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종합연구소*는 재무성의 ‘법인기업통계’ 결과를 활용하여 기업규모와 업종별 재무 현황을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
* 일본 3대 은행 중 하나인 ‘스미토모미쓰이 파이낸셜그룹’ 산하 연구기관(1969~)
o 코로나19 이전과 이후 매출액과 경상이익 변화 분석
[주요 내용]
□ [매출액] 중소기업의 회복 속도는 대기업 대비 저조
o (제조업) 두 자릿 수 증가*, 대기업은 코로나19 이전 수준 회복**
* 증감(’20~’21) : 중소기업(12.4%↑), 대기업(22.7%↑) [비제조업 대비 높은 수준]
** 증감(’19~’21) : 중소기업(14.0%↓), 대기업(0.3%↓)
o (비제조업) 한 자릿 수 증가*, 대-중소기업 간 회복 속도 비슷**
* 증감(’20~’21) : 중소기업(5.7%↑), 대기업(7.6%↑)
** 증감(’19~’21) : 중소기업(11.5%↓), 대기업(10.9%↓)
□ [경상이익] 코로나19 초기 피해로 인해 대-중소기업 간 차이 지속
o (제조업) 세 자릿 수 증가*, 대기업은 코로나19 이전 대비 고성장**
* 증감(’20~’21) : 중소기업(757.1%↑), 대기업(132.5%↑) [비제조업 대비 높은 수준]
** 증감(’19~’21) : 중소기업(1.5%↓), 대기업(41.3%↑)
o (비제조업) 두 자릿 수 이상 증가*, 코로나19 이전 수준 미회복**
* 증감(’20~’21) : 중소기업(201.4%↑), 대기업(45.2%↑)
** 증감(’19~’21) : 중소기업(29.6%↓), 대기업(3.1%↓)
- 경상이익 개선은 비용절감*과 영업외 수익 증가**에 기인
* 판매관리비 감소 / ** 보유자산 매각이나 정부지원금 수급 등
[시사점]
□ 일본 기업은 제조업과 대기업 중심의 K자형 회복 현상 뚜렷
o 제조업 경상이익은 대·중소기업 모두 코로나19 이전 수준 회복
o 코로나19 영향을 크게 받은 중소 서비스업은 회복이 부진한 상황
□ 한국은 중소제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대책 마련 필요
o 제조업 취업자 증감(’21.8, 전년동월대비) : 중소(-2.8%*) < 대(2.7%)
* 2020년 3월부터 18개월 연속 감소
o 제조업 창업 증감(’21.8, 전년동월대비) : -13.1%(3개월 연속 감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