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부내용
제 목 | 성장하지 않는 일본 소프트웨어 스타트업~국내 경쟁 촉진을 통한 생태계 창출 | ||
---|---|---|---|
번역제목 | 成長しない日本のソフトウェアスタートアップ~国内競争を促進してエコシステムを創出する | ||
저 자 | 발행기관 | 情報処理推進機構 | |
원문면수 | 13 | 주 제 |
중소기업 일반 > 중소기업 경영실태 Entrepreneurship > 창업 |
원문파일 | |||
[개요]
□ 본 자료는 미국과 일본의 소프트웨어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의거하여 일본의 소프트웨어 스타트업의 문제점과 그 해법에 대해 고찰한 자료 o 일본 소프트웨어 스타트업 상당수는 창업 후 10년간 거의 성장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남 o 일본 소프트웨어 스타트업이 성장하지 않는 이유로는 고객·시장 리스크에 대처하기 위해 필요한 고객발견 노력의 부진, 리스크에 대해 보수적인 창업가, 주력제품과 비즈니스 모델의 피벗에 소극적인 태도 등이 지적되고 있음 o 일본 소프트웨어 스타트업의 성장을 위해서는 외국 소프트웨어 스타트업의 일본 진출 지원이나 사업회사나 IT벤더에 의한 소프트웨어 제품의 적극적인 이용을 통한 국내 경쟁 촉진과 성장 지향의 창업가를 지속적으로 배출하는 노력 등이 필요
[주요 내용]
1. 성장하지 않는 일본 소프트웨어 스타트업
□ 일본 스타트업은 국내 시장에서만 사업활동을 생각하고 있는 기업이 많아, 해외 유니콘 기업처럼 설립 초기부터 해외사업을 전개하는 기업은 아직 적은 것이 현실 o 일본 소프트웨어 스타트업 중 창업 후 10년간 급성장·급확대를 이루는 것은 미국 소프트웨어 스타트업과 비교해 극히 낮은 비율 - 본 자료의 발행기관인 정보처리추진기구가 일본과 미국의 소프트웨어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일본 소프트웨어 스타트업은 창업 후 시간이 지나도 종업원 수나 기업규모가 늘어나지 않고 있음 - 반면 미국의 소프트웨어 스타트업은 대체로 창업 연수가 긴 기업일수록 종업원수가 많고, 규모를 해마다 급성장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사업성장의 라이프사이클 단계별로 보면 일본의 소프트웨어 스타트업은 후기단계까지 성장하고 있는 기업은 적고, 대부분이 초기, 중기단계에 머무르고 있음 o 사업성장의 라이프사이클은 씨앗단계(상업적 사업이 아직 완전히 시작되지 않은 상태), 초기단계(소프트웨어의 개발 및 판매를 시작한 상태), 중기단계(새로운 고객이 붙기 시작해 매출액이 증가하고 있는 상태), 후기단계(사업규모가 확대되고 지속적인 현금흐름이 있는 상태)의 4단계로 파악 - 미국 소프트웨어 스타트업은 대체로 창업연수가 긴 기업일수록 후기단계까지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 본 자료는 일본의 소프트웨어 스타트업이 안고 있는 문제점과 해법에 대해 특히 「고객 개발 모델」에 주목하여 당 기구가 실시한 설문조사에 의거하여 고찰 o 스타트업을 위한 매니지먼트 수법인 「고객 개발 모델」은 비즈니스 모델의 탐색과정인 ‘고객 발견’, ‘고객 실증’과 비즈니스 모델의 탐색과정인 ‘고객 개척’, ‘조직 구축’의 4단계로 구성 - ‘고객 발견’이란 창업자의 비전에 근거해 비즈니스 모델 가설을 구축한 다음 고객의 반응으로부터 가설을 검증하면서, 처음에는 추측에 지나지 않았던 가설을 사실의 뒷받침이 있는 것으로 갈고 닦는 단계 - ‘고객 실증’이란 고객 발견으로 검증된 비즈니스 모델에 재현성이 있고 확장 가능한 것인지를 확인하는 단계 2. 일본 소프트웨어 스타트업이 성장하지 않는 이유
□ 소프트웨어 스타트업의 비즈니스 모델에는 고객·시장 리스크가 존재 o 하이테크 분야에서 스타트업의 비즈니스는 승산이 낮음 - 하이테크 분야에서 어떤 비즈니스 아이디어가 성공해 주식공개에 이르는 것은 100만분의 6, 벤처캐피털리스트가 매년 보는 비즈니스 플랜 중 실제로 자금을 제공하는 것은 1000분의 6, 자금을 제공받은 스타트업이 주식공개에 이르는 것은 10분의 1 - 대부분의 스타트업이 실패로 끝나는 가운데 치열한 경쟁 환경을 이겨온 개척자 기업들은 외부 환경 변화에 맞춰 자사의 비즈니스 모델을 변화시켜온 기업 o 소프트웨어 스타트업이 성장을 계속하기 위해서는 창업자의 비전이나 비즈니스 아이디어를 출발점으로 한 「비즈니스 모델 탐색 활동」에서 비즈니스 모델 가설을 검증하고, 나아가 창업 후에 생기는 새로운 테크놀로지의 출현, 경쟁사의 대두라고 하는 외부 환경 변화에의 대응을 통해서 비즈니스 모델을 발전시켜 나갈 필요가 있음
□ 일본 소프트웨어 스타트업은 고객·시장 리스크에 대처하기 위해 필요한 고객발견기법의 활용이 매우 부진 o 소프트웨어 스타트업은 고객·시장 리스크에 대처하기 위해 고객이 안고 있는 과제의 해결에 필요한 비즈니스 모델에 대해 검증하는 것이 특히 중요 - 사실의 뒷받침을 가지고 비즈니스 모델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고객 발견에 이용할 수 있는 각 기법을 구사하는 것이 유용 o 고객발견 기법을 어느 정도 구사하고 있는지 이용 빈도의 측면에서 질문한 결과 응답한 일본과 미국의 소프트웨어 스타트업에서 현저한 차이가 나타남 - 일본 소프트웨어 스타트업에서는 전혀 사용하지 않는다 잘 사용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눈에 띄고, 게다가 이 기법을 모른다는 응답이 돌출적으로 많다. - 반면, 미국 소프트웨어 스타트업 대부분은 고객 발견기법들을 항상 사용한다 다소 사용한다고 응답
□ 일본의 소프트웨어 스타트업은 사업 확대를 위해서 부채를 지는 것에 소극적 o 많은 일본인 창업가는 리스크에 대해 보수적 - 보수적인 창업가는 은행이나 보수적인 개인 투자자 등 보수적인 자금 제공자를 선호하고 보수적인 자금 제공자 또한 보수적인 창업가를 환영 - 결과적으로 이렇게 보수적인 마인드로 만들어진 스타트업으로는 리스크를 감수하는 사업 운영을 할 수 없음
□ 일본의 소프트웨어 스타트업은 주력제품의 전환(피벗)에 소극적 o 피벗을 실시한 적이 있는 일본의 소프트웨어 스타트업은 절반 이하 수준이고 성장 후기단계에서는 피벗을 실시한 적이 있는 스타트업은 불과 29% - 반면 설문에 응답한 미국 소프트웨어 스타트업은 대부분 피벗 실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남 o 피벗을 실시한 이유로 일본의 소프트웨어 스타트업은 주로 고객에 기인한 이유를 드는 반면, 시장에 기인한 비율은 낮게 나타남 - 반면 미국 소프트웨어 스타트업들은 '타사와의 경쟁 심화', '다른 유망 기술 출현'을 최대 다수 이유로 꼽은 데서 알 수 있듯이 특정 고객뿐만 아니라 시장 전체를 보고 피벗 시행을 결정하고 있음
□ 일본의 소프트웨어 스타트업은 비즈니스 모델의 피벗에도 소극적 o 고객 발견과 고객 실증을 통해서 비즈니스 모델에 문제가 발견되었을 경우는 피벗(비즈니스 모델의 구성요소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요소에 대해 큰 변경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수정 - 비즈니스 모델이란 일반적으로 창업자의 비전이나 비즈니스 아이디어를 경제적인 성과로 연결하는 틀을 말하는데, 본 자료에서는 「린 캔버스」를 이용해 파악 - 「린 캔버스」는 비즈니스 모델을 9가지 요소로 분해함으로써 창업자의 비전과 비즈니스 아이디어를 어떤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완성하고, 어떤 고객에게, 어떤 채널로 전달할 것인지, 수익과 비용은 어떻게 될 것인지를 표현하는 것 o 설문조사에서는 린 캔버스의 9요소에 근거해 설문을 작성해 창업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비즈니스 모델의 변화에 대해 질문(그림 3) - 질문: 귀사의 주력제품인 자사 기획 소프트웨어 제품의 현재 비즈니스 모델은 당초의 것과 비교하여 어느 정도 바뀌었습니까? 비즈니스 모델을 구성하는 9요소별로 5단계로 응답하십시오. o 응답한 일본의 소프트웨어 스타트업은 비즈니스 모델의 변화(크게 변함+약간 변함)가 ‘솔루션’(65%)에 편중되어 있고, 9요소 모든 항목에서 변화가 없다(전혀 변하지 않음+별로 변하지 않음)고 응답한 비율이 높게 나타남 - 반면 미국 소프트웨어 스타트업은 9요소 모든 항목에서 비즈니스 모델의 변화가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매우 높게 나타나고, 변화가 없다고 응답한 기업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남 □ 일본과 미국의 소프트웨어 스타트업에서 비즈니스 모델의 변화가 다르게 나타나는 이유 o 일본의 소프트웨어 스타트업은 창업자 자신이 위험을 감수하면서까지 성장하는 것을 원하지 않거나 보수적인 사업 운영 때문에 비즈니스 모델의 유연성을 확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음 - 많은 일본인 창업가의 창업동기는 회사를 성장시켜 사회적·금전적인 성공을 거두는 것보다 스스로에게 쾌적한 직장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경우가 많음 o 미국과 일본의 소프트웨어 산업에서의 경쟁 환경의 차이 - 일본 시장은 단독으로도 어느 정도의 규모를 가지며, 또 일본 고유의 진입 장벽(언어, 상습관 등)에 의해 외국의 소프트웨어 스타트업이 진출하기 어려운 점도 맞물려, 일본의 소프트웨어 스타트업을 둘러싼 경쟁 환경 자체가 미국과 비교해 그다지 치열하지 않아 경쟁이 약화되고, 그 결과 비즈니스 모델을 변화시킬 필요성도 약화
3. 일본 소프트웨어 스타트업의 성장을 위한 제언
□ 외국 소프트웨어 스타트업의 일본 진출 지원을 통해 국내 경쟁을 촉진 o 해외 진출에 의욕적인 스타트업을 발굴하거나 그러한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를 촉진하는 시책을 강화하는 것은 글로벌 시장에서 승부할 의욕이 있는 스타트업의 배출 촉진책으로서는 효과적 - 그러나 그러한 의욕이 없고, 일본 시장에서 보수적인 사업 운영을 하는 소프트웨어 스타트업에 대한 성장 촉진책으로는 불충분 - 따라서 일본 소프트웨어 스타트업의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뛰어난 소프트웨어 제품을 개발·판매하는 외국 소프트웨어 스타트업의 일본 진출 지원을 통해 국내 경쟁을 촉진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음
□ 사업회사나 IT벤더에 의한 소프트웨어 제품의 적극적인 이용을 통해서 국내 경쟁을 촉진 o 사업회사나 IT벤더가 소프트웨어 제품을 선별해 조달하는 것은 시장에서 소프트웨어 제품의 좋고 나쁨을 결정하는 역할을 담당한다는 것으로 결과적으로 국내 경쟁을 촉진
□ 성장 지향의 창업가를 지속적으로 배출 o 국내 경쟁을 촉진하면 당연히 도태되는 일본의 소프트웨어 스타트업도 늘어나기 때문에, 그것을 보충해 경쟁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만큼의 새로운 소프트웨어 스타트업을 차례차례로 탄생시킬 필요가 있음 - 소프트웨어 스타트업에 대한 지원정책에서는 성장 지향의 창업가를 파악해 지원을 집중시키는 등 한정된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해 조금이라도 성공 확률을 높일 수 있는 노력도 필요 o 세계적으로 매우 낮은 수준에 있는 일본의 창업환경에서 성장 지향의 창업가를 지속적으로 배출하려면 창업 무관심층에 대한 압박도 중요 - 일본 소프트웨어 스타트업의 성공사례를 창출하거나 이미 있는 성공사례를 백서 등의 발행물이나 웹사이트에 게재하여 정보제공 및 계발을 실시 - 창업 무관심층에서 창업인재를 발굴하거나 창업 무관심층이 가진 창업에 대한 가치관을 좋게 만들어 창업이라는 커리어 패스를 사회 전체에서 긍정적으로 포착하도록 하는 노력도 필요
4. 시사점
□ 일정규모의 내수시장을 확보하고 있는 일본과는 달리 내수시장만으로는 경쟁력을 확보하기 어려운 우리나라 소프트웨어 스타트업은 글로벌 경쟁력 확보가 필수불가결 o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제품과 비즈니스 모델의 피벗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미국의 소프트웨어 스타트업의 경험을 접목할 필요가 있음 o 글로벌 경쟁력은 글로벌 경쟁환경에서 창출될 수 있는 만큼 경쟁을 저해하는 각종 규제를 글로벌 스탠다드 수준에 이를 때까지 네거티브 방식으로 혁파하고, 글로벌 성장지향의 창업가를 지속적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마련이 필요 |
|||
같은저자의 최근자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