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home > 인력/고용 > 기타

세부내용

트위터 페이스북
내용
제   목 늦어지는 임금회복이 초래한 일본의 노동분배율 저하
번역제목 労働分配率は低下している∼分配政策の壁は何か?
저   자 第一生命経済研究所 발행기관 第一生命経済研究所
원문면수 3 주   제

인력/고용 > 기타

원문파일

[개요]

 

최근 일본의 노동분배율이 저하되고 있는 것은 코로나 여파로 기업들의 실적이 악화되면서 임금을 인상할 여력이 부족하기 때문임.

o 기시다 정권의 핵심정책인 분배정책은 현 상황에서 성과를 내기 어렵다는 점에서 임금의 유연성을 회복하려면 세제혜택 이상의 더욱 세심한 제도개혁이 필요함.

 

일본기업이 더욱 유연하게 인원조정을 할 수 있어야 하지만 경기가 나빠져 곧바로 해고하는 고용시스템도 바람직하지 않음.

o 정년연장 등 연장자 고용책임을 기업에 맡기기보다 연장자의 고용의무를 완화하는 쪽이 기업의 유연한 임금상승을 촉진할 수 있을 것임.

 

[주요 내용]

 

분배 중심의 경제정책을 내세우며 출범한 기시다 정권은 임금인상에 적극적인 기업을 대상으로 한 세제 혜택을 논의 중

o ’22년도 경제재정 운영 기본방침을 통해 사람에 대한 투자를 전면에 내세웠지만 그러한 정책의도와 달리 기업의 노동분배율은 저하되고 있음.

- ’211012월 노동분배율은 ’9379월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며, ’2213월은 그 다음으로 낮음.

o 노동분배율 저하는 인건비가 증가하기 어렵기 때문으로, 코로나로 인해 기업의 경상이익이 줄었고 ’2013월부터 ’201012월에 걸쳐 노동분배율이 급상승해 인건비 부담이 컸음.

- 그것이 인건비 억제압력이 되면서 현재까지 계속되고 있음.

- 부가가치는 ’2113월부터 최근까지 개선되고 있는데, 일각에서는 자원가격 상승으로 인한 채산성 악화를 주장하지만 거시적으로 보면 부가가치는 삭감되지 않고 있음.

o 노동분배율을 계산할 때 분자에 해당하는 인건비는 증가하기 어렵고 그에 선행해 분모인 부가가치가 증가하고 있는 것이 현재 상황임.

재무성 법인기업통계에 의하면, 1인당 인건비(임원+종업원)’2113월의 바닥에서부터 상승하고는 있지만 아직 코로나 이전(’2013) 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음.

o 즉 기시다 정부가 임금인상을 위해 세제혜택을 확대하는 등 기업들을 독려하고 있지만, 아직은 코로나 이후 삭감된 임금이 회복되는 단계임.

o 일본의 임금은 위기 시에는 쉽게 줄고 회복기에는 느리게 회복되는 상방 경직성이 있는데, 이러한 체질은 정치적 의도에 따라 곧바로 바뀌기 어려움.

 기업규모별 노동분배율 추이를 보면, 자본금 1,0002,000만 엔 규모의 중소기업의 경우 현저하게 저하된 것을 알 수 있음.

o 이는 코로나로 음식·숙박 등 중소 서비스 업체가 가장 큰 타격을 받은 결과인 반면, 대기업과 중견기업은 코로나 이전 트렌드로 회복되고 있음.

- 중소기업일수록 경제적 타격이 지금도 강하게 남아 있어 임금이 상승하기 어려운 상황인 것을 보여주고 있음.

 

법인기업통계는 임원·종업원별로 급여와 상여금을 구분하고 있기 때문에 어떤 종류의 임금이 삭감되고 있는지 확인이 필요함.

o ’17년도를 기준으로, 가장 변동이 심한 것은 임원의 상여금이었으며, 변동 폭이 작은 것은 종업원 급여로서 임원 보수보다 변동 폭이 작은데도 수준 회복이 늦어지고 있음.

- 종업원은 리스크 회피형 보수여서 불황기에도 보수가 줄어들기 어렵지만 대신 호황으로 돌아서도 한동안은 늘어나지 않기 때문에, 최근처럼 물가가 상승하면 임금상승률이 할인되면서 실질임금은 하락

 

사실 종업원의 급여 이상으로 변동이 작은 것은 인원수로, 일본기업은 경기가 변동해도 인원을 삭감하는 경우가 적음.

o 기업이 과잉인원을 보유하는 동안은 직원들의 급여가 늘어나기 어려운 이유는 개인들이 대부분 리스크 회피적 성격이 있고 고용조정보다 장기간의 급여삭감 쪽이 낫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이번과 같이 임금 회복이 늦어지는 것임.

o 고용조정을 피하려는 생각이 우선하기 때문에 호황기에도 임금이 상승하지 않는 상방경직성이 생긴다는 점이 분배를 촉진하고자 하는 기시다 정권에는 큰 장벽이 되고 있는 것임.

 

경제의 메커니즘을 생각하면 일본기업이 더욱 유연하게 인원조정을 할 수 있어야 하지만 경기가 나빠져 곧바로 해고하는 고용시스템도 바람직하지 않음.

o 기업들은 고용안정과 임금상승을 동시에 추구하지 못하기 때문에 당분간 임금억제를 견디어 낼 수밖에 없음.

- 단 디지털화와 아웃소싱 확대로 구조적으로 많은 잉여 인원을 보유한 기업들이 생겼고, 잉여 인원은 기능이 진부해진 50대 이상의 시니어이기도 함.

- 고용이 연장된 인원을 무리하게 끌고 가면 젊은 사원의 급여가 올라가기 어렵고, 시니어들이 많아 젊은이들의 활약이 제한되면 의사소통도 나빠짐.

 

일본 정부는 정년연장 등 연장자 고용책임을 기업에 맡기기보다 연장자의 고용의무를 완화하는 쪽이 기업의 유연한 임금상승을 촉진할 수 있을 것임.

o 일본 정부가 기업이 임금을 인상할 수 있도록 노력 중이지만, 노동시장 구조를 생각하면 세제만으로는 한계가 있고 더욱 세심한 제도변경이 필요함.

같은저자의 최근자료
컴퓨터아이콘이미지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