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17년 중국 과학기술기업 인큐베이터 발전 상황과 창업인큐베이터지수를 통한 성(()별 창업인큐베이터 환경에

       대해 설명함

 

[주요 내용]

   ‘17년 중국 과학기술기업 인큐베이터 총수는 4,069개로 전년대비 24.8% 증가하였음

o 과학기술형 중소기업 17.5만개사가 인큐베이팅 중이며, 누계로 11.1만개사가 인큐베이팅을 졸업했고, 첨단기술기업 1.1만개사를 양성해 전체 첨단기술기업의 8.2%를 차지함

- 관련 취업자는 256.5만명이며, 그중 해당연도 졸업 대학생이 27.3만명을 차지함

- 지식재산권 보유수는 30.7만개이며, 이중 발명특허는 5.2만개로 전국 발명특허의 2.5%를 차지함

- 발명특허 출원건수는 2.1만개가 증가해 전국 발명특허 출원건수의 5%를 차지함

- 누계로 4만개의 기업이 1,940억 위안의 벤처투자를 유치할 수 있도록 지원하였음

- 인큐베이팅 졸업 후 증시에 상장 또는 등록한 기업 수가 2,777개사로 창업판 시장 기업의 1/7, 신삼판 등록 기업의 1/10을 차지함

* 신삼판(新三板): 중국 장외 주식시장을 의미하며, 정식명칭은 전국 중소기업 지분 양도 시스템(全国中小企业股份转让系统NEEQ)’

* 창업판(创业板)은 벤처기업 전용 증시

 

(()별 인큐베이터 수 순위를 보면 광동이 1위를 차지했으며, 강소, 산동, 절강, 상해의 순서를 기록함

o ‘17년 전국 인큐베이터 총수입은 383억 위안이며, 이중 종합서비스 및 투자수입이 173억 위안으로 45%를 차지함

o 전국 인큐베이팅 기업 중 50% 이상은 전자정보산업, 15%는 첨단제조업, 8%는 생물의약 및 의료기계, 8%는 문화창의 분야의 기업이 차지함

o 전국의 인큐베이팅 중인 기업에 종사하는 종업원은 256만 명으로 전년에 비해 20.8% 증가하였음

o 전국에는 총 4,063개의 인큐베이터가 있으며, 이중 27.6%1,120개는 국가하이테크기술산업개발구(国家高新区) 내에 위치하고 있음

- 국가급 인큐베이터는 모두 976개이고 이중 45%439개는 국가하이테크기술산업개발구에 위치하고 있음

 

전국의 혁신창업 문턱을 낮추기 위한 대중창업공간(众创空间)5,739개이며, 대중창업공간이 제공한 일자리 수는 105만개에 이름

o ‘17년 서비스를 받은 창업단체 및 신설 창업기업은 41만개가 넘고, 창업공간 내 새로 등록한 기업은 8.7만개 이상이며, 25만회 이상의 창업활동 및 창업교육을 실시하였음

- 창업공간 내 창업 및 취업인 수는 170만 명을 넘어섬

* 대중창업공간(众创空间)은 기존의 혁신 클러스터, 인큐베이터에 촹쿼쿵젠(创客空间), 창업카페 등의 새로운 인큐베이팅 방식이 추가된 개념으로 온·오프라인 공간, 투자 시스템, 제도 등을 총망라한 창업 지원 플랫폼을 의미

* 창쿼쿵젠 : 창업자(촹쿼)들이 공동으로 작업하고 교류할 수 있는 장소

 

중국 도시별 창업인큐베이터지수(中国城市创孵指数2018)를 보면, 종합지수 순위에서 1위 북경, 2위 상해, 3위 심천 순임

o 창업인큐베이터지수는 경제, 사회, 과학기술, 운영실적 및 효율성 등 다양한 측면을 반영한 평가지표를 통해 산출됨

  - 지표는 3개 차원을 반영하며, 16, 214, 340개로 구성됨

- 6개의 1급 지표는 창업인큐베이팅의 경제적 효과, 창업인큐베이팅의 과학기술 효과, 창업인큐베이팅의 사회 공헌, 창업인큐베이팅 서비스 수준, 창업인큐베이팅 기초시설, 창업인큐베이팅 운영실적 등임

o 전국 337개 도시의 창업인큐베이터 지수를 평가한 결과 도시 간 격차가 크며, 행정 수준에 따라 지수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남

o 창업인큐베이터지수는 과학 및 기술혁신 수준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동부 해안 지방과 중부 지방에 위치한 도시의 지수가 높게 나타남

- 중국의 19개 도시 클러스터 중 주삼각(珠三角), '징진지(京津冀):북경-천진-하북성, 성도-중경 도시 클러스터의 지수가 높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