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일반

home > 중소기업 일반

세부내용

트위터 페이스북
내용
제   목 재무지표로 본 일본 중소기업의 경영상황
번역제목 中小企業の財務指標からみた経営状況~物価高・元利返済・人手不足などの中小企業の経営環境を取り巻く影響を考察:内外経済・金融動向
저   자 信金中金 地域・中小企業研究所 발행기관 信金中金 地域・中小企業研究所
원문면수 23 주   제

기타 > 기타

중소기업 일반 > 중소기업 경영실태

원문파일

[개요]

 

일본 중소기업은 대외여건 악화에도 불구하고 정부지원금을 포함한 영업외 수익 증가, 저금리에 따른 이자지불액 감소 등에 힘입어 수익성은 견조한 상황

o 단 최근 물가상승은 중소기업의 경영 안전성을 낮출 가능성이 있으며 원재료 등의 투입가격 상승분을 판매가격에 전가하지 못하면 심각한 영향을 초래

o 코로나 사태 이후 다양한 대출을 통한 자금조달로 유이자 부채가 증가했지만 채무잔고는 보유한 현금범위 내에 있으며 원리금 상환이 시작되면 과잉채무 기업의 도산이 늘어날 수 있지만 숙박 등 일부 업종에 국한될 전망

 

[주요 내용]

 

1. 현황

 

일본경제는 코로나19를 벗어나 정상화를 향하고 있지만 공급제약 장기화, 우크라이나 사태, 엔화 약세로 인한 물가상승 등의 영향으로 전망은 불투명

o 특히 중소기업은 숙박·음식업 등 코로나 영향을 받은 기업이 많고 융자상환 부담, 물가상승, 인력부족 등으로 경영환경이 더욱 악화될 우려가 있음.

- 이와 관련해 재무지표를 통해 수익성, 안전성, 생산성 관점에서 최근 환경이 중소기업 경영상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

 

일본 중소기업의 ’2246월 매출액은 122.2조 엔으로 전년대비 3.2% 증가, 영업이익은 3.0조 엔으로 증가한 반면 경상이익은 4.5조 엔으로 1.6% 감소

o 영업이익은 공급제약으로 인한 감산 등으로 제조업은 39.7% 감소한 반면 비제조업은 경제활동 재개로 29.8% 증가해 산업 전체로는 플러스를 유지

- 경상이익은 제조업 27.2% 감소, 비제조업 10.1% 증가에 그쳐 산업 전체로는 전년동기 수준보다 낮았고 수익성을 보여주는 매출액 대비 경상이익률은 산업 전체로는 4.0%로 견조

o 매출액 대비 경상이익률이 견조한 것은 본업 외에 고용조정조성금, 지속화급부금 등 각종 지원책을 포함한 영업외 수익 증가, 저금리로 인한 이자지불 감소가 한 가지 요인

 

우크라이나 사태, 중국의 제로 코로나 정책, 해외 금융긴축 등을 배경으로 공급제약 장기화, 엔화 약세·물가상승, 세계적인 경기불안 등에 대한 우려가 고조

o 여기에 코로나 대응 실질 무이자·무담보 융자(제로제로 융자)의 원리금 변제 개시, 외출자제 등으로 인한 생활양식 변화, 인력부족도 과제로 등장

o 이러한 환경에 처한 중소기업의 경영상황이 안전한지를 손익분기점 비율로 보면, 긴급사태 선언이 최초로 발령된 ’2046월은 101.5%100%를 상회

- 당시 비제조업은 94.8%로 적자는 면했지만 상반기 86.1%에서 급상승했고 산업 전체로는 96.3%로 악화

- 이후 ’2079월은 경제활동 재개로 동 비율은 89.5%, ’211012월은 82.1%, ’2246월은 85.5%로 개선

* 한편 정부의 각종 지원책이나 대규모 금융완화 정책으로 인한 저금리는 경상이익이 적자로 돌아서는 매출액 수준을 ’21년도 상반기까지는 34%, ’21년도 하반기 이후는 23% 낮추는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확인

o ’2246월 제조업의 손익분기점 비율은 88.5%로 전년동기(81.7%)보다 상승하고 있지만 물가상승이 중간재 투입비용 증가로 이어지면서 변동비율(변동비÷매출액)을 상승시켜 경영의 안전성이 악화될 우려가 존재

- 소재·원재료와 부품 등의 비용이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율인 변동비율 추이를 보면, 제조업은 ’211371.7%에서 ’2246월에는 73.9%로 상승하고 있어 비제조업보다 상승 폭이 큼.

o 상품가격 상승세는 일단락됐지만 원재료, 부품 등의 투입가격 상승이 판매가격에 전가되는 속도를 상회하는 등 변동비율이 계속 상승하면 손익분기점 비율이 상승해 경영의 안전성이 저하될 수 있다는 점은 유의가 필요

 

일본 기업물가는 ’228월 전년대비 9.0% 상승했으며 상승률은 ’2249.8%를 정점으로 둔화되고 있지만 여러 외부요인에 엔화약세가 맞물리며 물가상승은 가속화

o 원재료 등의 투입가격 상승은 판매가격에 비용 증가분을 전가하지 못하면 기업의 수익을 압박하기 때문에 중소기업 경영에 심각한 영향을 미침.

o 중소제조업은 ‘229월 매입가격이 3개월 전과 비교해 6.0% 상승했지만 판매가격은 2.5% 상승에 그쳤고 교역조건*3.6%p로 코로나 이전(‘1912)0.7%p에 비해 대폭 악화

- 이는 매입가격 폭등으로 중소제조업의 비용이 크게 증가했음을 의미

* 판매가격의 3개월 전 대비 변동률 매입가격(원재료+중간재)3개월 전 대비 변동률

o 반면 대형 제조업의 매입가격은 3개월 전에 비해 4.5% 상승한 반면 판매가격은 2.4%상승했고 교역조건은 2.1%p로 마이너스 폭은 중소제조업보다 작음.

o 이처럼 중소제조업이 대형 제조업보다 교역조건 악화가 심각하고 중간재 투입비용 증가분을 판매가격에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어 가격교섭력이 약한 중소제조업의 경영상황을 압박

 

중소기업은 ’20년도에 자금조달을 위해 정부융자 등을 활용하며 부채가 대폭 확대됐기 때문에 중소기업의 채무변제 능력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음.

o 코로나 이전(’19년 말)과 비교해 중소기업의 유이자 부채가 어느 정도 증가했는지 보면 ’20년 말 6.8%, ’21년 말 8.0% 증가로 계속 확대

- ’22년 상반기 말에는 6.3% 증가로 ‘21년 말과 비교해 증가율이 낮아지고 있어 변제가 완만하게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 가능

o 유이자 부채 규모 파악을 위해 유이자 부채가 매출액의 몇 개월분에 해당하는지 보여주는 유이자 부채의 월상배율(月商倍率)을 확인

- 중소기업은 코로나 이전의 3.77개월에서 ‘21년 말 4.81개월로 상승했지만 ’22년 상반기말은 4.22개월로 하락했고 유이자 부채에서 현·예금을 공제한 실질 유이자 부채의 월상배율은 1.26개월 정도

- 그동안 내부유보 축적과 융자로 조달한 보유자금이 정체되고 있음을 고려하면 중소기업의 채무 잔고는 과잉상태로 볼 수 없음.

o ’2046월 중소기업의 채무상환 연수(年数)*는 약 9년으로 상승했지만 현금·예금을 변제자금으로 활용하는 경우의 채무상환 연수는 1년 미만

* 기업의 부채변제 능력을 보여주는 지표로 채무잔고가 캐시플로의 몇 년분인지 계산

- 중소기업은 코로나 이전 5.08년에서 ’20년 말 6.60년으로 확대됐지만 ’21년 말 6.40으로 하락했고 ’22년 상반기말에는 5.60으로 개선

o 코로나 이전부터 중소기업은 현금과 예금을 축적하고 있었고 이번 코로나 사태와 같은 긴급사태에서는 보유한 자금의 축적이 플러스로 작용

- 그러나 자산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과도하게 신중한 기업경영은 일본의 성장력을 억제하는 한 가지 요인이란 점에는 주의가 필요

 

일본의 임금수준이 장기간 정체되고 있고 물가상승 여파로 실질 구매력이 감소하고 있어 물가상승률을 상회하는 명목임금 인상이 과제로 부상

o 특히 기업규모별 고용 과부족 격차, 임금격차, 최저임금 인상 등의 영향으로 중소기업의 임금인상 압력이 높아지고 있음.

o 최근 중소기업의 임금수준 추이를 1인당 인건비로 보면, ‘13년도부터 1인당 부가가치인 노동생산성 향상과 함께 상승했지만 경기가 하락하기 시작한 ‘18년경부터 노동생산성, 1인당 인건비가 감소로 돌아서고 있음.

- 코로나 사태로 ’2046월 노동생산성이 대폭 하락했지만 이후 회복되고 있으며 ’21년경부터 1인당 인건비도 상승

- 중소기업은 노동생산성이 1% 변동하면 1인당 인건비가 0.5% 변동하는 경향이 있어 목표로 하는 임금상승률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그 2배의 속도로 노동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

o 부가가치에 대한 인건비 비율을 보여주는 노동분배율은 ’204687.4%로 상승했지만 최근 78.0%로 하락

- 일본 중소기업은 노동분배율이 79.4%를 하회하면 고용부족으로 임금인상 압력이 강해지는데 최근 노동분배율을 보면 임금인상이 진행될 가능성이 있지만 기업의 임금인상 여력은 크지 않은 상황

- 결국 안정적인 인재확보에는 노동생산성 향상을 동반하는 임금인상이 필요

 

2. 결론

 

일본 중소기업은 코로나 사태로 큰 영향을 받았지만 각종 지원책이 주효해 캐시플로, 자금회전이 개선되고 있음을 확인

o 향후 융자 원리금 변제 개시 등으로 과잉채무 기업의 도산이나 폐업이 늘어날 가능성이 있지만 과잉채무 문제는 숙박 등 일부 업종에 국한

- 중소기업 전체로 보면 경제활동 재개로 수익, 캐시플로가 개선되고 있고 보유자금과 저금리를 배경으로 원리금 변제 부담이 무거운 상황은 아님.

- 단 숙박·음식서비스 등은 매출회복 단계에 있고 경제활동 재개로 인력부족이 다시 심각해지고 있으며 원재료·연료 등의 가격폭등과 더불어 인재확보를 위한 인건비 상승으로 인한 비용증가도 부담

o 중소기업의 경영환경은 서서히 개선되겠지만 공급제약 장기화, 물가상승, 인력부족 등으로 인해 향후 전망은 불투명하며 이러한 환경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 구축이 과제

- 공급제약에는 다양한 원재료·부품 등의 조달망 및 판매망 확보를 통한 공급망 재검토가 필요

- 물가상승에는 재화·서비스 차별화, 변동가격제(Dynamic Pricing) 활용 등을 통한 가격전가력 및 부가가치율 향상을 검토

- 생산연령인구 감소 같은 구조적 문제를 배경을 한 인력부족에는 업무 자동화·기계화 및 서비스 내용·업무공정 재검토를 통한 효율화, 생산성 향상 및 고용의 미스매치 해소를 위한 노동시장 개혁 등이 요구

같은저자의 최근자료
컴퓨터아이콘이미지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