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부내용
제 목 | 글로벌 스타트업 육성을 위한 한일 협력과 정책과제 | ||
---|---|---|---|
저 자 | 최세경·이홍배 | 발행기관 | 중소벤처기업연구원 |
원문면수 | 202 | 주 제 |
중소기업 일반 |
원문파일 | |||
"□ 한일 스타트업의 협력 확대를 위한 정책과제 ◦ 한일 간 과학기술과 제조기술의 격차가 크게 축소되면서 과거에 비해 양국 간 기업과 기술 협력은 서로 윈윈할 수 있는 높은 보완성을 확보하게 된 만큼, 상호 비교우위의 차이를 고려한 한일 스타트업의 협력기반은 조성된 상태임 ◦ 이를 위해 한국 스타트업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서비스 기술의 첨단성, 고객가치의 혁신성 등을 통해 특수 우위성을 확보해야 하며, 이를 토대로 글로벌 사업 문화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함 ◦ 한국 스타트업이 단기간에 글로벌화를 수행할 수 있는 특수 우위성을 확보하기에는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기에, 중장기적 글로벌 전략의 일환으로 우선은 문화적 차이가 적고 비즈니스 관행이 유사한 일본 시장에 진출하여 글로벌 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바람직함 ◦ 이를 고려하면 한일 협력 확대를 위한 정책방향은 글로벌 과제에 신속히 대응하고 해결할 수 있는 차별적 기술과 노하우를 가진 스타트업, 그리고 글로벌 네트워크를 가진 스타트업의 육성에 초점을 두어야 할 것임 ◦ 먼저 혁신 기술을 토대로 환경, 고령화 및 건강, 디지털 혁신 등 지구적 과제를 해결하고 고객의 니즈를 충족할 수 있는 기술 지향의 딥테크 스타트업 육성이 긴요 ◦ 둘째, 정부의 ‘스타트업 코리아 종합 대책’의 핵심은 스타트업의 글로벌화이며, 한국경제의 성장을 견인하는 새로운 주역으로서 스타트업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어, 대기업 및 중견기업과 스타트업 간의 연계 비즈니스 플랫폼 구축과 활성화에 보다 주력해야 할 것임 ◦ 셋째, 글로벌 시장으로 도약할 수 있는 스타트업이 지역 차원에서 연속적으로 창업하면서 기존산업과 지역경제에 활력을 공급하면서 성장을 도모할 수 있도록 전략산업의 글로벌 지역 클러스터화를 적극 지원해야 함 ◦ 넷째, 디지털 기술에 강점을 가지는 한국 스타트업이 글로벌 역량과 함께 일본을 비롯한 해외 현지 특수성에 대응할 수 있는 현지화 역량이 부족한 만큼, 이를 보강할 수 있는 경영자원의 지원체계가 시급히 마련되어야 함 ◦ 마지막으로 한국 스타트업이 글로벌 네트워크에 편입되고 한국경제 발전의 주역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개척하고 이를 활용 가능하도록 규제완화가 적극 시행되어야 함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
같은저자의 최근자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