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자료 세부내용

home> 연구자료 세부내용

세부내용

트위터 페이스북
내용
제   목 비용 상승 및 공급 제약이 중소기업 수익에 미친 영향과 가격전가 실태
번역제목 商工中金景況調査(2022年5月調査・トピックス調査分)~中小企業収益へのコスト上昇・供給制約等の影響、および中小企業における価格転嫁の進捗状況
저   자 商工中金 발행기관 商工中金
원문면수 25 주   제

중소기업 일반 > 중소기업 경영환경

원문파일


[개요]

 

코스트 상승 및 공급제약 등이 중소기업 수익에 미치는 영향과 중소기업의 가격전가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

o (수익 악화 요인) 전체의 70~80%가 에너지 가격의 급등과 원재료·상품 부족을 지적

- 임금상승과 인력부족, 엔화가치 하락은 비교적 영향이 경미한 것으로 평가

o (가격전가) 전체의 70% 정도가 다소라도 가격전가를 실시했지만, 비용 상승분의 70% 이상을 전가할 수 있는 중소기업은 향후 1년까지의 전망을 포함해도 30% 이하 수준

- 업종별로는 도매업과 금속관련 제조업에서 비교적 가격전가가 이루어지는 반면 운수업, 음식·숙박업에는 50% 정도가 현재 전혀 전가할 수 없는 상황

- ‘어느 정도 가격전가에 성공한기업의 90%가 거래선과 가격전가를 위한 조정·검토를 시행

- 반면 현재 및 향후에도 가격전가를 전혀 할 수 없다는 기업의 40% 정도는 거래선과의 조정·검토 자체를 미실시

 

[주요 내용]

 

일본 상공중금(商工中金)은 코스트 상승 및 공급제약 등이 중소기업 수익에 미치는 영향과 중소기업의 가격전가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

에너지 가격의 급등과 원재료·상품 부족에 따른 악영향이 발생했으나 임금상승과 인력부족, 엔화가치 하락 등의 영향은 비교적 경미한 것으로 조사

o ‘영향이 크다라는 응답이 차지하는 비중은 에너지 가격 이외의 소재·원재료 및 매입상품 가격의 급등(47.5%) 에너지 가격 급등(46.8%) 원재료 및 매입상품의 부족·도착 지연에 의한 기회손실 발생, 비효율화(36.2%) 타사 위탁 수송운임·물류비용의 상승(24.1%)의 순

에너지 가격 이외의 소재·원재료 가격과 매입상품 가격 급등이 미친 영향을 보면, 제조업을 중심으로 광범위한 업종에서 영향이 크다라는 응답이 과반 이상을 차지

o 전체 산업의 경우 영향이 크다’ 47.5%, ‘영향이 경미하다’ 38.3%를 차지, 80% 이상의 기업이 영향을 받은 것으로 응답

o ‘영향이 크다라고 응답한 업종을 보면 화학(64.2%), 전기기기(62.7%), 수송용기기(62.6%), 기타 제조업(62.1%), 금속제품(61.7%) 등의 순

- 이들 업종의 소재·원재료는 수지, 나프타(화학) 구리, 납 등 비철금속(전기기기) 목재, 염료, 원사(기타 제조업) 강재, 화학약품(금속제품)

반도체 등 부품소재와 매입상품의 부족·도착 지연에 의한 기회손실도 광범위하게 발생

o 운수업의 경우 에너지 가격 급등의 영향이 특히 심각(‘영향이 크다의 비중이 71.1%를 차지)

- 반면 운임·물류비용 상승의 악영향을 지적하는 응답은 비교적 적어(24.3%) 물류업자의 수익 압박이 크다는 것을 시사

 

제반 비용 상승과 관련된 가격전가 실태를 보면 약 70% 정도가 다소라도 가격전가를 실시했지만 비용의 70% 이상을 전가할 수 있는 기업의 비중은 향후 1년까지의 전망을 포함해도 30% 이하 수준

o 제조업의 경우 철·비철, 금속제품 등 금속관련 업종에서 비교적 가격전가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현재까지 다소라도 가격전가를 실시한 기업의 비중은 79.4%를 차지

- 업종별로 보면 철·비철금속 87.3%, 금속제품 85.7%, 전기기기 82.0%, 범용, 생산용, 업무용 기계 81%의 순

o 비제조업의 경우 운수업, 음식·숙박업에서는 50% 정도가 전혀 가격전가를 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

- 업종별로 현재까지 전혀 가격전가를 하지 못한 비중을 보면 음식·숙박 47.2%, 운수업 46.6%, 정보통신업 32.6%, 기타 비제조업 32.7%의 순

매출액 규모별 가격전가 실시 상황을 보면 매출액 규모가 작을수록 가격전가가 어려운 것으로 조사

o 현재까지 전혀 가격전가를 실시하지 못했다는 비중을 보면, 10억엔 이하 30.6%, 10~20억엔 26.2%, 20~50억엔 22.5%, 50억엔 이상 18.3%

o 특히 중층적 하청구조인 운수업에서는 규모 간 격차가 더욱 큰 것으로 조사

- 현재까지 전혀 가격전가를 실시하지 못했다는 비중을 보면, 10억엔 이하 55.2%, 10~20억엔 55.8%, 20~50억엔 35.3%, 50억엔 이상 27.1%

 

전체의 약 2/3 기업이 판매가격의 검토·조정을 실시한 후에 어느 정도의 가격전가를 실현

o ‘검토·조정의 결과 충분하지는 않지만 전가하였다의 비중은 60.1%, ‘검토·조정의 결과 충분히 전가하였다5.6%를 차지

o 검토·조정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전혀 전가를 할 수 없었다고 응답한 비중은 운수업(22.3%), 건설업(16,1%), 음식·숙박(15.9%), 화학(14.9%), 수송용기기(13.7%)의 순

 

가격전가가 어려운 이유에 대해 자유롭게 언급한 내용을 보면 경쟁 상대방의 상황, 원청업체의 상황, 기업의 사회적 포지션 등이 가격전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

o 가격전가가 어려운 이유로 경쟁상대의 가격인상 의뢰가 없기 때문에 어려운 상황(전기기기) 메이커의 생산조정에 따라 수주가 크게 감소, 현재 수주 상황에서는 가격인상 교섭이 불가능(수송용기기) 공공교통이기 때문에 요금체계를 자유롭게 설정하는 것이 불가능(운수업) 가격을 인상하면 고객이 이탈하기 때문에 불가능(음식·숙박) 등을 지적

같은저자의 최근자료
컴퓨터아이콘이미지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