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경영환경

home > 중소기업 일반 > 중소기업 경영환경

세부내용

트위터 페이스북
내용
제   목 중소기업을 둘러싼 환경, 과제 및 정책 제언
번역제목 改めて中小企業の可能性を問う~弱者救済から強者育成へ:中小企業研究委員会報告書
저   자 日本経済調査協議会 발행기관 日本経済調査協議会
원문면수 75 주   제

중소기업 일반 > 중소기업 경영환경

원문파일

[개요]

 

일본경제조사협의회 중소기업연구위원회가 일본 중소기업을 둘러싼 환경 및 과제를 살펴보고, 정책 상황을 조사, 검토해 중소기업 지원 방향을 제언

* 본 보고서는 ’1812월부터 ’2112월까지 3년에 걸쳐 개최된 중소기업연구위원회의 활동 내용을 바탕으로 정리

o 전후 일본의 중소기업 정책은 오랫동안 중소기업을 약자로 인식하고 지원이 필요하다는 전제로 약자구제형으로 실시됐지만, 향후에는 중소기업이 가진 잠재력을 살려 강자육성관점이 중요시되는 경제사회 구조로 변화

o 따라서 정책 면에서 긴급시 대응과 평상시 성장지원책 간 균형을 유지하고 과감한 정책자원 투입을 통해 변혁을 촉진함으로써 중소기업이 기존과 다른 발상의 전환을 통해 자신의 강점을 발휘할 수 있도록 환경 정비 필요

 

[주요 내용]

 

동 위원회는 현대의 일본 중소기업 과제를 사업승계 문제 산업 집적 국제 전략 생산성 둔화 사회적 관점 필요성 등 5가지로 정리해 제언

 

(사업승계 문제)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인구 동태의 영향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업 승계 문제를 패밀리관점에서 분석

o 중소기업의 상당수는 가족, 친족이 관여하는 정도가 강해 사업승계를 생각할 때도 그러한 패밀리 요소가 중요한 경우가 많아, 장기적으로 안정되고 건전한 경영을 위한 패밀리 거버넌스의 개념 정립 필요

 

(산업 집적) 기업 활동은 소재지와 불가분, 특히 중소기업은 거래 네트워크, 사업 내용, 시장, 종업원 생활 등 여러 측면에서 지역과의 연결이 강해, 이러한 지리적 요소가 핵심에 있는 산업 집적이 중요

o 산업 집적이 반드시 단기적인 이윤 증대로 연결되지는 않지만, 장기적인 관계로 보면 정보 축적을 통해 질, 양 모두 충실해질 가능성을 지적

o 이러한 역내 환경 변화(중소기업 감소, 구조 변화 등) 및 그에 대한 대응방식(네트워크 재구축 등)이 향후 중소기업 경영이나 지역의 바람직한 방향을 고려할 때 중요

 

(국제 전략) 글로벌 체제하의 경영전략이라는 관점에서 중소기업의 해외진출은 대기업에 비해 리스크가 커 중소기업 경영에 큰 영향

o 중소기업의 해외진출에도 몇 가지 다른 동기와 배경(제휴, 원가절감, 시장 개척 등)이 있으며, 환경 변화에 따라 당초 목적, 고객 등을 변경해 가면서 사업을 지속하는 유연한 대응도 필요

 

(생산성 둔화) 일본 중소기업 부문에는 혁신 의욕이 풍부하고 높은 생산성을 자랑하는 기업도 다수 존재하지만, 전체적으로 보면 대기업에 비해 생산성 수준, 성장이 모두 낮은 실정

o 생산성 향상은 임금 인상을 비롯한 폭넓은 경영상의 선택지를 넓힐 수 있는 방법으로, 무엇보다 생산성을 높이는 특별한 묘책은 없고 혁신 창출을 비롯한 경영 노력을 거듭해 나가는 것이 지름길

o 중소기업의 혁신 활동에 초점을 맞춰 시장 트렌드를 선도하거나 디지털 혁명의 성과인 IT의 이활용 등 기존 중소기업에서 소홀히 다뤘던 외부 혁신자원 활용 방안을 제시

 

(사회적 관점 필요성) 향후 중소기업에서 빼놓을 수 없는 또 하나의 과제로서, 기존의 경제적 논의의 틀에서는 충분히 취급할 수 없었던 넓은 의미에서의 사회 전체 관점에 대한 필요성이 날로 증대

o 중소기업에서의 기업과 사회의 관계는 그 중요성이 인식되기는 했지만, 실제 논의는 상대적으로 적었던 것이 현실

o 그러한 가운데 최근 환경문제에 대한 위기감 증대, 시장원리 중심의 경제가 낳는 왜곡에 대한 문제의식 고조 등을 배경으로 기업과 사회의 관계를 명시적으로 조명(: SDGs*, ESG** )하고 관련 대응의 본격화 필요

*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지속가능발전목표

** (Environment, Social, Governance) 환경, 사회, 지배구조

 

중소기업이 수행하는 역할의 크기와 중소기업만의 여러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폭넓은 중소기업 지원책을 통한 중소기업의 변혁 촉진 필요

o (현재) 우선 정부 및 공공기관에 의한 중소기업 지원책의 전체상을 살펴본 후 코로나19 사태를 포함한 최근 지원책과 향후 방향에 대해 설명

- 최근의 중소기업 지원책에는 긴급시 일률적인 금융 지원이 있는 한편, 다양한 관계기관에 의한 폭넓은 지원책을 통해 세심하게 대응하는 평상시 대응도 존재

o (향후) 대규모 경제 충격을 받은 긴급시 대응과 평상시 각 사업자 사정에 따른 지원의 분리·균형과 과감한 정책자원 투입이 중요시

- 중소기업을 지원하는 폭넓은 관계기관 중 중소기업에 가장 가까운 거리에서 지원하고 있는 몇몇 공공기관의 구체적인 지원 사례*를 소개

* 상공회의소, 일본정책투자은행, 중소기업지원센터

- 지원 대상인 중소기업 자신의 경영과제가 매우 다양하고 시대에 따라 달라지는 점을 감안하면, 중소기업청을 비롯한 중앙정부의 기본방침 및 지원기관에 의한 지원수단·운용도 경제·사회환경에 따라 적절히 재검토·개선해 나갈 필요


같은저자의 최근자료
컴퓨터아이콘이미지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