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제조서비스업의 발전 촉진을 위한 의견을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

* 국무원 산하 정부기구로 경제발전 전략수립과 경제부처 및 기구를 관리 조율

 

[발전목표] ‘중국제조 2025*’ 달성을 위한 제조서비스업의 역할 강화

* 2025년까지 글로벌 제조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종합발전계획(’15, 국무원)

o 제조서비스업 전문화, 표준화, 브랜드화, 디지털화, 국제화 발전 수준 제고

o 제조서비스업 클러스터 및 시범 기업 형성

 

[발전방향] 고품질 제조서비스 공급을 통한 제조업 고도화

o 혁신능력 제고(Innovation)

- 기술혁신, 경영혁신, 설계혁신 역량 강화를 위한 기반 마련

o 공급품질 최적화(Quality)

- 품질관리·제어 서비스, 인증·테스트 서비스, 브랜드 관리 서비스

o 생산효율성 제고(Efficiency)

- 지능형 제조 촉진, 자원공유 플랫폼 구축, 물류시스템 현대화

o 녹색발전 지원(Green)

- 에너지 절약 및 환경보호 서비스, 재생자원 활용시스템 개선

o 제조업 활력 강화(Vitality)

- 금융서비스 효율화, 인적자원관리 서비스, 디지털 전환 촉진

o 공급망의 혁신적 응용(Supply Chain)

- 제조업 공급망을 산업서비스 공급망으로 전환

 

[특별조치] 제조서비스업 발전 가속화

o 제조서비스업 육성

- 제조업의 공통서비스 요구에 대응하는 서비스 플랫폼 그룹 육성

- 제조업이 시장화 원칙에 따라 비핵심 서비스를 매각하도록 지원

- R&D, 설계, 검사·테스트와 같은 전문 서비스 제공

o 첨단 제조와 서비스업의 융합 발전

- 파일럿 프로젝트 추진

- 서비스형 제조에 대한 인식 제고

- 새로운 업태와 비즈니스 모델 육성

- 특허 표준 제정으로 품질 향상 추진

o 제조업의 스마트화

- 디지털 전환 로드맵 작성

- 중소기업 디지털화 지원 특별조치 시행

- 스마트제조 표준 시스템 개선과 벤치마크 공장 선정

- 디지털 전환을 위한 공공서비스 플랫폼 구축

 

[기반조성] 제조서비스업 발전 생태계 조성과 활성화

o (정책) 부처 간 업무조정 강화, 시장진입 규제 완화

o (인력) ·복합 인재 양성, 산학협력 촉진, 해외 전문인력 도입 확대

o (자원) 자금조달 채널 확대(VC, IP금융, IPO ), 산업용지 공급 확대

o (협력) 표준의 글로벌화, ·중소기업 간 협업 촉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