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부내용
제 목 | 중국 이커머스 성장에 따른 소상공인 주요산업 영향 및 대응 방안 | ||
---|---|---|---|
저 자 | 정은애·정수정 | 발행기관 | 중소벤처기업연구원 |
원문면수 | 79 | 주 제 |
자영업/소상공인 자영업/소상공인 > 기타 |
원문파일 | |||
❏ 연구의 배경 및 목적 ㅇ중국 이커머스 플랫폼(알리, 테무, 쉬인 등)의 국내 시장점유율 확대는 소상공인과 유통 체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 ㅇ본 연구는 중국 이커머스의 국내 시장 진입이 소상공인과 주요 산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지속 가능한 경쟁력 확보를 위한 대응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중국 이커머스 시장 성장 현황 ㅇ중국 이커머스 시장은 2012년부터 2022년까지 약 5.5배 성장하며 세계 최대 규모로 자리 잡았으며, B2C, B2B, C2C로 구분된 시장 중 B2C가 52%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ㅇ특히, 코로나19 이후 디지털 전환과 라이브 커머스 등 혁신적 비즈니스 모델의 확산이 성장을 가속화했으며, B2B 시장은 글로벌 공급망과 연계되어 높은 경쟁력을 유지 ❏ 한국 전자상거래 시장 진입 현황 ㅇ중국 이커머스 플랫폼(알리익스프레스, 테무)은 초저가 전략과 공격적인 마케팅으로 한국 시장점유율을 확대하며, 2024년 활성 이용자 수가 각각 905만 명, 830만 명까지 성장하였음 ❏ 정책 대응 방안 ㅇ(기업 주도 산업혁신 네트워크 및 컨소시엄 구축 지원) 기업 주도 산업혁신 네트워크 및 컨소시엄 구축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이 협력과 기술 공유를 통해 디지털 전환 및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도록 지원 ㅇ(글로벌 전자상거래 허브 조성) 글로벌 전자상거래 허브 조성을 통해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이 디지털 전환을 기반으로 혁신 상품을 개발하고 글로벌 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물류·통관 인프라와 데이터 기반 생태계를 구축하여 국내외 거래를 원활히 하고 경쟁력을 강화함 ㅇ(해외 진출 원스톱 지원 프로그램)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이 보유한 경쟁력 있는 제품과 콘텐츠를 글로벌 시장에 맞게 로컬라이제이션하여, 글로벌 이커머스 플랫폼 입점 및 홍보까지 전 과정을 지원하는 통합 모델 ㅇ(지역 기반 상생형 유통 클러스터 설립) 지역 소상공인과 제조업체의 협력으로 지역 특산물과 소규모 제조업체 제품을 효과적으로 유통하는 클러스터를 설립하여, 중앙 집중식 유통구조에서 벗어난 상생형 유통 모델을 구축 ❏ 기업 대응 방안 ㅇ(공동 브랜드와 로컬 아이덴티티 강화) 지역 특산물과 제품을 통합 브랜드로 홍보해 차별화된 가치를 창출하고, 글로벌 플랫폼과의 경쟁을 회피하는 전략 ㅇ(물류 및 A/S 통합 서비스 지원) 소비자가 해외 플랫폼에서 구매한 제품의 물류와 사후서비스(A/S)를 국내 유통업체가 지원하여 새로운 역할을 창출하고, 유통업계의 경쟁력을 강화 ㅇ(사회적 대응 방안) 초저가 패키지 상품 개발 및 대량 구매 할인 제공, 필수품 리필 서비스 도입으로 지속 가능 소비와 가격 부담 완화, 고급 제품을 정기 제공하는 맞춤형 럭셔리 구독 서비스 운영, 프리미엄 체험형 쇼핑 경험을 통해 고품질 제품 구매 기회를 제공 등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
같은저자의 최근자료 |