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부내용
제 목 | 소공인 해외진출의 기업형 스케일업 효과 분석 | ||
---|---|---|---|
번역제목 | A Study on the Scale-Up Effects of Small Manufacturers' Overseas Expansion | ||
저 자 | 송영철 | 발행기관 | 중소벤처기업연구원 |
원문면수 | 52 | 주 제 |
자영업/소상공인 자영업/소상공인 > 기타 |
원문파일 | |||
□ 최근 정부는 소공인 성장지원을 위해 「소공인 3개년 종합계획」을 발표, 특히 소공인 ‘성장동력 확충’의 일환으로 해외 판로 개척 지원 확대를 제시 ◦ 소공인의 경우 사업의 확장과 성장보다는 현 수준을 유지하려는 경향, 또한 구조적 한계로 투자와 성장의 선순환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 ◦ 이를 타개하기 위한 방안으로 해외 온·오프라인 매장 입점, 수출역량 단계별 지원, 해외 마케팅 강화, 해외 바이어 발굴 등의 지원책 마련 □ 소공인 해외진출지원 정책 수요 확대에도 불구하고, 소공인 해외진출 성과분석이나 해외진출을 통한 소공인 성장(스케일업) 효과 관련 연구는 전무 ◦ 관련 정책개발 추진 및 지원 확대를 위해서는 소공인 해외진출 현황 및 구조적 특징에 대한 기초자료의 축적, 이를 활용한 연구 결과의 산출과 정량 근거의 제시가 중요 ◦ 선행연구에서 ‘소공인’, ‘수출’, ‘성장’ 관련 분석을 다루었지만 공통분모 없이 개별 이슈 중심의 연구가 대부분, 이로 인해 소공인 수출과 스케일업 간 인과관계에 대한 객관적 근거는 부재 □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국내 소공인을 대상으로 수출을 통한 소기업, 중기업과 같은 기업형 스케일업으로의 기회와 가능성을 객관적으로 규명하는 것임 ◦ 연구 결과는 우리나라 소공인 해외진출지원 확대를 위한 타당성 확보, 관련 정책개발의 방향성 제시, 기업형 스케일업을 희망하는 소공인의 인식 전환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 □ 본 연구 결과는 우리나라 소공인이 수출을 통해 기업형 소공인으로 성장할 기회와 가능성이 있음을 규명 ◦ 소공인의 스케일업을 위해 글로벌 소공인의 육성 및 발굴, 관련 정부 지원의 규모 및 특화지원의 확대 필요성의 근거 □ 수출은 소공인이 소기업, 중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중요한 발판 ◦ 안정적인 소공인 수출여건 조성과 경험 축적→지속 가능한 수출을 통해 소공인이 소기업, 중기업으로 보다 빠르고 안정적으로 성장할 가능성 제고 □ 소공인 해외진출과 이를 통한 스케일업 촉진을 위한 정책적 노력 필요 ◦ 소공인 수출 및 수입 현황과 구조적 특징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자료의 확보와 축적을 제안 ◦ 해외진출에 대한 소공인의 인식변화 유도를 위한 방안 마련 제안 ◦ 수출을 통한 스케일업에 도전하는 소공인에 대한 지원사업의 확대와 고도화를 제안 □ 정부는 소공인의 활동무대를 내수시장에서 해외시장으로 확대하려는 정책적 노력을 강화해야 할 것 ◦ 수출을 통한 소공인 스케일업 확산은 양질의 고용 창출 가능 ◦ 소기업 및 중기업의 증가로 우리나라 산업생산 및 교역 규모 전반을 확대시키고 다양한 부가가치 창출의 기회 창출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
같은저자의 최근자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