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본 자료는 전 세계적으로 스타트업 허브를 둘러싼 정책경쟁이 펼쳐지고 있는 가운데 프랑스의 스타트업 생태계가 단기간에 급속도로 발전하며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는 이유를 살펴보고 있음

 

[주요 내용]

 

높은 기초연구 잠재력이 있으면서도 산업계로의 성과이전이 더딘 프랑스에게 스타트업 생태계 형성의 전기가 된 것은 공적연구기관·고등교육기관의 인큐베이션 설립 및 소속 연구자의 창업을 인정한 1999년 이노베이션연구법((Loi n°99-587 du 12 juillet 1999 sur l’innovation et la recherche)

o 동 법이 제정된 이래 민관의 주도하에 인큐베이션 시설이 설립됐고, 액셀러레이터 역시 2005와이콤비네이터(Y-Combinator) 설립에 자극을 받으며 2011년 르 캠핑(Le Camping, 현재는 Numa에 통합)을 설립한 이래 급속도로 발전함

- 현재 인큐베이터와 액셀러레이터(이하 지원기관)는 프랑스 전역에 약 300개가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음

o 파리의 누마(Numa)처럼 스타트업의 과제를 숙지한 창업가 외에 공적부분이 주도하는 지원기관도 많다는 점이 프랑스의 큰 특징임

- 에어버스가 설립한 비즈랩(BizLab)이나 크레디아그리콜이 설립한 빌리지 바이 크레디아그리콜(Village by CA)처럼 대기업이 주도하는 지원기관도 많음

o 프랑스는 공적기관 연구자, 대기업 소속 혹은 창업 경험이 있는 엔지니어가 기술을 평가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데다 원래 인재 유동성이 높은 사회라는 점도 생태계 형성에 기여했음

 

프랑스의 생태계 형성은 2013년 시작된 공공정책인 프렌치 테크(La FRENCH TECH)’가 수행한 역할이 크다고 할 수 있음

o 이 가운데는 민간 액셀러레이터의 자본 증강을 목적으로 한 2억 유로 규모의 액셀러레이터 기금설립이 포함돼 있음

o 현재 민간 액셀러레이터에 대한 공적자금 투입 여부는 각국의 뜨거운 정책논쟁 테마가 되고 있지만 프랑스는 동 기금을 통해 201512월부터 20191월까지 디지털, 바이오 분야를 중심으로 16건의 투자가 실시됐음

- 이러한 정책은 스타트업에게 최대 장벽인 초기단계(early stage)의 시드머니 제공 흐름을 만드는데 공헌했다는 평가도 받고 있음

o 프랑스 정부는 20186월 딥테크 계열의 초기단계(early stage) 스타트업 지원을 목적으로 4억 유로의 새로운 기금 프렌치 테크 시드설립을 발표했지만, 이는 스타트업에 직접 출자한다는 점에서 액셀러레이션 기금과는 다름

 

당초 프렌치 테크 설립의 최대 목적은 스타트업 지원 커뮤니티 형성이었음

o 구체적으로는 창업가나 스타트업 지원에 이름을 올린 플레이어(투자자, 지원기관, 민간기업 등)의 로고 사용을 인정함으로써 프랑스 스타트업 생태계를 고도로 가시화했음

- 붉은 수탉으로 된 로고를 사용하는 이들이 늘어나면 프렌치 테크의 지명도 역시 국내외적으로 높아질 것으로 기대했음

o 이처럼 국가 전체가 스타트업 생태계 발전을 지향한다는 목표를 공유하면서프랑스 전역에 13개 도시거점을 설치하고 지역 간 경쟁구조를 도입함

- 바이오, IoT, 모빌리티, 핀테크 등 9가지 테마별로 이들 거점이나 지방 클러스터 등 각 생태계를 네트워크화하고 지역 간 협력구조도 도입했음

- 20194월에는 이들 거점을 재검토해 창업가가 주도하는 캐피털 프렌치 테크13, 또한 창업가가 커뮤니티 형성을 주도하는 커뮤노테 프렌치 테크’ 38곳을 새롭게 인증함

o 이처럼 프랑스는 경쟁과 협력의 매커니즘에 정부·지자체의 명확한 지원이 맞물리며 국가 전체가 스타트업 지원이란 사회적 분위기 확산을 형성하고 있음

- 무엇보다 프렌치 테크라는 이름하에 관계자들이 결집하고 대외적으로도 그 존재감을 드러내는, 하나의 브랜드 정책을 구체화한 것임

 

프랑스 생태계의 또 다른 특징은 대기업의 역할이 크다는 점임

o 프랑스는 많은 대기업이 액셀러레이터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지만 지원하는 스타트업은 그 업종이 매우 다양한데 자사와 전혀 관계없는 사업을 하는 스타트업이라도 지원하는 경우가 많음

o 이는 기업의 이미지 향상을 위한 것으로 스타트업과 경제전체 발전이 자사이익으로도 연결되기 때문이라고 답하는 기업이 매우 많고, 자사가 지원한 스타트업을 경쟁업체가 인수하더라도 전혀 개의치 않음

- 대기업이 자사 사업에 대한 직접적인 이익을 요건으로 하지 않고 일제히 지원을 확대하면 스타트업 창업 환경은 개선될 수밖에 없으며, 이것이야말로 단기간에 프랑스 생태계가 급속도로 발전한 진짜 이유일 수 있음

o 또한 시제품 제작이나 기술 검증을 하지 않은 스타트업에 대기업이 컨설팅이나 조언을 제공하고 서비스나 제품으로 완성하는 지원도 실시되고 있음

- 프랑스에 새로운 앱이나 서비스 분야의 스타트업이 많은 것도 니즈가 있는 대기업이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기 때문임

o 대기업과 스타트업의 긴밀한 윈윈관계는 프랑스만의 특징이지만 여기에는 산업구조적으로 국제경쟁력이 있는 중견기업이 적다는 약점이 있는 프랑스에서 대기업이 중소기업의 국제 진출을 지원해 왔던 전통과도 관계가 있음

 

프랑스 정부에 따르면, 2015년 프랑스의 스타트업 창업 수는 2012년 대비 30% 증가했으며 30세 미만 청년들의 신규 창업도 200643,000건에서 2015년에는 131,000건으로 증가했음

o 이는 마이크로 창업 절차를 간소화한 2009년 법률 개정의 영향으로 볼 수 있지만 고등교육기관의 제3과정 학위취득자들의 창업 증가(창업수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201027%에서 201431%로 증가)가 견인했다는 분석도 있음

o 물론 현재 프랑스의 생태계는 완성된 것이 아니며 프렌치 테크2기는 성장가속에 중점을 두고 있지만 스타트업이 국제적으로 성공·발전하기 위한 성장가속 자금 부족 등 아직 많은 과제가 남아 있음

- 이러한 과제해결을 위해 현재 프랑스 공공투자은행(BpiFrance)의 출자·융자 기능을 강화하는 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한편 정부는 매년 높은 성장가능성을 가진 스타트업 40곳을 선발하는 ‘NEXT40’ 상을 2019년 신설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