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부내용
제 목 | 중소기업 수입 공급망 안정화 방안 연구: 핵심품목을 중심으로 | ||
---|---|---|---|
저 자 | 송영철·엄부영·김기만·임수환 | 발행기관 | 중소벤처기업연구원 |
원문면수 | 299 | 주 제 |
판로/유통 판로/유통 > 수출/해외시장 |
원문파일 | |||
❏ 최근 미·중 무역 분쟁, 보호무역주의, 자원의 무기화, 팬데믹, 우크라이나 사태 등의 리스크가 복합적으로 확산되면서 예측 불가능한 공급망 위기가 지속 ㅇ 과거 자유무역체제 기반의 효율성을 추구하며 글로벌 공급망을 확대해온 기업들에게 예측, 대응이 불가능한 다양한 공급망 리스크의 등장은 기업의 안정적 경영활동에 큰 부담으로 작용 ㅇ 특히 대외의존도가 높은 우리나라 교역구조 상 코로나19, 우크라이나 사태를 기점으로 국내 생산에 소요되는 원자재, 원료, 부품 등의 원활한 수급이 어려워지면서 공급망 불안정에 대한 위기감 확대 ❏ 자유무역체제 기반의 글로벌 공급망 구축의 효율성은 지속 추구하되, 추가로 안정성을 고려해야 하는 이른바 ‘경제안보’ 관점에서의 공급망 관리가 당면 과제로 부상 ㅇ ‘경제안보’를 중시하는 공급망 재편 대응은 미국, 중국, 유럽, 일본 등 주요 국가 및 지역을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 ㅇ 우리나라는 품목별 관리와 대응을 위한 핵심품목 지정 및 관리, 내수전환과 리쇼어링, 해외투자 유치 지원 등의 내용을 담은 대응 전략이 수립 및 추진 - 우리 정부는 일본의 반도체 품목, 중국의 요소수 수출 제한 등의 경험을 통해 공급망 안정화에 대한 인식 제고, 소부장 전략 수립을 통해 적극 대응 - 특히 코로나19 영향과 우크라이나 사태로 공급망 불안정이 가중되면서 범부처 합동 경제안보 핵심품목 TF가 출범되고 품목별 관리를 위한 공급망 조기경보시스템 (EWS)을 가동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
같은저자의 최근자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