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home > 기타

세부내용

트위터 페이스북
내용
제   목 반도체 공급망 확보 방안: 국제협력을 위한 전향적 아젠다
번역제목 Securing Semiconductor Supply Chains: An Affirmative Agenda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저   자 CSIS 발행기관 CSIS
원문면수 25 주   제

기타 > 기타

원문파일

[개요]

 

반도체 공급망 문제 해결을 위해 미국이 니어쇼어링, 프렌드쇼어링 등을 추진 중이나, 실행 가능성, 장기적 비효율성, 경쟁력 악화 등의 문제가 제기됨.

o 반도체 글로벌 공급망은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미국의 일방적인 조치에는 일정한 한계가 있기 때문에 미국 정부는 동맹국과의 협의를 통해 명확한 최종 목표를 세우고, 이에 근거한 전향적 전략 수립이 필요

o 명확한 최종 목표에 근거하여 전향적 전략을 개발하고, 다자간 프레임워크를 통해서 목표 달성을 추구하는 것이 바람직

 

[주요 내용]

 

지난 2년간 미국 경제와 국가 안보에서 반도체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

o 판데믹에서 기인한 수요 급증으로 ‘19~’21년간 반도체 수요는 17% 상승

- ‘21년 글로벌 반도체 매출액은 5,559억 달러로 전년 대비 26.2%

- 현재 중국이 가장 커다란 반도체 시장이지만, 미주 지역에서의 매출은 가장 높은 신장률을 기록

o 그러나 투자 부족, 원자재 공급난, 물류 체제 붕괴 등으로 인해서 반도체 부족 현상이 발발하면서, 200여개의 다운스트림 산업에 부정적으로 영향

- 글로벌 반도체 부족으로 인해 ‘219월 현재 자동차 업계의 매출 손실은 2,100억 달러로 추산

- 단기적 공급망 교란이 장기 지정학적 갈등으로 인해 더욱 복잡해지는 양상

 

미국은 니어쇼어링, 프렌드쇼어링 등을 통해 공급망 문제 해결을 추진 중

o ‘22년 미국은 EU2차 미-EU 무역기술위원회(Trade and Technology Council, TTC)를 개최하고 10개 부문에서 대서양간 협력 강화를 추진 중

- 특히 특정 투입재 관련 중국에 대한 과도한 의존도를 해소하기 위해 공급망을 지리적 및 상업적으로 다변화하기로 결의

- 반도체와 관련 양측은 공급망 모니터링 시스템을 갖추고 관련 조기 경보 시스템을 구축키로 합의

- 현재 TTC는 수출통제 등 제재를 통해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응

o ‘219월 미국은 아시아 동맹국과 QUAD를 출범시킨데 이어 인도-태평양경제프레임워크(Indo-Pacific Economic Framework for Prosperity, IPEF)를 결성

- IPEF4대 의제: 무역 공급망 회복성 인프라, 청정에너지, 탈탄소, 조세와 반부패

 

글로벌 반도체 시장은 미국, 대만, 한국, 일본, 유럽 및 중국이 지배

o 팹리스 파운드리 모델이 채택되면서 상기 국가들 간의 R&D(칩 디자인), 제조, 테스팅 및 패키징(후공정) 공급망이 분절되는 경향 강화

- 미국이 반도체를 디자인하면, 동아시아 국가들이 네덜란드산 장비로 반도체를 제조하고, 대만과 말레이시아 등에서 조립·테스트·패키징을 추진

- 조립과 테스트(OSAT) 부문은 대만이 글로벌 시장의 53%를 차지

o 팹리스와 대조적으로 삼성전자가 추구하는 통합디바이스모델(Integrated Device Model, IDM)은 수직적 통합을 통한 반도체 제조 방식

- IDM 모델을 통한 칩 매출액은 2,574억 달러로 팹리스 모델을 통한 매출액 1,279억 달러를 크게 상회

글로벌 공급망이 성립되는 동안, 미국의 반도체 제조 역량은 ‘90년 글로벌 시장의 37%를 차지했으나, ’1912%로 감소

o 바이든 행정부는 취임 직후 반도체 공급망 안보를 국가안보 이슈로 규정하고, 관련된 제조 역량 강화를 추진 중

o 미 상하원 역시 일련의 입법 활동을 통해서 미국 내 반도체 생산여력을 확충하기 위한 인센티브 등을 마련 중

- 미국내반도체생산유인법(CHIPS for America Act)을 통해 상무부는 390억 달러에 달하는 반도체 생산 인센티브 프로그램을 추진

o 이에 따라 다수의 민간 반도체 제조업체들의 투자가 이어지면서, 미국의 반도체 업계가 크게 활성화되는 모양새

- ‘22년 인텔은 오하이오에 200억 달러, 대만의 TSMC는 아리조나에 120억 달러, 텍사스 인스트루먼트는 ’25년까지 35억 달러 투자 계획을 발표

 

무역정책은 회복력 있는 반도체 산업 육성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

o 미 의회는 ‘18년 주요부문 외국인투자와 해외투자를 검토할 수 있는 권한을 강화하기 위해 수출통제개혁법(Export Control Reform Act)을 입법

o 미 정부는 FDPR(Foreign Direct Product Rule)을 통해 미국의 부품을 투입한 외국의 제품 수출을 통제하는 권한을 행사

- ‘222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라 바이든 행정부는 동법을 적용하여 미국산 기술과 부품을 포함한 (대만 등) 제품의 러시아로의 수출을 통제

 

그러나 반도체 글로벌 공급망은 매우 복잡하기 때문에, 미국의 일방적인 조치에는 일정한 한계 상존

o 미국으로의 온쇼어링은 단기적으로 타당성이 없으며, 장기적으로 가격 상승, 효율성 악화 및 미국의 경쟁력 저하를 초래할 여지를 내재

- 동맹국과 더불어 반도체 공급망을 공동으로 구축하기 위한 전향적 협력 필요

o 금번 조사를 통해 다수의 이해당사자와 면담 결과, 참여자들은 미국이 전방위적 수출 통제는 되도록 회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피력

 

반도체 공급망 구축 관련 미국 정부는 다음과 같은 조치 추진이 바람직

o 동맹국과 더불어 외부 적대국이 차세대 반도체에서 경쟁우위를 획득할 여지를 줄이는 동시에 우방국내 공급망 강화를 위한 명확한 목표 수립이 중요

- 동맹국들과의 공조를 통해 각국별 반도체 생산여력 확보를 위한 경쟁적 보조금 전쟁을 피하는 것이 중요

- 명확한 최종 목표에 근거한 전향적 전략을 개발하고, 다자간 프레임워크를 통해서 목표 달성을 추구하는 것이 바람직

o 이와 더불어 미국 정부는 반도체 산업에 영향을 주는 관세율 적용과 관련하여 규범을 더욱 명확히 하는 한편 일관된 무역정책을 구사하는 것이 바람직

o 미국은 ICT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관세를 낮추기 위해서 새로운 정보통신협약(ITA)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

- 이를 통해 ITA의 적용 범위를 업데이트하는 한편, ICT 분야의 무역자유화를 지속하는 계기로 활용

같은저자의 최근자료
컴퓨터아이콘이미지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