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본 보고서는 공공섹터의 디지털 변혁을 추진하기 위한 대책의 하나로 SBIR(Small Business Innovation Research : 중소기업기술혁신제도) 활용을 제언하고 있음

 

[주요 내용]

 

일본 정부는 20175월 전자정부(Digital Government) 추진 방침을, 이어 20181월에는 전자정부 실행계획을 책정했음

o 전자정부란 단순한 사무절차의 전자화·온라인화가 아닌 민과 관, 국가와 지방의 벽을 넘는 데이터 연계 및 서비스의 융합으로 국가, 지방, 민간기업, 시민들이 디지털화의 혜택을 누릴 수 있는 사회의 실현을 지향하는 것임

o 이러한 전자정부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GovTech는 정부·공공기관의 다양한 업무개선 및 시민을 위한 서비스를 개발해 디지털 변혁을 뒷받침하는 기술 인프라 혹은 그러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스타트업을 지칭함

- 이미 미국은 정부용으로 다양한 툴이나 서비스를 개발하는 GovTech 스타트업이 다수 등장하고 있으며 GovTech를 대상으로 투자하는 VC이 존재함

- EU에서도 GovTech는 성장시장으로 불리며 매년 관련 서밋(summit)이 열리고 있으며, 글로벌 시장규모는 2025년까지 4,000억 달러 규모에 이를 전망임

o 일본 정부는 내각관방 정보통신기술(IT)종합전략실이 정보시스템 조달에 관련된 예산책정부터 집행까지 일괄 관리하는 방안을 검토중이지만, 이 경우 GovTech 기업과 공공섹터의 협업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음

- 그러나 GovTech와 관련이 깊은 분야를, 하이테크·스타트업 연구개발의 상업화를 지원할 목적으로 도입된 SBIR과 조합하면 해당분야의 혁신 촉진 및 새로운 시장·플레이어 발굴과 육성으로 연결시킬 수 있음

 

SBIR은 중소기업이나 연구자가 보유한 유망 기술 및 연구 성과를 상업화로 연결해 새로운 시장을 창출한다는 목적으로, 정부 연구개발예산의 일정 비율을 분배해 개발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임

o 1982년 미국에서 제도가 창설됐으며 일본은 1999년 시작했으나 일본판 SBIR은 혁신을 상업화하는 기능을 충분하게 수행하지 못하고 있음

o 그 원인으로 일본판 SBIR혁신적인 기술이나 아이디어를 보유한 스타트업의 발굴·육성이라기보다 중소기업 보조금의 위치에 있음 스타트업 심사·육성에 프로페셔널의 관여가 없음 상업화 잠재력이 있는 스타트업이나 기술을 선별하기 위한 다단계·경쟁적 선발이 철저하지 못함 최종성과를 참여한 정부부처가 책임지거나, 연구개발 지속, 연계할 민간기업·VC 소개 등 상업화를 지원하는 구조가 불충분하다는 점 등을 지적할 수 있음

o 더불어 일본판 SBIR은 각 부처가 모집하는 과제 대부분이 추상적 내용이어서 정부·공공기관의 계약이나 조달로 연결되는 상황을 고려했다고 보기 어려움

- 정부·공공기관이 SBIR을 통해 중소기업, 스타트업과 협업해 자신들의 니즈(needs) 충족과 과제 해결, 혁신으로 연결시켜 나가려는 노력이 요구됨

 

이러한 관점에서 일본 정부가 추진하는 전자정부에 필요한 GovTech를 각 부처가 SBIR 공모과제로 다루는 것은 고려해 볼 필요가 있음

o SBIRGovTech 스타트업 육성을 지원하는 이유는 정부부처의 과제나 니즈와 직결되기 때문에 명확한 과제 설정이 가능 성과물이 계약이나 조달로 쉽게 연결 새로운 발상이나 기술이 요구되며, 민첩한 스타트업에 적합한 분야임 새로운 시장 개발로 연결 등이 있음

o 또한 일본 행정기관의 공무원 수(2017)는 국가 58만 명, 지방이 274만 명, IT투자는 국가가 연간 1조 엔, 지방이 7,000억 엔에 이르는 상황으로 전자정부를 통한 효율화·합리화가 시급한 과제임

- 가령 기존 IT투자의 10%GovTech 투자로 치환할 경우 1,700억 엔의 잠재시장이 존재하게 되는데, 이러한 점에서도 SBIR을 통해 GovTech를 육성한다는 것은 의의가 있음

 

영국 정부도 201711SBRI(Small Business Research Initiative, 영국판 SBIR)의 다단계 경쟁 선발방식을 활용한 ‘GovTech Catalyst Scheme’을 발표함

o 이는 공공섹터 과제에 대한 스타트업의 혁신적인 해결책 제공을 촉진하고, GovTech분야를 창설하는 것이 목적으로 2,000만 파운드의 GovTech 기금을 마련해 콘테스트를 실시하고 있음

 

미국 샌프란시스코, 일본 고베시(神戸市) 등의 지자체도 행정·지역사회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세계 스타트업으로부터 아이디어를 모집하고 행정직원과 협업해 솔루션을 개발, 공공조달로 연결하는 노력을 진행중에 있음

 

한편 미국판 SBIR과 같은 다단계 경쟁선발 방식은 대기업에 기획부터 개발까지 일임하는 기존의 정부 IT투자와 비교해 상당히 적은 비용으로 만족도 높은 솔루션을 실현할 가능성이 있음

o 또한 스타트업 입장에서 SBIR은 공동 창조자이자 최초 고객인 정부·공공기관이나 지자체라는 존재가 있어 기술 리스크와 사업 리스크를 경감할 수 있음

o GovTech를 통한 정부·자자체의 디지털 변혁은 지금 반드시 대처해야 하는 과제로, SBIR을 민간의 우수한 아이디어나 기술을 도입하기 위한 수단으로 유연하게 활용해 나가는 것이 제도 본래의 목적에도 부합한다고 볼 수 있음

o 특히 GovTech라는 영역은 정부·지자체 등 공공섹터에는 효율화 및 합리화, 민간섹터에는 새로운 시장과 비즈니스 모델 및 혁신담당 주체 창출, 시민·유저에는 공공서비스의 품질 및 편리함 향상이라는 메리트를 줄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