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브루킹스 연구소*는 최근 들어 인기를 끌고 있는 플립러닝(Flipped Learning)과 전통적 학습을 비교 분석**한 보고서 발표

* 1927년 설립된 진보 성향의 민간 연구소로, UN 창설과 G20 협의체 아이디어 제안

** 317건의 연구 데이터(51,437명 참여)를 종합하여 통계적으로 재분석(메타분석)

 

[주요 내용]

 

플립러닝 vs. 전통적 학습

o 교사와 강사들은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새로운 교수법을 모색

- 비대면 수업을 위한 다수의 디지털 콘텐츠 창출

- 온라인 도구를 통한 선행학습을 적극 활용하는 플립러닝 확산

o 플립러닝은 전통적 학습의 체계와 방식을 뒤집는(flipped) 방식

- (체계) 선행학습 후 수업(플립) vs. 수업 후 추가학습(전통)

- (방식) 학습자 행동 중심(플립) vs. 강의 중심(전통)

- (장점) 심화학습 가능(플립) vs. 지식습득 용이(전통)


external_image


플립러닝 분석 결과

o 강의 기반의 전통적 학습 대비 높은 학업 성취도

- 전문기술 습득, 대인관계 역량 향상, 수업참여도 제고에 효과적

o 대부분의 분야에서 전통적 학습 대비 높은 효과

- 수업을 통해 실습과 숙달이 가능한 기술, 보건과학, 언어에 적합

o 지리적 위치에 따라 상대적 효과가 상이

- 경직적 강의 방식이 지배적인 아시아와 중동 지역에서 높은 효과

o 능동적 학습과 강의를 혼합(부분플립)하는 수업 설계가 효과적

- 기초적이거나 복잡한 주제는 강의 방식이 효과적

o 학생 만족도는 전통적 학습 대비 높지만, 차이가 크지 않음

- 만병통치약은 아니지만, 시도해볼 만한 교수법인 것은 분명

 

[시사점]

 

중소기업 기술 분야에 대한 플립러닝 기반 강화

o 빅데이터, AI, 제조 등 기술 분야 온라인 콘텐츠 확충

o 오프라인 심화학습이 가능한 스마트공장 배움터 구축 확대

 

중소기업 재직(예정)자 교육 과정의 플립러닝 확산

o 전문기술 과정을 선행학습*과 심화학습** 형태로 운영

* 비대면 수업 시 개발한 온라인 콘텐츠와 온라인 공개수업(MOOC) 자료 활용

** 중소벤처기업연수원과 민간 전문교육기관을 활용

o ‘중소기업형 미네르바 스쿨*’ 설립 검토

* 캠퍼스가 없는 글로벌 사이버대학으로 전세계에 기숙사를 두고 옮겨 다니며 학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