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협력
세부내용
제 목 | ‘디지털 클러스터’ 13개 연합체(컨소시엄) 선정 | ||
---|---|---|---|
저 자 | 중소벤처기업부 | 발행기관 | 중소벤처기업부 |
원문면수 | 3 | 주 제 |
기술/정보화 > 기타 기타 > 기업협력 |
원문파일 | |||
□ 중소벤처기업부(장관 이영, 이하 중기부)는 디지털 복제물(디지털 트윈) 구현 등 지능형공장(스마트공장) 간 연결ㆍ협업을 지원하는 ‘디지털 클러스터(선도형, 일반형) 구축사업’ 참여 연합체(컨소시엄) 13개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 ‘디지털 클러스터(선도형, 일반형) 구축사업’은 개별공장 중심의 지능화(스마트화)를 넘어 가치사슬 또는 협업기업이 지능형공장(스마트공장)을 기반으로 자료(데이터)ㆍ연계망(네트워크)를 연결해 ◦ △분업생산, △수‧발주, △자재관리‧물류‧유통, △판로·마케팅ㆍ에이에스(AS) 등의 공동 업무(비즈니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으로 ‘21년도에 신설됐다.
□ 연합체(컨소시엄)당 10개사 이상의 제조기업이 참여해야 하며, 디지털 기술을 활용함에 따라 기존의 입지 중심의 군집형 클러스터 방식을 벗어나 원거리 기업 간에도 하나의 공장처럼 다양한 협업이 가능하다. ◦ 디지털 클러스터 사업은 지원 기간, 고도화 수준 등에 따라 선도형과 일반형으로 구분되며, 선도형은 연합체(컨소시엄)당 향후 3년간 최대 97억원을, 일반형의 경우 연합체(컨소시엄)당 1년간 최대 25억원을 지원받는다.
□ 연합체(컨소시엄)는 참여기업의 개별 지능형공장(스마트공장) 구축과 함께 공장 간 자료(데이터)ㆍ연계망(네트워크)를 연결해주는 공동ㆍ협업 지능형(스마트)시스템 구축을 추진하게 된다. ◦ 이번에는 선도형 3개, 일반형 10개 연합체(컨소시엄)이 선정됐다.
□ 선정된 디지털 클러스터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선도형 디지털 클러스터) △ ㈜심팩 등 10개사 협업, ‘철강제조 디지털 클러스터’ △ 명진실업(주) 등 13개사 협업, ‘가구부품 디지털 클러스터’ ◦ (일반형 디지털 클러스터) △ ㈜부성 등 13개사 협업, ‘개방형 섬유제조 디지털 클러스터’ △ (주)뷰티화장품 등 11개사 협업, ‘화장품ㆍ뷰티 디지털 클러스터’ |
|||
같은저자의 최근자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