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내용]

4차 산업혁명이 가속화되면서 기술 발전에 따른 노동 및 고용의 변화가 더욱 가속화될 전망으로 노동·사회적 혁신의 중요성 증가

우리나라에서는 그동안 4차 산업혁명에 따른 기술 혁신에 초점을 두어왔고, 노동·고용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노동 정책 추진은 시작하는 단계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새로운 노동 패러다임 변화에 적극 대응하는 독일의 노동 4.0 사례에 주목할 필요


독일 노동 4.0 개념은 인더스트리 4.0이 가져올 노동 세계로 이해되며, 노동 4.0 정책은 플랫폼 인더스트리 4.0과 병행하여 추진

노동 4.0 정책은 독일연방노동사회부가 주도하고 있으며, ‘노동 4.0 녹서 발간 사회적 대화 노동 4.0 백서 발간을 통해 사회적 공감대 형성

노동 4.0 정책은 연방정부 차원에서 시작하였으나, 주정부 차원의 노동 4.0 정책(: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NRW) 주의 이니셔티브 경제 & 노동 4.0’)과 기업 차원의 노동 4.0으로 확산


독일 기업은 노동 4.0을 사람과 기계 간 협력, 문화 변화, 디지털 리더십의 확산, 크라우드(crowd) 혁신을 통한 유연한 인력 증가, 직업 재교육을 통한 디지털 마인드 체험 등의 측면에서 수행

(예시) 보이트(voith) 사는 로봇 리쿠르팅을 도입하여 혁신적인 소프트웨어 및 알고리즘과 데이터 분석들을 통해 인력 모집


독일 중소기업에서 노동 4.0은 주로 노동의 유연화로 이해되고, 노동 형태 및 조직 등의 측면에서 특징 지워지는 가운데, 독일 연방정부, 산별 노조, 독일 상공회의소 등을 통해 중소기업의 노동 4.0 조직 지원 강화

클라우드워킹, 크라우드워킹, 크라우드소싱 등 새로운 노동 형태가 등장하고, 민첩한(agile) 조직의 중요성 증가

독일 상공회의소는 중소기업을 포함한 기업의 노동 4.0 수준을 진단·평가할 수 있는 기업체크 지표 제공


본 보고서는 독일 사례 분석을 토대로 디지털화 정책과 병행하는 노동 정책 강화, 사회적 대화 공동체 구축, 지자체 차원의 실행 방안 마련, 중소기업 노동 4.0 지원체계 강화 등의 측면에서 정책적 시사점 제시

(노동정책 강화)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새로운 노동 패러다임의 변화를 인식하고, ‘디지털화 정책과 병행하는 노동정책마련

(사회적 대화 공동체 구축) 한국형 노동 4.0을 현재 과제로 구체화시킬 수 있도록 정부가 주도적으로 사회적 대화 공동체 활성화

(지자체 차원의 실행방안 마련) 중앙정부 차원에서 노동 4.0 정책의 개념과 로드맵을 제시하고, 구체적인 운영 방안은 지자체 차원에서 개발·실행하게 하는 방식 추진

(중소기업 노동 4.0 지원체계 강화) 중소기업이 노동 4.0을 촉진할 수 있도록 지원센터, 매칭 프로그램, 컨설팅 지원 체계 강화

(노동 4.0 지표 개발) 독일의 노동 4.0 지표를 벤치마킹하여 국내 중소기업의 노동 4.0 수준에 대한 진단 평가체계 도입

(새로운 노동형태 대응) 클라우드워킹, 크라우드워킹 등 노동 4.0 속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노동형태에 대응하기 위한 법제도적 지원 강화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내용문의 : 권준화 연구위원 (02-707-8250, kwonjh@kosbi.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