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자료 세부내용

home> 연구자료 세부내용

세부내용

트위터 페이스북
내용
제   목 IMD 「세계경쟁력연감」2023년판으로 보는 일본의 경쟁력: 개별 요소로 본 일본의 강점과 약점 및 경쟁력 강화의 방향성
번역제목 IMD「世界競争力年鑑」2023年版からみる日本の競争力:個別要素からみた日本の「強み」「弱み」と競争力強化の方向性
저   자 발행기관 三菱総合研究所
원문면수 web 주   제

중소기업 일반 > 중소기업 경영실태

관련사이트 https://www.mri.co.jp/knowledge/insight/20231030.html
원문파일

 

 

[개요]

 

본 자료는 세계경쟁력연감2023년판 경쟁력 항목의 대분류별 심층분석과 경쟁력 영향요인의 분석을 통해 일본의 강점과 약점을 분석하고 경쟁력 향상의 길을 제시

o 일본의 경쟁력 종합순위 부진은 연구개발 지출이나 연구개발 인재수, 대학 이상의 교육을 받은 비율 등 지식자본에서 상대적 강점이 있지만, '디지털화창업·신진대사', '조직자본', '글로벌화등에서 취약하다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됨

o 일본이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창업·신진대사의 촉진, '글로벌화대응력 향상, '디지털화', '조직자본', '인적자본의 총체적 개혁이 필요

 

[주요 내용]

 

1. 경쟁력 항목의 대분류별로 보는 일본의 경쟁력 심층분석과 문제점

 

경제상황의 경쟁력 순위는 26위로 비교적 양호하지만 글로벌 측면에 문제점

o 경제상황 분야에서 무역분야가 202249위에서 202357위로 크게 하락

- 세부 항목별로는 무역액(60), 재화수출액(55) , 관광수입(58) 등이 매우 낮게 나타남

o 국제투자12위로 높은 순위를 유지했지만 세부 항목별로 강점과 약점이 혼재

- 대외직접투자 플로우는 2, 스톡은 8위였던 반면, 대내직접투자 스톡은 GDP 대비 최하위인 64

- 대내직접투자는 중장기적으로 기술 및 지식자본의 스필오버(파급)와 경쟁촉진을 통해 생산성, 잠재성장률 및 소비자 편익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

 

정부효율성202239위에서 42위로 하락했는데 경제변화나 신사업 촉진을 위한 정책 대응력에 문제점

o 정부효율성을 소분류로 보면 재정은 재정적자, 일반정부채무 등 복수의 재정수지 관련 지표에 의해 하위권 고착화

- ‘제도적 틀’(28)은 환율 안정성(61)과 경제변화에 따른 정책대응 적절성(52), 중앙은행 정책(49) 등이 약점

- ‘사업법제’(38) 에서는 스타트업에 필요한 기간(37)이나 절차의 복잡성(49), 신규사업의 밀도(56), 해외에서 본 투자 인센티브(54), 해외에서 본 계약의 개방성(55) 등의 평가가 낮아 신진대사를 촉진하는 환경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사업효율성47위로 조직자본과 글로벌화 대응에 문제점

o 사업효율성분야의 생산성·효율성’(54)에서는 1인당 GDP(금액 39, 성장률 27)와 노동생산성(37)이 중간수준이고, 경영층을 대상으로 한 설문항목인 노동생산성 평가(52), 기업효율성 평가(대기업 61, 중소기업 62)와 디지털화를 활용한 실적 개선(61)은 하위권

o 노동시장’(44) 관련에서는 관리직의 국제경험(64)이나 유능한 관리직의 확보(62) 등 관리직에 대한 질량 양면에서의 평가나 해외의 고숙련 노동자에 대한 매력 제공도(54)라는 항목의 평가가 계속 낮은 수준

o 경영 프랙티스분야는 62위로 2022년의 최하위에서는 벗어났지만 기업의 사회적 책임감의 강도(2)나 소비자 만족의 중시(3)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지표가 하위권에 있고 개선 경향이 보이지 않음

- 특히 기업의 의사결정의 신속성, 빅데이터 분석의 의사결정 활용, 기업가정신 등 3개 항목에서 최하위(64)를 차지했고 변화하는 시장에 대한 인식(58), 기회와 위협에 대한 신속한 대응(62) 등 조직자본과 관련된 많은 항목에서 평가가 낮음

- 기타 지표에서도 이사회 기능(45), 경영진 여성 비율(59), 이사회 여성 비율(46) 등의 순위가 낮고 개선되지 않고 있음

o 노력·가치관’(51)에서도 해외 아이디어를 널리 받아들이는 문화 개방성은 최하위이고 글로벌화를 향한 태도(46)도 낮아 글로벌화에 대한 의식이 낮은 것으로 나타남

- 또한 변화에 대한 유연성과 적응성(63), 기업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X)(50)이나 경쟁력을 뒷받침하는 사회의 가치관(53) 등의 평가도 여전히 낮은 상황

 

인프라23, 소분류에서는 과학 인프라건강·환경의 순위가 모두 8위로 비교적 양호하지만 기업 요구를 충족시키는 기술인력·경영인력 부족이 문제점

o 과학 인프라에 포함되는 연구개발 지출은 총액기준 3위이고 GDP 대비는 6

- 이 중 연구개발 인재수는 총계로 4, 기업내는 3, 논문 수는 6, 특허 총계는 3

- 반면 연구나 이노베이션을 촉진하는 법제 정비(48)나 지적재산권 보호(34), 산학간 지식 이전의 활발함(43) 등은 부진하여 연구개발에 의해 축적된 강한 지식자본의 폐쇄성을 타파하고 폭넓게 비즈니스에 응용, 활용하는 구조에는 개선의 여지가 많음

o 건강·환경에서는 재생 가능 에너지의 점유율(50) 등 환경관련 지표에는 하위인 것도 있지만, 환경관련 기술이나 기업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의식, 평균 수명, 건강 수명(모두 2) 등 건강 관련 지표는 최상위 수준

o 기술 인프라’(33)에서는, 디지털 기술자(63)나 전문적 기술자(54)의 조달 가능성의 순위가 낮고, 일본 경영자층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기술인재의 부족이 문제로 나타남

o 교육분야(35)에서는 전문학교, 대학 이상의 교육을 받은 비율(6), 학습도달도(PISA)(5) 등은 높은 순위를 유지하고 있음

- 그러나 글로벌화 대응이나 산학협력과 관련성이 높은 대학 레벨의 해외로부터의 유학생수 비율(43), 해외로의 유학생수 비율(60), 영어능력을 측정하는 토플 스코어(64)의 순위는 낮음

- 경제가 필요로 하는 대학교육(56)이나 사업이 필요로 하는 경영자교육(60), 기업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어학능력(60)에 대한 경영층의 평가는 낮은 수준

    


2. 경쟁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여기에서는 경쟁력에 영향을 준다고 상정되는 8개의 영향요인을 설정하여 이들 영향요인이 종합경쟁력 지표에 미치는 정도나 영향요인 간 상관관계를 분석

o 영향요인은 통계나 설문조사에서는 얻을 수 없는 잠재변수로 도표 1에서 타원으로 둘러싸여 있는 변수

- 영향요인(잠재변수)조직자본' '인적자본' '지식자본외에 창업·신진대사' '세계화' '·제도·규제' '디지털화' '탈탄소8가지

- 이들 영향요인이 세계경쟁력연감2023년판에서 얻을 수 있는 관측변수인 종합경쟁력 지표에 미치는 정도를 구조방정식 모델로 분석

o 영향요인이 경쟁력에 미치는 정도를 분석한 결과 8개의 요인이 모두 경쟁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지만, 특히 창업·신진대사글로벌화', '조직자본', '·제도·규제변수의 영향이 강하고, '탈탄소가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은 비교적 약한 것으로 나타남

   

external_image

 

영향요인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지식자본을 제외한 7요인의 상호보완성이 강한 것으로 나타남

o 경쟁력 종합순위에 가장 강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창업·신진대사는 이를 뒷받침하는 ·제도·규제인적자본' '디지털화조직자본과 같은 보완적 요소와 상관관계가 강함

- 이것은 창업·신진대사가 활발한 나라에서 ·제도·규제인적자본', '조직자본', '디지털화도 정비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

o 글로벌화·제도·규제조직자본' '인적자본과의 상관관계, '조직자본인적자본 디지털화의 상관관계, '·제도·규제인적자본' '탈탄소의 상관관계도 강한 것으로 나타남

o 반면 지식자본은 다른 영향요인들과의 상관관계가 약한 것으로 나타남

- '지식자본은 경쟁력을 일정 정도 규정하는 요인이기는 하지만, 그 축적은 창업·신진대사조직자본, '인적자본의 정비로 이어지지 않고 있어, '지식자본이 모종의 폐쇄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보임

 

external_image

 

경쟁력에 영향을 미치는 8요인 중 상호보완적인 상위 6요인의 낮은 순위가 일본의 경쟁력 종합순위(35)의 부진으로 나타남

o 영향요인별로 나라별 순위를 보면 일본은 지식자본'(3)이나 탈탄소'(7)에서 상대적 강점이 있지만, '디지털화'(61)창업·신진대사'(54), '조직자본'(56), '글로벌화'(49)에 약점이 존재

- '지식자본이외의 7개 요소에서는 벨기에, 네덜란드, 덴마크, 아일랜드 등 톱10 안에 드는 많은 나라가 중첩되어 있어 이들 요인의 상호보완성이 강한 것으로 나타남

 

external_image

 

3. 일본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과제

 

세계경쟁력연감의 분석결과로부터 일본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과제로는 먼저 창업·신진대사의 촉진이 필요

o 코로나 사태에서 일본은 이전보다 기업이나 신진대사 촉진보다 기업 존속 지원에 정책의 중점을 두어 결과적으로 좀비기업이 연명·증가했을 가능성이 높음

- 수익력이 낮고 정상적인 경제구조 하에서는 존속하기 어려운 좀비기업의 존속은 신진대사 정체와 생산성 저하뿐 아니라 금융시스템 불안을 야기할 수도 있음

o ‘창업·신진대사요인이 법제면과의 상관관계가 강하다는 점에서 세제나 지적재산 보호 등을 포함한 창업촉진책과 더불어 청산이나 사업양도에 관련된 절차 간소화 등을 실시하는 것이 효과적

- 인적자본과의 상관관계가 강한 점에서는 경영인재나 디지털 기술자 등 사업의 필요에 부응할 수 있는 전문인재의 확보나 성장영역으로의 원활한 노동이동 실현을 위한 근로자의 리스킬링 지원책의 충실화 등을 추진할 필요성이 높음

 

일본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과제로 글로벌화대응력 향상도 시급

o 일본은 재화·서비스 수출 비율, 낮은 무역비율에 더해 대내직접투자가 적은 것이 문제점으로 부각

- 특히 대내직접투자의 저조는 외국계 기업이 본 일본의 매력도의 저조, 폐쇄성을 반영하고 있음

- ‘글로벌화와 상관관계가 높은 ·제도·규제면과 관련하여 일본에서도 대내직접투자 확대는 중요한 정책과제로 인식되어 대일 직접투자 촉진 전략(20216월 대일 직접투자 추진회의 결정) 등의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커다란 개선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음

o 개선방향으로 생각할 수 있는 것은 창업·신진대사의 촉진

- 창업환경이 양호한 나라일수록 대내직접투자가 많은 경향이 있는 만큼, 법인 설립의 간소화 등에 의한 창업환경의 정비나 인재의 국제경험의 축적이나 해외로부터의 숙련 노동력의 수용 촉진 등이 필요

 

일본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과제로 디지털화', '조직자본', '인적자본의 총체적 개혁도 중요

o 일본이 뒤처진 디지털화조직자본', '인적자본과의 상관관계가 강한 만큼 일본의 기업에서 디지털화가 가능한 범위를 파악한 후, 그에 부합되는 방향으로 조직, 인재를 총체적으로 변혁할 필요가 있음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X)을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 가치창출과 경쟁우위를 확보하는 것이라고 정의하면, 계속 진화하는 디지털 기술 하에서 DX는 사업이나 조직의 모습에 지속적인 변혁을 요구

- 특히 일본의 약점 항목인 의사결정 지원이나 시장동향 파악, 신사업 창출, 사업파트너 탐색, 나아가 업무 효율화 등 디지털화를 통한 조직자본면에서의 과제해결의 여지가 큼

- 아울러 인적자본 면에서도 디지털 인재의 확보와 육성 시스템을 정비하고 양적, 질적 충실을 통해 디지털화', '조직자본', '인적자본을 총체적으로 개혁해 나가는 것이 일본의 경쟁력 향상의 필요조건

 

4. 시사점

 

경쟁력 종합순위에서 일본(35)과 크게 다르지 않은 한국(28)도 경쟁력 대분류별 심층분석을 통해 문제점 인식과 경쟁력 제고를 위한 정책 대비가 필요

o 한국도 일본과 마찬가지로 연구개발 지출이나 연구개발 인재수, 대학 이상의 교육을 받은 비율 등 지식자본에서 상대적 강점이 있지만 글로벌화', '디지털화', '조직자본', '인적자본등에서 취약하다는 지표가 적지 않은 만큼 개선을 위한 적극적 노력과 정책지원이 필요

 


같은저자의 최근자료
컴퓨터아이콘이미지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