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독일은 인더스트리4.0 실현을 목표로 중국을 비롯한 신흥국 시장에 침투하기 위해 노력 중으로, 본 보고서는 인더스트리4.0 시대를 맞아 독일 등 선진국과 협력하면서도 독자전략을 구축하기 시작한 신흥국의 상황을 고찰하고 있음

 

[주요 내용]

 

인더스트리4.0은 콘셉트 단계의 논의를 끝내고 현재는 중소기업을 위한 저렴한 솔루션이 등장하고 인더스트리4.0 대응이 신흥국으로 지역을 확대하는 실행단계를 맞고 있음

o 인더스트리4.0의 최대 목적은 제조업의 서비스화(Servicization)와 신흥국을 중심으로 한 독일기업의 글로벌 전개 가속화에 있음

- 목적 달성을 위해 실제로도 Plattform Industrie4.0*2015년 중국, 체코와의 제휴를 시작으로 매년 신흥국과의 제휴를 늘려 왔음

* 독일은 2013년 산업, 학계 및 과학계 대표들로 구성된 작업반(Working Group)과 하이테크산업협회, 기계엔지니어링 산업협회, 전자산업 협회로 구성된 사무국을 기반으로 플랫폼 인더스트리 4.0’을 출범시킴. Industrie4.0에서 Plattform Industrie4.0으로 발전함

o 즉 독일 등이 만든 핵심 솔루션을 신흥국으로 전개하는 것이 인더스트리4.0이 당초 계획했던 전략이었음

- 그러나 독일 등으로부터 노하우를 얻던 신흥국의 급속한 추격과 기술발달로 중국을 중심으로 한 신흥국들이 다른 나라에 솔루션을 제공하거나, 솔루션을 만들고 이를 선진국에서 전개하는 리버스 이노베이션도 나타나고 있음

 

중국제조2025’를 발표하고 제조 강대국을 목표로 움직이는 중국은 산업의 디지털화 흐름이 한창으로, 중국제조2025 관련 기술 등 각종 디지털 서비스를 다른 신흥국으로 전개하는 것을 중요시하고 있음

o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한 일대일로 지역에서는 정상외교를 전개하며 중국이 제창하고 있는 일대일로 구상에, 자국의 디지털 솔루션을 제안하는 디지털 일대일로를 강력하게 전개하고 있음

o 중국의 제조업을 중심으로 한 산업 고도화는 구미(歐美)기술의 국산화와 세계 첨단 콘셉트의 타국(他國) 전개라는 두 가지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음

- 중국 내에서 구미기업이 주요 포지션을 가진 기술을 국산화하려는 배경은 내수시장의 규모가 있기 때문에 글로벌 과점상태라고 해도 중국내에서 일정 포지션을 얻으면 상당한 사업규모를 갖추며 존재감을 키울 수 있음

- 또한 중국 기업들이 스마트 제조영역에서 기술축적과 국산화에 성공하면서 혁신의 질과 양 모두 빠르게 발전하고 있음

o 중국 정부는 산업 IoT플랫폼 전개를 가속화할 방침으로, 중국공업·정보화부가 발표한 인더스트리얼 인터넷에 관한 발전계획을 보면 2020년까지 업계와 분야를 초월하는 메가 플랫폼을 10개 창출한다는 계획임

- 이미 상당한 영향력을 가진 플랫폼이 여러 개 존재하는데 일례로 IT기업 용우’(用友)의 플랫폼은 44만 개 제조업체가 이용 중이며, 중국 최대 건설회사 XCMG(徐工集团)IoT플랫폼은 20개국 61만 대의 설비를 네트워크화하고 있음

 

싱가포르는 독일 등과의 밀접한 협력 하에 첨단 R&D거점으로서의 Learning Factory*를 전개하는 동시에 다른 나라에 노하우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는 등 동남아시아의 인더스트리4.0의 리더라는 포지션을 취하려 하고 있음

* 대학이나 프로페셔널 트레이닝 기관에서 자국의 기기나 표준에 맞는 커리큘럼을 작성하고 교육함으로써 자국의 생태계를 확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산관학의 새로운 연계방법

o 싱가포르 과학기술연구청(A*STAT)201710월 인더스트리4.0의 모델공장인 제조기술연구소(SIMTech)를 설립해 기계의 동작상황을 원격 관리할 수 있는 제조 컨트롤타워’(MCT) 시스템을 체험하도록 하고 있음

- 한편 난양(南洋)공과대학과 함께 전개 중인 ARTC에서는 세계 솔루션 벤더가 제조업체와 함께 솔루션을 공동개발하는 오픈 이노베이션 거점을 전개하는 등 첨단 모델팩토리를 통한 솔루션 개발 거점화를 지향하고 있음

o 싱가포르는 다른 나라의 인더스트리4.0 도입을 지원하는 것이 큰 특징으로, 싱가포르 기업청과 인도네시아는 싱가포르 기업이 인도네시아 제조업을 위한 인더스트리4.0 관련 솔루션을 제공하는데 협력하고 있음

 

태국 역시 정부 주도하에 인더스트리4.0을 추진 중으로, 2015년 산업고도화정책 타일랜드4.0’을 발표한 가운데 2036년 고소득 국가 진입을 목표로 하고 있음

o 태국은 그동안 축적한 제조업의 노하우를 활용해 동남아시아의 산업 리더를 목표로 하고 있는데 그 배경에는 중진국 함정탈피와 저출산·고령화에 있음

- 태국은 선진국에 진입하기도 전에 이미 고령화가 시작된 상황으로, 성장을 실현하기 위해 디지털 기술 활용·생산성 향상에 노력하고 있음

- 특히 강화하고 있는 것이 제조업의 디지털화·고도화를 지원하는 입장이 된 라인빌더(Linebuilder)*·SI산업 육성임

* 라인을 설계, 설치하는 기업의 의미로 제조업 디지털화에 맞게 라인을 설계, 재구성하고 설치하는 것

o 한편 독일, 중국, 일본 등의 협력을 적절히 이끌어내면서 노하우를 축적해 나가는 것도 태국의 특징으로 각국의 강점을 가진 영역에서 적절하게 협력을 이끌어내고 있음

 

이 밖에 말레이시아는 제조업의 인더스트리4.0을 위한 적극적인 정책을 추진중으로 인더스트리4.0 실현을 위한 청사진인 ‘4WRD:National Policy on Industry 4.0’를 발표하고 2025년까지 제조업의 1인당 노동생산성을 2016년 대비 30% 제고한다는 계획을 세웠음

o 인도네시아 역시 석유, 천연가스 같은 자원에 의존한 경제와 중진국의 덫에서 벗어나 산업을 성장시킨다는 목표로 Making Indonesia4.0 정책 하에 제조업의 디지털화·고도화룰 추진중임

- 2018년 인더스트리4.0 실현을 위한 로드맵을 발표하고 식품·음료, 의료, 자동차, 화학, 전자 등 5개 분야를 우선산업으로 설정했으며 2030년 세계 10대 공업국 진입을 목표로 하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