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일반

home > 중소기업 일반

세부내용

트위터 페이스북
내용
제   목 KOSI 중소기업 동향 (2024년 11월호)
저   자 정책컨설팅센터 동향분석팀 발행기관 중소벤처기업연구원
원문면수 76 주   제

중소기업 일반

원문파일

□ [종합] 내수 부진과 대외 불확실성 고조로 경기 회복 전망 위축 

   - 낮은 물가 상승세와 수출 호조 지속에도 소비 등 내수 부진과 대외 불확실성 확대로 중소기업 경기 회복 전망이 위축되는 상황 


□ [실물경기] 중소기업 생산은 제조업은 감소폭 확대, 서비스업은 감소 

 ㅇ ’24년 9월 중소기업 제조업 생산은 전년동월대비 5.3% 감소 

   - 중소제조업 생산은 조업일수(-1일) 감소와 기저효과 등의 영향으로 전월에 비해 감소폭 확대 

 ㅇ ’24년 9월 중소기업 서비스업 생산은 전년동월대비 1.3% 증가 

   - 중소서비스업 생산은 내수 부진 장기화와 명절 연휴로 인한 영업일수 감소 등의 영향으로 도·소매업, 숙박·음식점업 등이 줄며 감소로 전환 


□ [내수] 소비부진 장기화 등으로 내수 회복 지체 

 ㅇ ’24년 9월 소매판매액은 전년동월대비 1.7% 감소한 54.2조원 기록

   - 재별로는 내구재(4.6%)는 증가, 준내구재(-1.3%)와 비내구재(-4.2%)는 감소 ㅇ ’24년 9월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19.6조원으로 전년동월대비 

     2.0% 증가 

   - 온라인쇼핑 거래액은 e쿠폰서비스(-48.8%) 등에서 큰 폭으로 감소하는 등 티몬·위메프 미정산 사태 여파 지속의 영향으로 역대 최저 

     증가세 지속


□ [수출] 화장품, 반도체, 자동차 등 중소기업 주요 품목 호조로 역대 3분기 최고 수출액 달성 

 ㅇ ’24년 3분기 중소기업 수출은 284.7억달러로 전년동기대비 5.9% 증가 

   - 화장품(26.7%), 자동차(24.3%) 등 주요품목 호조와 글로벌 반도체 시장 회복으로 반도체제조용장비(28.6%) 등의 수출이 늘며 전기대비 

     증가폭 확대 

   - 국가별로는 미국(8.8%), 일본(1.0%). 홍콩(67.2%) 등은 증가, 중국(-2.8%) 등은 감소 

 ㅇ 총 수출액 중 중소기업 비중은 16.4%로 전기 대비 0.7%p 감소 


□ [고용시장] 중소기업 취업자 수 감소 전환 

 ㅇ ’24년 9월 중소기업의 취업자 수는 2,564만 9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2만 3천명 감소 

   - 규모별로는 종사자 1~4인 업체의 취업자 수는 1천명 감소, 종사자 5~299인 업체는 2만 2천명 감소 

   - 업종별로는 제조업(-1.1만명)과 건설업(-8.9만명)은 감소, 서비스업은 도·소매업 (-15.3만명)에서 크게 감소 

   - 근로형태별로는 중소기업 상용근로자(+1.7만명)와 임시근로자(+7.4만명)는 증가 하였으나, 일용근로자(-10.1만명)는 감소 

   - 고용원 유무별로는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0.7만명)는 감소 전환,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4.3만명)는 증가폭 확대


□ [창업] 제조업, 건설업, 서비스업 등 대부분 업종에서 창업 감소세 지속 

 ㅇ ’24년 9월 창업기업 수는 전년동월대비 10.1% 감소한 8만 2,631개 기록 

   - 업종별로는 제조업(-13.7%), 건설업(-4.8%), 서비스업(-10.9%) 모두 감소 

   - 연령별로는 30세 미만(-23.9%), 30대(-12.2%)를 중심으로 전 연령대에서 감소 


□ [자금대출] 중소기업 대출금리 상승 전환, 대출잔액 증가폭 확대 

 ㅇ ’24년 9월 예금은행의 중소기업 대출금리는 지표금리 하락으로 전월대비 15bp 상승한 4.74% 기록, 대-중소기업 금리 역전은 8개월째 지속 

 ㅇ ’24년 10월 예금은행의 중소기업 대출잔액은 부가가치세 납부(10.25일), 중소법인의 시설자금 수요 등으로 전월대비 5.2조원 증가한 

     1,045.7조원 기록 

 ㅇ ’24년 8월말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은 전월대비 0.11%p 상승한 0.78% 기록


□ [가격동향] 소비자물가는 석유류 하락 등으로 둔화 

 ㅇ ’24년 10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석유류 하락 등으로 전년동월대비 1.3% 상승하며 증가세 둔화

 ㅇ ’24년 10월 국제유가는 중동 지역 지정학적 긴장 고조와 중국의 경기부양책 발표 등으로 상승

    * 국제유가(배럴당) [Dubai] (’24.9) $73.52 → (10) $74.94 / [Brent] (’24.9) $72.87 → (10) $75.38

같은저자의 최근자료
컴퓨터아이콘이미지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