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로/유통

home > 판로/유통

세부내용

트위터 페이스북
내용
제   목 테크서비스 중소기업의 수출 활성화 방안
저   자 김미정·정윤정 발행기관 중소벤처기업연구원
원문면수 110 주   제

판로/유통

판로/유통 > 수출/해외시장

원문파일

❏ 연구의 배경

ㅇ테크서비스는 소프트웨어, 클라우드, AI, IoT 등 첨단 기술 기반 서비스로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

ㅇ테크서비스 수출액이 연평균 7% 성장하고 있지만, 국내 중소기업의 글로벌화 수준은 여전히 미흡

ㅇ디지털 전환 시대에서 테크서비스 중소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수


❏ 연구의 목적

ㅇ테크서비스 중소기업의 수출 현황을 분석하고, 경쟁력을 국제적으로 비교하고, 테크서비스 중소기업의 수출 실태와 애로사항을 조사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


❏ 테크서비스 중소기업 맞춤형 수출 지원 정책 강화

ㅇ (초기 수출기업의 재정 지원 확대) 해외 마케팅, 거래처 발굴, 법률 컨설팅, 현지 인증 획득 등에 높은 비용 발생하나, 현재 테크서비스 기업이 활용할 수 있는 지원책이 부족

ㅇ (디지털 기반 수출 지원 체계 구축) 많은 기업이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한 국경 간 공급(Mode 1) 방식으로 수출하나, 정책·인프라 부족


ㅇ (해외 인증 및 규제 대응 지원) 각국의 데이터 보호 규제 및 보안 인증 요건 준수가 필수이나, 중소기업은 전문 인력과 자금이 부족하여 자체적으로 대응이 어려움


❏ 테크서비스 중소기업의 수출 경쟁력 강화를 위한 법·제도적 기반 마련

ㅇ (법적·제도적 기반 확립 필요성) 테크서비스 중소기업에 대한 명확한 법적 지원 체계 미흡, 정책 지속성 확보에 한계 발생, 법적 공백 해소 및 체계적인 지원 제도 마련 필요

ㅇ (테크서비스 산업의 법적 근거 명확화) 「중소기업제품 구매촉진 및 판로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24조에 테크서비스 산업을 명확히 포함, 정책적 보호 및 수출 지원 근거 마련

ㅇ (테크서비스 중소기업의 수출 지원 체계 정비) 유망 테크서비스 품목 지정 및 집중 지원 제공 제도 확립, 시장의 특성과 요구 변화에 신속 대응할 수 있도록 맞춤형 지원책 마련


❏ 테크서비스 중소기업의 해외 시장별 맞춤형 진출 전략

ㅇ (안정적인 시장: 아일랜드, 일본) 경제 및 산업 구조 안정, 기업 간 신뢰 중요, 장기적 파트너십 필요

ㅇ (성장성이 높은 시장: 캐나다, 노르웨이) 디지털 전환 속도 빠름, AI·클라우드 기반 기술 수요 급증

ㅇ (대형 시장: 미국, 독일, 네덜란드) 글로벌 테크서비스 중심지, 경쟁 치열, 브랜드 신뢰도 및 인증 필수

ㅇ (신흥 시장: 인도, 프랑스, 오스트리아) IT 및 클라우드 서비스 도입 증가, 법·제도적 환경 고려 필요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같은저자의 최근자료
컴퓨터아이콘이미지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