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부내용
제 목 | 인공지능(AI) 벤처캐피탈 투자 결정요인 분석 : OECD 국가를 중심으로 | ||
---|---|---|---|
저 자 | 김기만 | 발행기관 | 중소벤처기업연구원 |
원문면수 | 74 | 주 제 |
금융/조세 금융/조세 > 벤처캐피탈 |
원문파일 | |||
□ AI 벤처캐피탈 투자에 초점을 두고 이에 대한 결정요인을 분석 ❍ OECD 국가에 초점을 두고 국가 수준에서 이러한 논의를 확대시키고자 하였으며, 기존 논의와 연계성, 차별성을 확보하고자 함 - AI 벤처캐피탈 투자는 지난 10년간 꾸준하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2021년에 정점을 기록한 후 2022년부터 감소 추세를 보임 - 글로벌 AI 지수와 관련하여 대체적으로 기술 혁신, 인프라와 더불어 정부 등 다양한 요소들이 고려되고 있으며 국가 차원의 AI 역량에 대해 진단이 이루어지고 있음 - 미국, 영국 등이 높은 순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한국도 높은 수준인 것으로 파악됨 - 결정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이러한 논의와 유사한 맥락에서 기업가적 생태계 관점을 주요하게 고려함 - 결정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OECD 등 객관적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퍼지셋 질적분석방법을 활용 ❍ 분석을 통해 AI 벤처캐피탈 투자에 대한 필요조건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충분조건에 대한 유효한 결과를 확인 - 특정 요인이 높은 경우에도 다른 요인과의 결합 조건에 따라 벤처캐피탈 투자의 낮은 성장률로 이어질 수 있음을 확인 - 기술혁신과 인프라 데이터 요인은 결합하는 조건에 따라 상이한 결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다른 요인들의 수준에 따라 상황적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음 - ICT 무역의 경우 그 수준이 낮은 경우 다른 요인들과 결합하여 낮은 AI 벤처캐피탈 증가율로 나타나고 있어 주요한 촉진자로서 작용하는 것을 보여줌
□ AI 벤처캐피탈 투자를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아래와 같이 제시함 ❍ 첫째, 사회‧경제적, 기술적 요인들과 더불어 제도적, 문화적 요인들을 함께 고려하는 노력이 필요 - AI 벤처캐피탈 투자에 대한 논의는 비즈니스 관점에서 기술, 시장에 대한 시각이 주요함 - 이러한 기술, 시장적 요소 외에도 다양한 요소들이 함께 결합하여 결과로 이어질 수 있는 것을 유념할 필요 - 특히 AI 분야의 경우 최근 윤리적 이슈 등 정책적 노력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으므로 이를 포함한 제도적 차원의 노력이 주요하게 이루어질 필요 ❍ 둘째, 사회‧경제적 요인으로 볼 수 있는 ICT 무역의 역할에 대해 중요하게 고려할 필요 - AI 벤처캐피탈 투자의 낮은 증가율에 대해 ICT 무역에 대한 낮은 수준이 주요한 결합 요인으로 확인됨 - 이러한 결과는 AI 벤처캐피탈 투자 증감에 대해 주요한 신호(signal)로 작용하고 있다고 볼 수 있음 - 한국의 경우 ICT 제품·서비스 무역이 모두 OECD 국가 중에도 높은 수준임을 감안할 때 이를 유지, 강화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 - 또한 ICT 무역에 대한 세부적 제품과 서비스를 고려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부족한 부분에 특히 관심을 두는 것이 필요 ❍ 셋째, 기술혁신 활동, 인프라와 데이터와 같은 요인들이 상황적 조건으로 작용할 수 있는 점에 대한 인식이 필요 - 이러한 요인들은 결합되는 조건에 따라 상이한 결과로 이어질 수 있음 - 특정 AI 분야의 기술혁신 활동 또는 인프라 데이터가 부족한 경우 선택적으로 강화하려는 노력이 AI 벤처캐피탈 투자 촉진 측면에서 더욱 효율적일 수 있음 ❍ 넷째, 양질의 데이터와 인프라를 구축, 확보하려는 노력이 필요 - 특히 양질의 데이터를 확보, 관리하려는 관점에서 데이터 품질, 윤리 이슈 등을 모니터링하고 개선하려는 정책적 노력이 필요 - 이를 통해 AI VC 투자가 촉진되는 생태계가 조성될 수 있음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
같은저자의 최근자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