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home > 판로/유통 > 기타

세부내용

트위터 페이스북
내용
제   목 강하고 창조적인 공급망 구축을 위한 제언
번역제목 強靭で創造的なサプライチェーン~研究成果に基づく政策的·経営的提言
저   자 経済産業研究所 발행기관 経済産業研究所
원문면수 25 주   제

판로/유통 > 수출/해외시장

판로/유통 > 기타

원문파일

[개요]

 

최근 미국, 유럽, 일본 등이 안보상 우려를 이유로 자국경제와 중국경제와 분리하기 위한 정책을 펼치면서 글로벌 공급망의 재편 움직임이 확대

o 여기에 코로나19 확산으로 많은 국가들이 공급망 단절에 따른 생산 축소를 경험한 가운데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양국의 천연가스, 광물, 곡물 등의 수출이 줄면서 글로벌 공급망 단절 리스크 우려가 더욱 증대

 

이런 환경 하에서 일본이 강한 공급망을 구축하려면 중국 의존도를 더욱 낮추고 보다 국제적으로 공급망을 다양화하고, 공급망의 창조성 촉진을 위해 안보상 우려가 없는 우호국과 지혜를 모을 필요가 있다고 제언

 

[주요 내용]

 

1. 강인하고 창조적인 공급망의 특징

 

코로나19 확산 후 각국의 락다운으로 인한 충격이 공급망을 통해 세계로 파급

o 파급효과는 수요 축소로 고객기업(하류)에서 서플라이어(상류)’, 부품·소재 공급부족으로 서플라이어에서 고객기업으로가는 양방향에서 발생

o 파급효과가 특히 커지는 것은 서플라이어의 부품공급이 중단됐을 때 다른 서플라이어로 대체하기 어려운 경우로, 수입이 중단된 부품을 국내 업체에서 조달할 수 있다면 피해를 어느 정도 축소하는 것도 가능

 

도요타 자동차는 동일본 대지진의 교훈으로 서플라이어 대체성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레스큐로 불리는 직간접 서플라이어 DB를 작성

o 이를 활용해 코로나를 포함해 각종 재해로 인한 공급망 단절 기간을 축소

o DB구축 외에 거래처 분산·다양화, 특히 국제적 다양화가 공급망 강화에 유효

- 즉 국제적으로 다양한 거래처가 있는 기업은 대체할 곳을 쉽게 찾을 수 있어 공급망 단절의 영향을 완화하는 것이 가능

o 이처럼 서플라이어의 대체성은 강인한 공급망을 구축하는 핵심 요소

 

지리적으로 다양한 공급망은 해외 거래처로부터 신규 기술, 지식, 정보를 입수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창조적인 측면이 있음.

o 국제경제학을 통한 연구 성과를 보면, 수출입이나 대내·대외 직접투자를 통해 경제 성과가 향상되고 있으며 일본에서도 수출이나 대외 직접투자 혹은 R&D를 수반하는 대외·대내 직접투자를 통한 기업의 생산성 향상을 확인

o 코로나 사태에서도 국제 공동연구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

- OECD보고서는 공동연구는 코로나19에 대항할 수 있는 과학, 기술, 혁신에 중요한 요소였고 기술개발을 위한 국내·국제적인 공동연구 플랫폼이 백신의 디자인과 생산에 혁명을 초래했다고 지적

 

2. 글로벌 공급망 현황

 

글로벌 공급망의 변화 요인 중 하나는 ·대립으로 ’18년 대중 무역적자 확대를 우려한 트럼프 정권의 관세 부과에 중국이 대항하며 관세경쟁으로 발전

o 최근 정부는 안보상의 이유로 반도체, 대용량 배터리, 의약품 등 전략물자의 공급망 강화에 주력하고 있으며, ’227CHIPS법이 의회를 통화

- 동 법은 TSMC, 삼성전자, 인텔 같은 세계적인 반도체 회사 유치 등 반도체 공급망의 자국 내 전개와 연구개발에 520억 달러의 예산을 책정

 

일본도 미국의 전략을 답습해 ’19년 정보통신기술, 군사기술 관련 제품의 수출관리를 강화하고 ’20년에는 대일 직접투자 규제를 강화

o ’21년도 추경을 통해 반도체 기업 국내유치 보조금 6,200억 엔을 책정하고 이 가운데 4,760억 엔을 이용해 TSMC 생산거점을 구마모토(熊本)에 유치

 

유럽도 미국의 정책을 쫓아 영국은 2.5억 파운드의 예산으로 5G 네트워크 다양화 전략을 실시중이며 EU430억 유로 규모의 유럽 반도체법을 책정

o 중국은 이러한 미국, 일본, 유럽의 정책에 대항해 ’20년 수출관리법을 제정하고 전략물자의 수출 및 기술이전 관리를 강화

- 사실 중국은 미중 대립 이전부터 하이테크 산업 진흥을 위해 대규모 보조금을 제공해 왔으며 앞으로는 하이테크 제품과 핵심부품에서 외자를 배제하고 설계, 개발, 생산을 중국 내에서 완결한다는 방침

 

그러나 디커플링 정책에도 불구하고 미국, 유럽, 일본과 중국 간 무역량은 크게 축소되지 않고 있다는 사실을 주목할 필요가 있음.

o 미중간 무역은 관세경쟁이 시작된 ’18’19년은 감소했지만 ’20년 초 중국의 코로나 감염 확대로 무역액이 급감한 이후 ’22년 초까지 증가경향을 보임.

- 미국의 중국 수출액은 ’2110월 사상 최고액을 기록했고 중국의 對美 수출액도 ’2111월 사상 두 번째 수준을 기록

o 이처럼 미국 정책의 영향이 한정적인 것은 트럼프, 바이든 정부 모두 안보상의 우려와 경제적인 이익의 균형을 맞추려하기 때문

- 일례로 ’19년 수출규제 후에도 중국 화웨이에 대한 미국기업의 수출은 600억 달러 이상이 인가

 

글로벌 공급망에서 서플라이어의 지리적 다양성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아시아태평양 지역 국가를 중심으로 확인

o 첫째 한국, 호주, 인도네시아는 지난 10년간 중국 의존도가 높아졌고 그로 인해 부품 수입 상대국 집중도(HHI)*가 급증

- 이러한 경향은 미중 대립이 심각했던 ’19년은 물론, 코로나19로 글로벌 공급망 단절이 문제가 된 ’20년 이후에도 여전히 지속

* HHI0에서 1사이의 값을 취하며 HHI가 클수록 수입 상대국이 소수 국가에 집중됨을 의미

o 둘째, 일본의 중국 의존도 및 수입 상대국 집중도는 ’15년에는 한국과 비슷한 수준으로 높았지만 이후 감소하고 있는데 즉 일본기업은 미중 대립이 있기 수년 전부터 이미 중국 의존도를 낮추기 시작

- 이는 중국의 임금 폭등으로 ASEAN 국가로 부품 공장을 이전 ’12년 센카쿠 열도 사태로 인한 反日시위로 중국 의존 문제를 인식했기 때문

o 셋째, 미국은 디커플링 정책을 시작한 ’19년 이후 對中 의존도를 낮추고 있음.

- 미국의 중국 수입액은 전체적으로는 감소세로 볼 수 없지만 부품만 놓고 보면 중국의 점유율이 2년간 약 5%p나 감소했고, 이는 안보상 우려가 큰 일부 무역에서 미중 디커플링이 진행되고 있음을 의미

- 또한 미국의 부품 수입에서 중국의 점유율이 하락하는 것은 기업의 공급망이 보다 다양해지고 강해졌음을 시사

o 넷째, 많은 국가들이 對中 의존도를 높여가는 가운데 중국은 부품 수입 상대국의 다양성을 향상시키고 있음.

- ’05년 중국의 HHI0.099로 일본과 비슷하지만 ’21년에는 아시아 국가 가운데 최저 수준인 0.075까지 하락

- 중국 부품수입에서 일본 점유율이 ’0518%에서 ’219.5%까지 급감한 반면 ASEAN12.6%에서 17.9%로 상승하며 중국은 공급망 다양화에 성공

 

3. 보다 강인하고 창조적인 공급망을 위한 제언

 

최근 각국은 보조금을 통해 공급망을 국내에 유치하는 정책을 추진 중으로 미국이 520억 달러, EU 430억 유로, 일본 6,200억 엔 등 거액의 예산을 책정

o 그러나 대규모 국내회귀는 공급망 다양화에 역행하는 움직임으로 오히려 공급망 단절 리스크를 높이게 되는데 국내에서 공급망을 완결시키고자 하면 일본처럼 대규모 자연재해가 발생했을 때 경제손실이 막대해지는 상황도 발생

o 대체로 기업이 국제무역이나 투자를 통해 공급망을 해외로 확장시키는 것은 보다 효율적인 생산을 위한 것으로 특히 아태지역에서 그러한 경향이 현저

 

이전에도 대규모 보조금을 이용해 생산거점을 유치하는 경우가 있었지만 지역경제의 생산성 향상으로 연결되지 않는 경우가 다수

o 예를 들어 1980년대와 90년대 일본이 지방에 하이테크 산업을 유치하기 위해 실시한 정책은 오히려 생산성 낮은 기업을 유치하는 결과를 초래

- 이는 생산성 높은 하이테크 기업은 산업집적지에 거점을 두고 있어 타사와의 지식·기술 교류, 하이레벨 기술자·관리자 고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보조금을 받아 지방에 이전하는 메리트가 적기 때문

o 이를 고려하면 기본적으로 정책은 국내회귀에만 초점을 맞추기보다 국제적으로 공급망을 다양화 하는데 역점을 두어야 함.

 

공급망의 국제적인 다양화는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면서 안보상 우려가 적은 국가들로 공급망을 확대해 나가는 소위 프렌들리 쇼어링이 필요

o 이를 위해서는 미국, 일본, 호주, 인도가 참여하는 QUAD나 호주·일본·인도의 공급망 강화 이니셔티브(SCRI)’, ‘자유롭게 개방된 인도태평양(FOIP)’ 구상, 아태경제프레임워크(IPEF) 등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

o 지정학상의 변동, 자연재해 빈발 등을 생각하면 공급망 단절 리스크는 과거 이상으로 커지고 있어 기업별로 정도 차이는 있겠지만 과거 이상으로 공급망을 다양화하는 것이 장기적으로는 이익이 될 것으로 예상

 

앞서 공급망의 국제적인 다양화, 이를 위한 중국 의존 감소를 주장했지만 사실 중국은 모든 국가에게 중요한 무역 및 기술 파트너인 것은 명확

o 물론 현재는 미국, 일본, 유럽 기업에게 중국과 경계관계를 갖는 것은 큰 리스크가 있지만 중국과의 디커플링 흐름에도 불구하고 미국·일본과 중국의 무역은 축소되지 않고 있는 상황

- 앞으로 안보상의 우려로 특정물자의 중국 수출 금지나 경제제재 부과, 반대로 중국의 수출규제 부과 등 리스크가 높아질 가능성은 존재

o 이러한 리스크를 최소화하려면 어떠한 조건에서 특정 품목이나 산업에 안보상의 이유로 무역이나 투자를 억제할 수 있는지 투명한 국제규정이 필요

- WTO하에서 무역이나 투자를 제한할 수 있는 조건, 품목, 산업을 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현재 WTO가 충분한 기능을 하지 못하는 상황

- 때문에 일단 여러 자유무역협정 예를 들면 미일무역협정, CPTPP, RCEP 등이나 혹은 G7, FOIP, IPEF, QUAD 같은 국제적인 프레임워크를 통해 이러한 규정을 논의하고 형성해 나가는 것도 필요


같은저자의 최근자료
컴퓨터아이콘이미지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