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중앙회(회장 김기문)가 지난 1015일부터 22일까지 3,15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202111월 중소기업경기전망조사를 실시한 결과, 11월 업황전망 경기전망지수(SBHI)81.5로 전월대비 1.9p 하락(전년동월 대비 7.5p 상승)했다.

이는 코로나 백신접종 확대및 내달 위드코로나시행에도 코로나 19의 장기화로 여전히 경기가 불안정 상태에 있고, ‘원자재 수급애로해운·물류난이 지속되고 있어 2개월 연속 이어진 상승세(9(78.0)10(83.4))가 다시 둔화될 것으로 전망되었다.

 

 <제조업 및 비제조업> 제조업의 11월 경기전망은 85.8로 전월대비 2.9p 하락 (전년동월대비 4.8p 상승)하였고

비제조업은 79.3으로 전월대비 1.3p 하락(전년동월대비 8.9p 상승)하였다.

 

 <업종별 분석> 제조업에서는 음료’(86.098.2), ‘가구’(72.582.3)을 중심으로 10개 업종에서 상승한 반면, ‘금속가공제품’(94.585.2), ‘비금속광물제품’(88.580.2) 12개 업종에서 하락했다.

 

 <전산업 항목별 전망> 수출(83.691.2) 전망은 상승하였지만, 내수(83.081.5), 영업이익(79.378.3), 자금사정(78.877.4) 전망이 전월에 비해 하락하였고, 역계열 추세인 고용(94.895.2) 전망 또한 다소 악화될 것으로 전망되었다.

 

 <최근 3년간 동월 SBHI 평균치와 비교> 202111월의 SBHI와 최근 3년간 동월 항목별 SBHI 평균치와 비교해보면 제조업에서는 원자재 전망을 제외한 경기전반, 생산, 내수, 수출, 영업이익, 자금사정 전망은 물론 역계열인 설비·재고·고용전망 모두 이전 3년 평균치보다 개선될 것으로 전망되었다.

비제조업은 자금사정과 역계열인 고용전망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악화될 것으로 조사되었다.

 

 <경영애로> 202110월 중소기업들의 주요 애로요인으로는 내수부진(61.4%) 비중이 가장 높았고, 원자재 가격상승(44.1%), 업체간 과당경쟁(40.6%), 인건비 상승(39.9%)이 뒤를 이었다.

 

 <주요 경영애로 추이> ‘인건비 상승’(41.339.9) 응답 비중은 전월에 비해 하락한 반면, ‘내수부진’(59.861.4), ‘업체간 과당경쟁’(38.140.6), ‘판매대금 회수지연’(20.220.8), ‘원자재 가격상승’(41.844.1) 응답 비중은 전월에 비해 상승하였다.

 

 <평균가동률> 20219월 중소제조업 평균가동률은 71.9%, 전월대비 1.0%p 상승, 전년 동월대비 3.0%p 상승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