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부(장관 권칠승, 이하 중기부)2022년도 예산안을 2021년 예산(168,240억원) 대비 11,807억원 증액(7%)18조원으로 편성하고 93() 국회에 제출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2022년도 예산안은 코로나19 4차 유행 등 불확실한 경제상황에서 회복·상생·도약이라는 기본 방향하에, 소상공인 경영회복 및 경쟁력강화 글로벌 혁신 벤처·스타트업 육성 지역 중소기업 육성 및 일자리 창출 등 3대 중점투자 방향을 설정하고 예산을 편성했다.

 

 중기부는 예산 요구단계에서부터 정책 우선순위, 사업성과 등을 감안해 총 예산의 15%(2.6조원)에 해당하는 예산사업 구조개편을 추진하는 등 예산사업의 효율성과 성과를 높이고자 했다.

 

 2022년도 예산안의 세부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19 등 불확실한 경영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소상공인 경영 회복을 지원하고 차별화된 제품·서비스 개발과 온라인·디지털화 등을 통해 경쟁력 있는 강한 소상공인 육성을 추진한다.

소상공인 경영안전망 구축과 재기지원

강한 소상공인 육성과 온라인·스마트화 지원

지역상권의 자생력 제고

 

 둘째, 예비 유니콘, 비대면·그린 등 성장 가능성이 높은 유망기업을 선별하고 해외진출 촉진 등 스케일업 지원을 통해 글로벌 혁신 벤처기업으로 육성한다.

혁신분야 창업 활성화 및 스케일업 지원

기술혁신을 통한 디지털·그린 전환과 스마트화

스마트공장 질적 고도화를 통한 제조혁신

 

 셋째, 지역특구 안착화 등 지역 유망 중소기업 육성을 통해 일자리를 창출하고 탄소중립 등 ESG 경영지원을 통해 성장기반을 강화한다.

지역기반 혁신 플랫폼 활성화

신사업 전환과 일자리 창출·유지

정책금융의 사회안전망 역할 지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