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협력
세부내용
제 목 | 스타트업 친화적 평가(startup friendly scoring) | ||
---|---|---|---|
번역제목 | スタートアップフレンドリースコアリング検討会報告書~スタートアップ躍進ビジ | ||
저 자 | 발행기관 | 21世紀政策研究所 | |
원문면수 | 103 | 주 제 |
기타 > 기업협력 |
원문파일 | |||
[개요]
□ 본 자료는 일본 경단련의 21세기 정책연구소(21世紀政策研究所)가 스타트업 진흥을 위해 대기업의 스타트업 프렌들리의 정도를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도구인 「스타트업 친화적 평가(startup friendly scoring)」에 대해서, 그 도입배경·실시방법·평가결과 등에 대해 정리한 자료 o 「스타트업 친화적 평가」는 스타트업 생태계에서 대기업이 자사가 스타트업에 얼마나 친근한지 그리고 어느 정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 그 정도를 명확히 가시화하는 평가도구
[주요 내용]
가. 본 자료의 발간 배경과 목적
□ 일본은 1960년대부터 1980년대 전반까지 대기업 중심의 제조업 수출 모델로 발전했지만 1980년대 후반 이후 환경변화에 적응하지 못하면서 장기간의 경제 정체에 빠짐 o 일본 모델은 미국에서 수입해 온 이노베이션을 보다 저렴하고, 보다 안정적으로 제조하고, 수출하는 것을 강점으로 하는 모델로 가장 중요시되는 것은 실패를 줄이기 위해 가능한 한 위험을 감수하지 않는 것으로 스타트업의 이노베이션이 중시되지 않음 o 일본경제의 갱생을 위해서는 스타트업의 이노베이션이 필수 불가결하다는 인식이 강화되면서 경단련은 2022년 3월, 「스타트업 약진 비전」을, 정부는 2022년 12월 「스타트업 육성 5개년 계획」을 마련
□ 스타트업의 이노베이션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일본 사회 전체가 혁신적으로 변화될 필요가 있고 대기업과의 협력이 원활히 이루어지는 스타트업 생태계의 구축이 매우 중요 o 유럽과 미국에서는 대기업과 스타트업의 다양한 단계에서의 협업이 스타트업을 활성화하고, 대기업도 함께 성장하고 있는 반면 일본 대기업은 스타트업과의 협업이나 생태계 구축에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음 o 향후에는 스타트업 생태계의 중요한 일각을 이루는 대기업이 스타트업과 생태계를 구축하고, 비연속적인 이노베이션에 의해 성장을 지향하는 동시에 스타트업을 사회 전체에서 크게 늘려 그 활력을 받아들여 함께 성장해 나가는 자세를 가지는 것이 중요
□ 스타트업 친화적 평가지표는 대기업에 '스타트업과의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자사는 무엇을 하고 있는가'를 묻고 측정하여 대기업의 변화를 꾀하고자 하는 시도 o 일본 전체를 혁신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대기업과 스타트업이라는 지금까지 관계성이 희박했던 정반대 플레이어 간의 문제 인식과 교류가 필수 불가결 o 스타트업 친화적 평가지표는 대기업이 자사가 스타트업에 얼마나 친근한지 혹은 스타트업 생태계에서 어느 정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 그 정도를 명확히 가시화하는 평가도구
나. 「스타트업 친화적 평가」의 관점과 평가 요소
□ 「스타트업 친화적 평가」의 관점 o 스타트업 생태계의 이상적인 모습은 대기업과 스타트업 사이에 자금이나 인재, 테크놀로지, 비즈니스 등의 자원 순환이 원활히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 o 예를 들어 대기업 인력이 스타트업으로 옮기거나 그렇게 스타트업에서 일하던 인력이 대기업으로 돌아가는 것이나 M&A에서 취득한 스타트업 사업이 대기업 사업의 핵심이 되는 것 등 o 특히 주목해야 할 것은 스타트업과 대기업의 M&A로 스타트업과의 M&A가 활발해지면 유망한 사업을 취득할 수 있는 대기업이 늘어나고 인수된 스타트업 창업가는 다른 도전으로 나아가 일본에서는 아직 사례가 적은 연속창업자도 등장하게 될 것임 o 위험을 감수하는 스타트업과 대기업과의 사이에서 인재나 비즈니스의 순환이 일어나면, 도전적인 스타트업에서 일하고 싶다는 긍정적인 변화가 사람들 사이에 생기기 시작해 위험회피적인 일본 사회도 바뀔 수 있음
□ 「스타트업 친화적 평가」의 3대 요소 o 스타트업 생태계의 관점에서 스타트업과 대기업의 관계를 ‘대기업에서 스타트업으로의 자원 제공’, ‘스타트업 사업·인재의 영입’, ‘스타트업 생태계로의 사업·인재의 배출’이라는 3개 평가 축으로 크게 나눠 설문과 배점을 도입 - '대기업에서 스타트업으로의 자원 제공'은 기업 벤처 캐피털에 의한 자금 제공이나 사업 제휴에 의한 인재 파견 등 - '스타트업 사업·인재의 영입'은 스타트업 자원을 대기업이 획득하는 것으로 대기업에 의한 스타트업 M&A가 대표적 - '스타트업 생태계로의 사업·인재의 배출'은 대기업의 사업을 스핀오프시켜 스타트업처럼 운영하게 하거나 대기업 인재에게 창업을 독려하는 것 등 다. 「스타트업 친화적 평가」결과의 시사점과 보완점
□ 2023년 1~2월 경단련 회원사에 「스타트업 친화적 평가지표」를 발송하여 응답한 기업 148개 사의 조사 결과 o 종합평가 결과는 배점 1,000점 중 평균 점수 332.3점으로, A등급을 받은 기업은 없고, B등급 기업이 2%, 전체의 66%가 D등급 기업 - A등급은 배점의 80% 이상, B등급은 60% 이상, C등급은 40% 이상, D등급은 20% 이상, E등급은 20% 미만을 획득한 기업 o 3대 평가 요소별로 보면 ‘대기업에서 스타트업으로의 자원 제공’과 ‘스타트업 생태계로의 사업·인재의 배출’의 점수는 비교적 높은 반면, ‘스타트업 사업·인재의 영입’은 낮게 나타남 - ‘대기업에서 스타트업으로의 자원 제공’은 C등급 이상이 49.7%, ‘스타트업 생태계로의 사업·인재의 배출’은 C등급 이상이 43.5%인 반면, ‘스타트업 사업·인재의 영입’은 64%가 E등급 □ 「스타트업 친화적 평가」결과의 시사점 o 종합평가점수가 낮게 나온 만큼 스타트업 생태계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일본 기업 전체에서 점수 상향이 필요 o 특히 ‘스타트업 사업·인재의 영입’이 부진한 만큼 스타트업으로부터의 사업이나 인재를 대기업으로 끌어들이는 것이 향후 일본 기업이 스타트업 친화적인 기업으로 바뀌기 위한 우선적 과제 o 대기업이 스타트업과의 제휴를 추진해 나가기 위해서는 조직 내에서 적절한 추진부서와 연결되고 이노베이션 노력에 대한 적절한 평가제도 등이 마련되어야 하는 만큼 조직·구조·제도의 3가지를 착실하게 정비해 나가는 것이 중요
□ 「스타트업 친화적 평가」의 보완점과 미래전망 o 이번 평가는 응답자의 작업 부담을 고려해 32문항으로 좁혔지만, 다음 연도 이후에는 기업 경영이나 거버넌스 관점에서의 질문 추가를 검토할 필요가 있음 - 예컨대 ‘경영진 후보자 명단에 스타트업 창업가가 들어 있느냐’와 같은 질문 - 기업은 몇 년 안에 변화하기 어렵고, 10~20년이라는 긴 시간을 들여서야 바뀌기 시작한다는 점을 감안하여 ‘사장 임기가 몇 년이냐’와 같은 질문도 고려 o 평가의 객관성을 제고하기 위해 대기업 자진신고제로 되어 있는 현재의 평가방식에 생태계의 핵심 주체인 스타트업의 대기업에 대한 평가도 도입 - 스타트업 자신이 무엇을 원하는지 속마음을 묻고 평가 요소에 반영해 나가는 것도 검토 o 현재의 「스타트업 친화적 평가」는 향후 보람 있는 기업에 관한 세계적 지표인 'Great Place to Work'처럼 수용될 것으로 기대 - Great Place to Work는 일본 전역에 보급되어 있고 많은 기업이 이 지표를 의식해 행동하고 있는데, 「스타트업 친화적 평가」도 많은 이해관계자들이 의식하는 수치가 되어 대기업 주가나 채용에 영향을 주게 되면 투자자는 물론 구직자들도 이 결과를 바탕으로 행동하게 되어 변화의 속도가 가속화될 수 있음
|
|||
같은저자의 최근자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