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부내용
제 목 | 전환기, 중기정책 패러다임 이동을 통한 혁신성장 촉진 방안 | ||
---|---|---|---|
저 자 | 조혜정·손민정·박진·박재성·이정환 | 발행기관 | 중소벤처기업연구원 |
원문면수 | 350 | 주 제 |
중소기업 일반 중소기업 일반 > 중소기업 경영환경 |
원문파일 | |||
❏ 우리나라가 글로벌 경제 및 산업 변화에 영향을 받게 되는 시점은 ’94년 김영삼 정부의 세계화 추진 이후라고 볼 수 있음 ㅇ 세계화 추진 이후 한국은 2차례의 글로벌 경제위기와 1차례의 산업혁명, 1차례의 팬데믹을 겪었음 ㅇ 2차례의 경제위기 이후 한국 경제는 대규모 도산과 일자리 변화를 겪었으며, 국민과 기업, 정부의 노력으로 현재 GDP 기준 세계 191개국 중 10위에 해당하는 경제 규모를 가지게 됨(IMF, 2021) ❏ ’16년 시작된 제4차 산업혁명과 ’20년 발발한 코로나19 대유행은 아직까지 한국 경제 전반에 기회와 위기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 ㅇ 특히 제4차 산업혁명을 기반으로 한 글로벌 플랫폼의 확산은 중소기업이 글로벌 플랫폼을 활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이들에게 빠른 성장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음(4차 산업혁명위원회, 2017) - 한국은행의 조사(’18)에 따르면 조사대상의 57.9%가 제4차 산업혁명이 각 업체에 미칠 영향이 크다고 응답함 - 하지만 새로운 질서 변화에 대응하지 못할 경우 글로벌 경쟁력이 뒤쳐질 위기가 공존함 ㅇ 코로나19 대유행은 수요를 급감시켜 중소기업의 수익 구조를 악화시키는 위기로 작용하고 있으나, 비대면 경제 환경을 조성하여 디지털화를 촉진시킴으로써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를 제공하기도 함 - IBK경제연구소의 조사(’20)에 따르면 조사대상의 82.0% 중소기업이 코로나19로 인해 경영상 피해를 입었다고 응답함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
같은저자의 최근자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