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 이하 미래부)와 국가과학기술연구회(이사장 이상천, 이하 연구회)는 창조경제의 주역인 중소기업이 과학기술을 디딤돌로 하여 성장 할 수 있도록, 정부출연(연)의 중소·중견기업 연구개발(R&D) 전진기지화를 추진해오고 있다.(붙임1 참조)
ㅇ 시급한 애로기술을 즉시 해결해 줄 수 있도록 25개 출연(연) 공동으로 ‘1379콜센터(중소기업지원통합센터)’를 운영(‘13.8월~) 중이며, 각 출연(연)이 중소기업의 연구개발(R&D) 주치의가 되어 지원하는 패밀리기업을 지정·운영 중이다.
ㅇ 또한, 중소기업의 수요에 기반한 R&D와 기술에 대한 상용화를 지원하고 있으며, 출연(연) 내에 중소기업의 부설연구소를 유치하여, 근접거리에서의 밀착지원을 추진하고 있다.
ㅇ 더불어, 중소기업이 해외로 진출 할 수 있도록, 특허 출원, 시험·평가 및 해외 인증 지원, 공동 기술 개발 등을 추진하고 있다.
□ 이러한 출연(연)의 다양한 지원이 신제품 개발, 해외 수출 등 기업의 성장사례로 까지 이어진 28건의 사례를 선정, 책자로 발간하게 되었다.(붙임2 참조)
패밀리기업 협력사례(토양, 대기 오염 방지기술 개발 업체 ㈜태영엠앤에프) “신제품 개발, KIST의 전방위 지원으로 한 번에 해결했어요!” 자타공인 글로벌 강소기업인 ㈜태영엠앤에프는 토양 오염과 대기 오염 방지 기술을 모두 갖췄다. 초미세먼지·유해가스 등을 제거하는 ‘초소형·초슬림·초경량 복합전기집진장치’를 국산화했으며, 오염 토양을 화학 처리해 복원하는 ‘천연고분자 마이크로 심리스 캡슐’까지 개발해내 환경산업분야 2관왕의 주인공이 됐다. 이러한 성과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의 지원으로 탄생했다. ‘초소형·초슬림·초경량 복합전기집진장치’의 경우 KIST 도움으로 일본에서 핵심기술을 이전받아 개발했다. ‘천연고분자 마이크로 심리스 캡슐’ 개발은 해외 양산장비 도입과 현지 기술교육, 시제품 제작까지 신기술 개발의 A to Z를 KIST에서 지원받아 개발기간과 비용을 대폭 줄인 사례다. ㈜태영엠앤에프는 2014년 매출 10억 원 달성, 수입대체효과 연 130억 원 예상, 흡연실용 제연기 시장점유율 1위, 일본 다이렉트재팬 8억 원 투자 유치 등 국산 기술로 선진국들과 당당히 경쟁할 수 있는 강소기업으로 성장하고 있다. |
□ 미래부와 연구회는 이러한 사례가 다양한 중소기업으로 전파될 수 있도록 협력 사례집·브로슈어 등을 중소기업 관련협회, 유관기관에 적극 홍보할 예정(10월 중)이며,
ㅇ 중소기업의 기술혁신 역량 제고, 창조경제혁신센터와의 연계 등 출연(연)이 창조경제 견인차로서의 역할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 나갈 예정이다.
ㅇ 한편, 패밀리기업 선정, 기업부설연구소 설립, 원천기술 개발, 장비 지원 및 애로기술 해결 등 협력을 원하는 중소기업은 1379 콜센터*에 문의하면, 해당 분야 출연(연)과의 연계·협력이 가능하다.
* 25개 출연(연) 공동의 중소기업지원체계로서 유선, 온라인, 오프라인을 통해 중소기업의 애로사항을 접수하여, 애로기술해결, 기술상담, 장비활용, 정보제공 등을 지원
□ 이상천 연구회 이사장은 “중소기업과 출연(연)의 협력은 중소기업에게는 기술경쟁력을 강화하고, 출연(연)은 연구성과 활용도가 제고되어 상호 Win-Win 할 수 있는 기회가 되는 만큼 더 많은 기술혁신형 중소기업들이 출연(연)을 활용하길 바란다”라고 언급하였다.
붙임 1 | | 출연(연)의 중소·중견기업 협력 현황 |
□ 출연금의 중소기업 지원 쿼터제, 전담인력 확대 등 기업지원 역량 강화
|
□ 출연(연)의 지원 내용
※ ‘출연(연)의 중소·중견기업 R&D 전진기지화 방안’ 마련(’14.4월, 국과심)
ㅇ (패밀리기업 육성) 각 출연(연)이 패밀리기업을 선정하고 기술개발, 제품화 등을 집중적으로 지원하여 기업성장(매출증대 등)에 기여
※ 패밀리기업 수 : ‘13년 2,973개사 → ’14년 3,800개사(목표) → ‘17년 5,000개사(목표)
ㅇ (수요기반 R&D) 중소기업의 기술수요를 기반으로 기업과의 공동연구를 추진하고, 개발기술의 이전 및 지원을 통해 기업성장(매출증대 등)에 기여
※ 수요기반 R&D 과제 수 : ‘13년 234건 → ’14년 340건(목표) → ‘17년 500건(목표)
ㅇ (수출지원) 국내 기업의 해외시장 진출에 필요한 기술개발·이전 및 인증 획득 등을 지원하여 기업의 수출에 기여
※ 출연(연) 지원 수출 기업 수 : ’13년 77개사 → ’14년 110개사(목표) → ‘17년 200개사(목표)
ㅇ (기술상용화 지원) 출연(연)의 실용화 R&D를 통해 기업의 성장(신제품 개발, 매출액 상승 등)에 직결될 수 있는 상용화기술을 개발 및 지원
ㅇ (기업부설연구소 유치) 출연(연) 內 기업부설연구소를 유치, 연구실·실험장비·전문인력 등의 R&D지원을 통해 기업성장(매출증대 등)에 기여
※ 기업부설연구소 유치(누적) : ’13년 31개사 → ’14년 40개사(목표) → ‘17년 100개사(목표)
붙임 2 | | 출연(연)의 중소·중견기업 협력 7가지 유형별 대표사례 |
① 출연(연) 패밀리기업 육성·지원 우수성과사례
|
② 중소기업 수요기반 R&D 우수성과사례
③ 중소기업 수출지원 우수성과사례
|
④ 기술상용화 지원 우수성과사례
⑤ 출연(연) 내(內) 기업부설연구소 유치 우수성과사례
|
⑥ 중소기업 인력지원 우수성과사례
⑦ 중소기업지원통합센터(1379콜센터) 우수성과사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