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home > 판로/유통 > 기타

세부내용

트위터 페이스북
내용
제   목 출구 없는 美·中 대립 고려한 중장기적인 공급망 관리전략 필요
번역제목 米中対立に出口見えず、振り回される企業はどう動く~今後のサプライチェーン構築を探る
저   자 JETRO 발행기관 JETRO
원문면수 1 주   제

판로/유통 > 기타

원문파일

[개요]

 

바이든 정부가 출범한 후에도 미중관계는 개선될 조짐이 전혀 없고 오히려 분야에 따라서는 디커플링이 시작됐다는 분석도 제기

o 세계적으로 불확정 요소는 늘어나는 반면 경제대국 미국과 중국의 긴장관계는 고정요소가 되고 있어 기업들은 중장기 공급망 관리전략 마련이 시급

o 그 과정에서 국가 간 관계, 지정학적 정세, 각국의 법령 동향을 주시하면서 자사의 산업분야나 제품라인의 공급망에 숨어있는 리스크를 찾아낸 후 최적의 자원배치를 검토하는 것이 중요

 

[주요 내용]

 

바이든 정부 출범 후에도 미국과 중국의 긴장관계는 지속되고 있으며 트럼프 정부 시절 시행된 양국의 추가관세도 그대로 유지되고 있는 상태

o 이런 가운데 미국은 펠로시 하원의장의 대만 방문을 비롯해 중국이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는 대만과 관계를 강화

- 펠로시 의장의 대만 방문 이후 중국은 8가지 대항조치를 발표하고 몇 가지 중요한 대화 채널을 중지한다는 입장을 표명

o 바이든 정부는 동맹국, 우호국을 중심으로 경제·안보 관련 협력구조를 완성해 가고 있지만 인도태평양 지역에서의 협력은 중국의 반발을 초래

 

한편 트럼프 정부 시절부터 계속된 미국의 수출관리, 대미(對美)투자 심사 강화, 중국기업 배제 등은 기업 실무에 영향을 미치는 수준으로 가속화

o 특히 안보에 직결될 수 있는 분야는 중국과의 디커플링을 불사하겠다는 자세

- 상무부 관계자는 ’227월 하원 외교위원회 공청회에서 중국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동맹국과 새로운 다자간 수출관리 체제를 협의중이라고 언급

o 정부는 중국을 배제한 반도체 연구개발·제조 분야 협력관계 구축을 목표로 4 동맹구축에 나섰으며 한국, 일본, 대만에 협력을 호소

- 중국은 미국의 이러한 물밑작업과 엄격한 수출관리에 맞서 반도체 자급률 향상에 나서는 등 양국 모두 부분적으로는 디커플링을 수용하는 상황

o 의회는 강제노동 관여가 의심되는 제품의 수입제한 조치에 주력하고 있으며 중국을 대상으로 한 위구르 강제노동방지법(UFLPA)이 대표적

- 동법은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서 벌어지는 강제노동에 관련된 물품의 미국 수입을 금지하고 있으며 강제노동에 관여하지 않았음을 입증하는 책임은 기업에 있기 때문에 일부 기업은 공급망 재편에 착수

미국은 중국과 관련한 새로운 규제를 진행하는 한편으로 산업정책에도 주력

o ’2111월 성립된 약 5,500억 달러 규모의 인프라투자고용법을 이용해 노후된 도로와 교량, 공항과 항만 인프라 쇄신, 전기차 보급 인프라를 정비

o 또한 ’228월 성립된 반도체법(The CHIPS and Science Act)과 인플레이션 감축법(Inflation Reduction Act)은 기업에 대한 자금지원, 세액공제를 포함

- 전자는 반도체 산업 진흥과 장기적 과학기술력 강화가 목적이며 후자는 기후변화대책, 헬스케어 개혁, 일부 세제개혁 및 세무집행 강화를 겨냥

o 이들 법률 모두 기업에 보조금과 세액공제를 제공하지만 수익자에게 중국 등 우려 국가와의 거래에 제한을 둘 것을 규정

- 예를 들면 반도체 관련 투자와 관련해 보조금을 받는 기업은 중국 및 기타 우려국에서 10년간 반도체 관련 제조능력을 확장할 수 없으며, 이는 상무부와의 관련 합의 체결이 보조금 수급 요건이기 때문

o 기후변화대책에 사상 최대 규모인 3,690억 달러를 투자하는 인플레이션 감축법은 전기차 구매자를 대상으로 한 세제혜택을 제공하는 등 중요제품의 공급망 강화를 추진한다는 정권과 의회의 의지 표명으로 해석

- 일단 차량이 북미(미국, 캐나다, 멕시코)에서 최종 조립돼야 하며 배터리에 포함된 중요 광물 또는 부품을 중국 등 우려되는 외국 사업체가 추출, 처리, 리사이클, 생산, 조립하는 경우에도 제약을 받음.

 

이처럼 미국과 중국의 대립이 계속되고 양국 관계가 개선될 조짐이 없는 상황은 기업들의 공급망 관리에 엄청난 스트레스를 초래

o 미국의 규정을 따르면 중국시장에서 배제될 수 있고 그 반대도 마찬가지여서 양국의 안보상 이익이나 가치관이 충돌하고 주변국을 포함한 지정학적 환경이 복잡하게 얽힌 상황에서 기업에게는 리스크 경감책이 필요

 

이에 중국에서 사업을 하는 미국기업이 어떻게 대응하는지, 재중(在中) 미국상공회의소와 미·중기업협의회(USCBC)가 각각 미국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중국의 비즈니스 환경에 관한 설문조사를 통해 확인

o 전자는 ’2111, 후자는 ’226월 실시해 조사 시기는 다소 차이가 있지만 비즈니스 상의 과제로 ·중 관계1위와 2위를 차지

- 또한 공급망 관련한 응답비율이 높은 순서대로 보면 중국 내 투자 연기·철회’ ‘중국매출 확대를 위한 제조·서비스·지식재산 취득의 로컬화’ ‘중국이 아닌 국가에서 조달 확대’ ‘특정분야 공급망을 다른 국가로 이전등이 차지

o 이를 통해 유추할 수 있는 경향을 다음과 같음.

- 중국시장을 중시하는 기업은 상황을 주시하면서 현지생산 현지소비 실시

- 중국이 제조·수출거점인 기업은 미국의 규제나 산업정책,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 이후 공급망에서 중국을 제외하는 움직임을 보이기 시작

o 중국을 공급망에서 제외하는 움직임에 최근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요인은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이며 물류혼란, 운송비 폭등, 대만문제도 영향

 

제조업의 자국 회귀를 조사·연구하는 싱크탱크인 리쇼어링 이니셔티브의 ’22년 상반기 동향 보고서는 미국으로의 제조업 회귀에 영향을 미친 최대 요인으로 반도체법, 인플레 감축법 같은 정부의 인센티브를 지적

o 또한 앞으로 자국회귀(reshoring)와 함께 근접이전(near shoring), 적정이전(right shoring), 우호국 이전(friend shoring), 동맹국 이전(allied shoring)을 주목하게 될 것이라고 지적

o 공급망 구축에서 단순히 경제적 합리성만 추구하기보다 국가 간 관계, 지정학적 정세, 각국의 법령 동향을 주시하면서 자사의 산업분야나 제품라인의 공급망에 숨어있는 리스크를 찾아낸 후 최적의 자원배치를 검토하는 것이 중요

- 공급망 재편 시 특히 고려해야 할 항목은 다음과 같음.


같은저자의 최근자료
컴퓨터아이콘이미지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