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중앙회(회장 김기문)가 지난 615일부터 22일까지 3,15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20217월 중소기업경기전망조사를 실시한 결과, 7월 업황전망 경기전망지수(SBHI)78.9로 전월대비 1.6p 하락(전년동월 대비 10.9p 상승)했다.

이는 코로나 백신접종과 새로운 사회적 거리두기 개편에도 최근 확진자수가 큰 편차를 보이는 등 여전히 불안정 상태에 있고, 원자재 가격급등과 해운, 물류난 등이 지속되고 있어 지난달에 이어 체감경기가 둔화될 것으로 전망됐다.

 

 <제조업 및 비제조업> 제조업의 7월 경기전망은 85.5로 전월대비 0.7p 하락 (전년동월대비 17.8p 상승)했고 비제조업은 75.5로 전월대비 2.0p 하락(전년동월대비 7.4p 상승)했다.

 

 <업종별 분석> 제조업에서는 가구’(63.772.8), ‘식료품’(86.192.3), ‘기타제품’(84.690.8) 등을 중심으로 9개 업종에서 상승한 반면, ‘의료용물질및의약품’(116.498.3), ‘전자부품, 컴퓨터,영상,음향및통신장비’(102.388.2) 13개 업종에서 하락했다.

비제조업에서는 건설업(81.278.9)2.3p 하락했으며, 서비스업(76.874.8)은 전월대비 2.0p 하락했다.

 

 <전산업 항목별 전망> 역계열 추세인 고용(95.195.9) 전망은 전월에 비해 악화됐고, 내수판매(81.078.1), 수출(88.779.2), 영업이익(77.474.7), 자금사정(78.476.7) 전망이 전월에 비해 하락하여 경기 전반적으로 다소 악화될 것으로 전망됐다.

 

 <최근 3년간 동월 SBHI 평균치와 비교> 20217월의 SBHI와 최근 3년간 동월 항목별 SBHI 평균치와 비교해보면 제조업에서는 원자재 전망을 제외한 경기전반, 생산, 내수, 수출, 영업이익, 자금사정 전망은 물론 역계열인 설비·재고·고용전망 모두 이전 3년 평균치보다 개선될 것으로 전망되었다.

 

 <경영애로> 20216월 중소기업들의 주요 애로요인으로는 내수부진(59.4%) 비중이 가장 높았고, 업체간 과당경쟁(41.3%), 원자재 가격상승(40.7%), 인건비 상승(38.8%)이 뒤를 이었다.

 

 <주요 경영애로 추이> ‘내수부진’(62.259.4), ‘인건비 상승’(39.238.8) 응답 비중은 전월에 비해 하락한 반면, ‘판매대금 회수지연’(20.621.0), ‘업체간 과당경쟁’(40.641.3), ‘원자재 가격상승’(40.340.7) 응답 비중은 전월에 비해 상승했다.

 

 <평균가동률> 20215월 중소제조업 평균가동률11) 중소제조업 평균가동률 : 보유 생산설비의 월간 생산능력대비 해당 월의 평균 생산비율은 71.1%, 전월과 동일, 전년 동월대비 4.9%p 상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