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소기업중앙회(회장 김기문)가 지난 6월 15일부터 22일까지 3,15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2021년 7월 중소기업경기전망조사』를 실시한 결과, 7월 업황전망 경기전망지수(SBHI)는 78.9로 전월대비 1.6p 하락(전년동월 대비 10.9p 상승)했다.
◦ 이는 코로나 백신접종과 새로운 사회적 거리두기 개편에도 최근 확진자수가 큰 편차를 보이는 등 여전히 불안정 상태에 있고, 원자재 가격급등과 해운, 물류난 등이 지속되고 있어 지난달에 이어 체감경기가 둔화될 것으로 전망됐다.
□ <제조업 및 비제조업> 제조업의 7월 경기전망은 85.5로 전월대비 0.7p 하락 (전년동월대비 17.8p 상승)했고 비제조업은 75.5로 전월대비 2.0p 하락(전년동월대비 7.4p 상승)했다.
□ <업종별 분석> 제조업에서는 ‘가구’(63.7→72.8), ‘식료품’(86.1→92.3), ‘기타제품’(84.6→90.8) 등을 중심으로 9개 업종에서 상승한 반면, ‘의료용물질및의약품’(116.4→98.3), ‘전자부품, 컴퓨터,영상,음향및통신장비’(102.3→88.2) 등 13개 업종에서 하락했다.
◦ 비제조업에서는 건설업(81.2→78.9)이 2.3p 하락했으며, 서비스업(76.8→74.8)은 전월대비 2.0p 하락했다.
□ <전산업 항목별 전망> 역계열 추세인 고용(95.1→95.9) 전망은 전월에 비해 악화됐고, 내수판매(81.0→78.1), 수출(88.7→79.2), 영업이익(77.4→74.7), 자금사정(78.4→76.7) 전망이 전월에 비해 하락하여 경기 전반적으로 다소 악화될 것으로 전망됐다.
□ <최근 3년간 동월 SBHI 평균치와 비교> 2021년 7월의 SBHI와 최근 3년간 동월 항목별 SBHI 평균치와 비교해보면 제조업에서는 원자재 전망을 제외한 경기전반, 생산, 내수, 수출, 영업이익, 자금사정 전망은 물론 역계열인 설비·재고·고용전망 모두 이전 3년 평균치보다 개선될 것으로 전망되었다.
□ <경영애로> 2021년 6월 중소기업들의 주요 애로요인으로는 내수부진(59.4%) 비중이 가장 높았고, 업체간 과당경쟁(41.3%), 원자재 가격상승(40.7%), 인건비 상승(38.8%)이 뒤를 이었다.
□ <주요 경영애로 추이> ‘내수부진’(62.2→59.4), ‘인건비 상승’(39.2→38.8) 응답 비중은 전월에 비해 하락한 반면, ‘판매대금 회수지연’(20.6→21.0), ‘업체간 과당경쟁’(40.6→41.3), ‘원자재 가격상승’(40.3→40.7) 응답 비중은 전월에 비해 상승했다.
□ <평균가동률> 2021년 5월 중소제조업 평균가동률11) 중소제조업 평균가동률 : 보유 생산설비의 월간 생산능력대비 해당 월의 평균 생산비율은 71.1%로, 전월과 동일, 전년 동월대비 4.9%p 상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