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이사장 김학도, 이하 중진공)이 9월 24일(금) 2019년과 2020년 정책자금 지원 평가를 진행한 기업 중 6,022개사의 ESG 성과지표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으며,
◦ 전체 ESG 점수가 2019년 45.3점 대비 2020년 52.0점으로 6.7점(14.8%) 높게 나타나 중소벤처기업 현장에서 ESG 경영이 전반적으로 확산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 ’20년 기준으로 분야별 점수는 지배구조(G) 68.8점, 사회(S) 47.6점, 환경(E) 39.7점으로 나타났다.
◦ 환경 분야는 점수가 상대적으로 낮았지만 ’19년 대비 증감률로 비교해보면 21.6%(7.1점)으로 사회 13.1%(5.5점), 지배구조 12.5%(7.6점) 대비 높게 나타났다.
□ 세부 지표에서는 윤리경영(96.4점), 소유구조 안정성(88.0점), 노동권·인권보장(81.9점)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 지역사회 기여(17.9점), 공급업체 협력 (36.5점), 환경경영 활동(39.7점), 고용창출(40.5점), 재무공시(49.1점) 등의 지표는 전체 평균(52.0점) 보다 낮았다.
□ 또 고용의 기회균등(20.6점), 윤리경영(대표자 신뢰성) (20.1점) 등의 상승폭이 가장 컸고, 산업보건 및 안전(-5.9점)과 소유구조 안정성(-1.8점) 점수는 하락했다.
◦ 이는 산업보건 및 안전 등 근로환경 개선을 위한 정책지원 확대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했다.
□ 중진공은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중소벤처기업 ESG 대응을 위한 정책지원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 ESG 경영 도입 진단과 맞춤형 정책 연계지원을 통한 대응역량 강화
◦ 지자체와 대·중소기업간 ESG 상생협력과 中企 ESG 통합지원 플랫폼 구축·운영을 통한 ESG 경영저변 확대
◦ 중소벤처기업 ESG 경영매뉴얼 제작과 자가진단 시스템 도입을 통한 ESG 인식제고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