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세부내용
제 목 | 중국의 디지털경제 발전지수 분석 | ||
---|---|---|---|
번역제목 | 中国数字经济发展指数报告 | ||
저 자 | 工信部&零壹智库 | 발행기관 | 工信部&零壹智库 |
원문면수 | 24 | 주 제 |
기술/정보화 > 기타 기타 > 기타 |
원문파일 | |||
[개요]
□ COVID-19 팬데믹 이후 디지털경제가 생산·생활 회복에 큰 역할을 함에 따라 공업정보화부 전자제5연구소는 디지털경제 발전 의미, 평가 체계, 지역별 발전 특징 및 향후 디지털경제 발전을 위한 제언 등 내용을 골자로 하는 보고서를 발표
□ 중국의 디지털경제 규모가 수 년 연속 세계 2위를 기록 o ‘13~’21년 중국 디지털경제 발전지수는 연평균 24.06%의 성장률을 기록하여 1,000에서 5,610.6까지 상승하며 8년간 약 4.61배 증가 o 중국 디지털경제 발전을 위해서는 △구체적인 디지털경제 정책 마련 △정보기술 응용혁신을 통해 지속적으로 디지털산업화 도모 △디지털인재 육성 중시 등이 필요
[주요 내용]
1. 디지털경제의 의미와 평가체계
□ 디지털경제의 의미 o ’16년 G20 항저우 정상회담에서 ‘디지털경제’는 △디지털화 지식 및 정보를 핵심 생산요소로 △첨단 정보망을 주요 매개체로 △정보통신기술을 경제 효율 제고 및 구조 최적화의 원동력으로 하는 경제활동이라 정의 o 중국 국무원은 「14차 5개년 디지털경제 발전규획(“十四五”数字经济发展规划)」(‘22)에서 디지털경제가 공정하고 효율적이며 통일된 새로운 경제 형태의 만드는 데 기여한다고 강조
□ 디지털경제 평가 체계 o 디지털경제 평가 체계는 ①지표 체계 ②지표 균형 ③데이터 출처의 세 가지로 구성 - 특히 지표 체계의 경우, 중국 국가통계국의 ‘디지털경제 및 핵심 산업 통계 분류(’21)‘를 참조하여 △디지털산업화 △산업디지털화 △디지털인프라 △디지털기술 △디지털인재의 다섯 가지로 구분하고 이를 다시 구체화 2. 중국 디지털경제 발전 현황
□ (전국) 중국 디지털경제 발전 지수는 전반적으로 고속 성장 실현 o ‘13~’21년 중국 디지털경제 발전지수는 연평균 24.06%의 성장률을 기록하여 1,000에서 5,610.6까지 상승하며 8년간 약 4.61배 증가 - 5대 지표 중 디지털산업화, 디지털 인프라 및 디지털 인재의 세 가지 지표 급성장 * (디지털산업화)1,000→3,905.43 / (산업디지털화)1,000→1,350.37 / (디지털인프라)1,000→11,597.78 / (디지털기술)1,000→9,628.58 / (디지털인재) 1,000→6,440.46
□ (지역) 동부지역은 중국 디지털경제 발전을 주도하고, 중부지역은 디지털경제 발전의 교량 역할을 하는 등 동부·중부·서부 지역별 특색이 뚜렷 o (동부) 디지털경제 발전지수 ’13~‘21년간 5.42배 증가하여 1,218.34에서 7,818.25까지 상승하였으며 평균적으로 3,729.08 기록 o (중부) 디지털경제 발전지수 ’13~‘21년간 3.31배 증가하여 712.23에서 3,066.77까지 상승하였으며 평균적으로 1,598.77 기록 o (서부) 전력 및 인건비 등 측면에서 발전 잠재력이 크고, 디지털경제 발전지수는 ’13~‘21년간 2.78배 증가하여 755.04에서 2,855.36까지 상승하였으며 평균적으로 1,565.28 기록
□ (주요 도시) 광둥성·베이징시·장수성·후난성·스촨성 등 지역마다 발전특징 상이 o (광둥성) 빠른 디지털경제 성장세를 보이는 광둥성 지역의 디지털경제 발전지수는 ’13~‘21년간 7.3배 증가하여 1,897.15에서 15,737.95까지 상승 o (베이징시) 풍부한 디지털 인프라 자원을 기반으로 디지털경제의 고속 성장을 이루고 있으며, 디지털 인프라 지수는 ‘13년 1,000에서 ’21년 12,243.93까지 약 11.24배 상승 o (장수성) 디지털 과학기술 분야의 성장세가 빠른 지역으로, 디지털 기술 지수는 ‘13년 1,000에서 ’21년 9,739.37까지 지난 8년간 약 8.74배 상승 o (후난성) 중국 31개 성(省) 중에서 산업 디지털화가 가장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는 후난성의 산업 디지털화 지수는 ‘13년 1,000에서 ’21년 2,698.29까지 1.7배 증가 o (스촨성) 스촨성 디지털경제는 다섯 가지 지표 간 격차가 크지 않아 대체적으로 균형적인 발전 동향을 보임
3. 중국 디지털경제 발전을 위한 제언
□ 구체적인 디지털경제 정책 마련 o 국가 14차 5개년 규획에 디지털경제가 포함된 이후 각 지역정부에서도 다양한 지원 정책을 마련하고 있는 만큼, 산업 디지털화를 위해 더욱 정확하고 구체적인 지원 정책 수립 필요
□ 정보기술 응용혁신을 통해 지속적으로 디지털산업화 도모 o 자국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활용을 확대하는 등 정보기술 응용혁신을 통해 지속적으로 디지털산업화를 심화
□ 디지털인재 육성 중시 o ‘13~’21년 중국 디지털인재 지수는 5.44배 성장 o 중국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발전 초기 단계인 디지털경제의 발전을 심화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인재에 대한 수요가 더욱 높아질 것이며, 이런 측면에서 우수한 디지털인재 육성에 대한 관심과 중요도는 꾸준히 증가할 전망 |
|||
같은저자의 최근자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