현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현지 기관과 협력하여 지원 o 수출 준비 및 수출 역량 강화 이니셔티브에 3년간 1천만 CAD를 지원하고, 중소기업이 새로운 수출 기회를 모색할 수 있도록 5년간 5천만 CAD를 지원 o 이 전략에는 해외 신규 시장 진출을 희망하는 중소기업을 돕기 위한 CanExport 및 관련 프로그램에 대한 6년간 1억 CAD도 포함 - 이는 2016년에 시작된 캔 수출의 5년간 초기 캐드 5천만 CAD에 추가된 것
2. 캐나다의 해외 비즈니스 지원 프레임워크
□ 캐나다의 해외 비즈니스 지원은 크게 3가지로 구분 가능 o CanExport 자금지원 o 특정 기업 및 그룹을 대상으로 하는 지원 o 관련 기관 및 단체 등 파트너들로부터의 지원
□ 대표적 지원인 CanExport는 4개의 하위 프로그램들로 구성 o CanExport SMEs, CanExport Innovation, CanExport Associations, CanExport Community Investments 등 프로그램
□ 특정 대상 지원의 예로는, 여성과 원주민 기업가들을 위한 전용 컨시어지 서비스(Concierge Service)가 그 중의 하나 o 지원자들의 더 많은 다양성을 장려하고 코로나19 위기로 인해 불균형적인 영향을 받은 이들을 더 잘 지원할 수 있도록 했음. o 또한 Global Affairs Canada가 주관하는 여성을 중심으로 무역 사절단에 참여하는 기업들이 CAD 2만 예산 한도에 따른 프로젝트를 예외적으로 제출할 수 있도록 했음.
<표> 해외 비즈니스 지원 프레임워크
3. CanExport
3.1 CanExport SMEs
□ CanExport SMEs은 캐나다에 등록된 중소기업에게 최대 5만 달러를 지원하여 국제적인 비즈니스 개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 o 이 프로그램은 새로운 국제 시장에서 제품과 서비스를 수출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 o 자금지원이 제한된 경쟁적 프로그램으로 선착순으로 신청이 진행 - 자금이 전액 배정되면 더 이상 자금지원 신청을 받지 않으며, 지난 2년간 추이를 보면 가을까지 프로그램이 완전히 소진되는 것으로 나타났음.
□ 무역 다변화 노력을 촉진하고 강화하기 위해 고안된 자금지원 프로그램으로 현재 성과가 미흡한 국제 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보조금과 기부금을 제공 o 기존 제품 및 서비스의 해외시장 수출마케팅 활동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투자유치를 목적으로 설계되었거나 캐나다에서의 기업의 일상적 업무와 관련된 활동은 해당되지 않음. - 신제품 및 서비스의 개발, 생산, 유통과 관련된 활동 등 또한 해당 없음.
□ CanExport SMEs는 국제화를 위한 장기 전략에 기여하는 활동뿐만 아니라 탐색 활동을 지원 o 기업은 다년간의 프로젝트를 선택하거나 이전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새로운 신청서를 제출할 수 있음. o 최대 5개의 해외시장을 포함하는 것은 기업의 성장을 가속화하고 지역 확장 전략을 추구하는 데 도움.
□ 캐나다 무역위원회(Trade Commissioner Service, TCS), Global Affairs Canada가 NRC IRAP(National Research Council of Canada Industrial Research Assistance Program)와 협력하여 제공 o CanExport SMEs는 모든 산업 분야에 개방되어 있음. o 지원 자격은 다음 기준들을 충족해야 함. - 영리기업, 캐나다 법인으로 유한 책임 파트너십(LLP) 또는 협동조합, CRA(Canada Revenue Agency) 사업번호 보유, 500명 미만의 FTE(Full-time equivalent) 직원 보유, 캐나다에서 최근 확정 세금 신고 연도(월간 및 분기별 신고자의 경우 지난 12개월 동안)에 연간 100,000~1억 달러의 수익의 신고
3.2 CanExport Innovation
□ CanExport Innovation은 국제적인 혁신 노력을 촉진하고 강화하기 위해 고안된 프로그램 o 캐나다 조직(단체)들이 외국 파트너들과 새로운 협력 R&D 파트너십을 수립하고 공식화하는 것을 돕기 위해 보조금을 제공 - 캐나다 중소기업, 학술 기관 및 비정부 연구센터가 해외 시장에서의 파트너십을 통해 R&D 협업을 개발할 수 있도록 최대 75,000달러의 자금을 지원
□ CanExport Innovation은 파트너십이 공식화되는 시점까지 활동에 대한 자금을 제공 o 신청 조직이 보유한 캐나다 기술의 공동개발, 적응 및/또는 검증을 목적으로 추진되는 연구개발 파트너십은 5년 이내에 상용화를 위한 준비가 완료되어야 함.
□ 파트너십의 공식화는 파트너십을 확보하여 R&D 작업을 시작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계약의 서명 후에 완료된 것으로 간주 o R&D 작업 자체를 포함한 R&D 파트너십 공식화 이후의 모든 활동은 CanExport Innovation 자금 지원 대상이 아님.
3.3 CanExport Associations
□ 캐나다 국가 산업 협회 및 무역 단체가 국제 비즈니스 개발 활동을 추진할 수 있도록 연간 최대 $250,000의 자금을 지원 o 캐나다 국가 산업 협회 및 무역 단체는 연간 최대 $250,000의 자금에 접근할 수 있음. o 상업 수출과 관련된 신규 또는 확장된 국제 비즈니스 개발(IBD) 활동을 지원하는 적격 비용의 최대 50%를 회원사 및 비회원사 모두에게 지원
□ Can Export Associations는 회원사 및 다음을 포함한 국가 권한을 가진 캐나다 국가 무역 조직의 제안을 수락 o 캐나다 국가 산업 또는 무역 협회, 캐나다 국가 쌍방(bilateral) 상공회의소 및 business councils, 특정한 권한이나 주제를 가진 캐나다 국가 수평/다분야 무역 조직 - 마지막 경우의 예를 들면, 무역 면에서 약자를 대표하는 그룹들이 소유한 기업들을 대표하는 캐나다 국가 무역 조직(예: 원주민, 여성, 2SLGBTQI+) 등
□ 조직(단체)의 자격 요건은 다음과 같음. o 정관에 의해 확인된 캐나다 비영리법인, 제안된 활동에 대한 비용의 50%를 충당할 수 있는 충분한 민간 수입이 조직의 2년간의 재무제표에 의해 확인되고 보유, 회원들이 판매하는 상품은 비판매
3.4 CanExport Community Investments
□ 이 프로그램은 지역사회와 비영리단체가 외국인직접투자(FDI) 활동을 유치, 유지 및 확대할 수 있도록 재정적 지원을 제공 o 지역사회가 캐나다인들을 위한 일자리를 창출하고 혁신을 지원하며 수출을 늘릴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목적 - 일자리 창출, 혁신 지원 및 특정 유형의 활동을 통한 수출 증가를 위해 FDI 유치, 유지 및 확장 역량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지역사회를 지원
□ 캐나다 커뮤니티와 비영리, 현지에 기반을 둔 조직이 FDI를 유치, 유지 및 확대할 수 있도록 연간 최대 50만 달러의 자금을 지원 o 이 프로그램은 $3,000에서 $50,000 사이의 상환이 불필요한 보조금을 제공하여 적격 비용의 50%까지 지원. 약정은 4월 1일부터 3월 31일까지 1년 동안 이루어짐.
□ 이 프로그램은 인수합병, 캐나다 다른 지역으로부터의 투자, 무역 또는 수출과 관련된 이니셔티브에 자금을 지원하지 않음. o 현지 지역사회 차원에서 비영리 파트너십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
□ 신청할 수 있는 자격과 투자자를 다음과 같이 정의 o FDI를 유치, 유지 및 확장할 수 있는 역량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커뮤니티, 지역사회 차원의 비영리 파트너 등이 신청할 수 있음. o 투자자란, 캐나다에 사업체를 설립 또는 확장하는 국제 비즈니스 및 현지 운영의 관리에 있어서 상당한 발언권을 가진 사람(단순히 주식을 통해 투표하는 사람 및 단순히 자금을 투입하는 사람이 아닌 경우)
□ 이 프로그램은 아래 내용에 준하여 운영 o 대상 활동비용의 최대 50%까지 보상 가능 o 3,000달러에서 500,000달러 사이의 펀딩을 지원받을 수 있음. o 받은 보조금을 상환할 필요가 없음. o 펀딩 계약은 4월 1일부터 3월 31일까지 1년간 o 다른 연방정부의 지원을 받는 경우, 연방정부 총지원의 50%를 초과할 수 없음.
4. 시사점
□ 거의 대부분 국가들의 경우, 중소기업이 수 및 고용 등 면에서 차지하는 비중에 비해 수출 및 해외활동은 현저히 낮은 비중을 차지 o 캐나다의 경우에는 다른 선진국들에 비해 중소기업 수출 비중이 더욱 낮아 중소기업 수출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지원책을 실시 중
□ 한국도 이미 오래전부터 중소기업 수출 증진을 위해 다양한 지원시책을 실시하고 있으나 만족할만한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실정 o 최근 수출 활성화를 위해 수출 중소기업에 대한 전략적 우대 조치를 강화하는 등 지속적으로 기존 시책의 강화 및 새로운 지원 프로그램을 도입 또는 계획
□ 한국의 여건상 수출 성장의 중요성은 재론의 여지가 없지만, 대기업 중심의 수출 및 경제 성장이 지속되어 중소기업 수출 비중 증대는 구조적인 난제 o 중소기업 수출정책의 목표가 중소기업 수출 비중의 증대가 되기에는 현재 여건 및 환경으로 비추어 사실상 달성 가능하지 않음.
□ 따라서 중소기업 수출 비중의 증대보다는 중소기업 수출 증가율 제고가 우선적인 정책 목표가 되어야 할 것 o 중소기업 수출 증가율의 제고는 수출 중소기업 수의 증대, 시장의 다변화, 고부가가치 수출 품목과 서비스의 개발 등이 뒷받침 되어야 할 것임 o 동시에 중요한 것들로는 수출 중소기업의 역량, 정책기관의 역량, 지원기관의 역량, 정책의 역량 등이 수반되어야 하는 요소들 |
|||||||||||
같은저자의 최근자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